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정현,이종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교사인 연구자가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경험이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도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전공 경험이 있는 초등학 교 교사들이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를 면담을 통 해 수집하여 현장텍스트를 구성하였고,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 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를 다양한 근거자료 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로 제시하였다. 학술지의 특성상 본 연구는 연구테스트만을 제시 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 회적 의미’)으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 와 성장’, ‘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배움공 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모습으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과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 수’에 대한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the curiosity about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To solve these puzzle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their narratives, constructed them as field text, and reconstructed them as research tex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narrative inquiry axes such as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s' were derived as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and ‘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s’ were derived as ‘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teachers who actualize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guidance’, and ‘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s’ were derived as implications for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and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은혁기,이명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여년 동안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이 초등학교 상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요구나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여 알아보았다. 둘째,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과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들이 지난 20여년 동안 그 방향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셋째, 대표적인 학회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가 초등학교 상담 발전에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넷째, 위의 세 가지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 방향을 그동안 제시되어 온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의 초등학교 상담에 대한 인식, 요구나 기대는 그동안 발전을 하였지 만, 상담이 더 필요하고 상담할 수 있는 여건과 전문성, 행ㆍ제정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둘째, 초 등학교 상담의 발전과 그 방향에 관한 연구들 또한 지난 20여년 동안 유사하게 지적되었다. 그러나 이러 한 것은 주로 초등학교 상담교재개발과, 상담이론과 기법의 개발 등에 초점을 두어 왔으며, 이러한 것들이 현장에 있는 학생과 교사들, 학부모들에게 얼마나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는가는 것은 다시 검증할 필요 가 있다. 셋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는 그 동안 많은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며, 이로 인하여 초등학교 상 담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이러한 발전과 함께 실제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초등학교상담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상담 발전의 방향은 실제적인 적용이라는 현실적인 기반 위에서 검토되고 재정리하여 새롭게 전개될 초등학교 현장의 변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For more than two decade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viewed related studies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s perceived, and what demands or expectations are. Second, we found out how representative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have presented its direction for the past 20 years or so, and thirdly, how the Korea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Education Association, a leading academic society, has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Fourth, based on the above three factor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roblem that has been propo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demands or expectations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by students and teachers' parents have been improving, but they lack more counseling needs and professionalism and administrative support. Seco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have also been pointed out similarly over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this has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counseling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s, and on developing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s, and on how substantially these have helped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n the scene should be verified again. Third, the Korea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nd Education Association has been making a lot of progress over 20 years, and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Along with these developments, development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expertise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which can be of real help to teachers and students at real educational sites. Fourt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counseling should be reviewed and reorganized on the realistic basis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continuously improv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new elementary school site changes.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강영자,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8 초등상담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직업카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업카드를 개발하는 과정은 직업의 심리적 특성과 변화하는 직업세계, 사용 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선정의 기준을 세우고 초등학생에게 적당한 직업카드 개수를 결정한 뒤, 미래의 유망 직업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의 희망 직업을 고려하여 Holland 유형별로 대표적인 직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사용대상자인 초등학생을 고려하여 직업카드의 기입내용과 규격을 결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재미있었고 직업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데 유익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용 직업카드는 초등학생의 진로 발달단계에 적합하게 만들어 졌으며,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직업카드가 직업흥미 평가 도구만이 아니라 초등학생의 진로상담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집단상담 형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vocational card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useful means to be applicable to elementary career counseling, to carry out a career counseling program by using vocational cards, and ultimately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ers. After job selection criteria were prepared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occupations, changing business world and school children, how many number of vocational cards would b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ers was decided, and leading occupa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Holland classification in consideration of promising job list for the future, analysis of schoolbook and dream job among school children. And then what should be described on vocational card was determined, and their size was selec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vocational car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areer maturity from others who did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approa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how they felt, and they made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program as they found it to be interesting and of use for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business world. In conclusion, the vocational card for elementary middle-year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catered to the career development stage of elementary schoolers, a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using the vocational card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최준섭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학부모 상담주간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 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담임교사 8명의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경험에 관한 심층면담자료를 분석하였고, 주제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 담자료의 분석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는 총 46개의 의미단위, 14개의 주제, 6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학부모 상담주간은 초등학교 담 임교사인 참여자의 관점에서 정보수집의 기회, 소통과 공유의 기회, 점검과 반영의 기회, 학 생성장의 기회, 깨달음과 반성의 기회, 성장과 변화의 계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는 학부모 상담주간이 실시된 지 약 10년이 되었지만, 학부모 상담주간의 운영 경험,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학부모 상담주간을 실제 운영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 를 대상으로 학부모 상담주간의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학생을 매개로 하는 학부모 상담주간이 학생과 학부모 외에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도 교육적, 학교상담 차원에서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이 연구결과는 학부모 상담주간을 보다 체계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제도의 보완과 개선 및 관련 연구를 보다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 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parental counseling week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urse of operating parental counseling week.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 data on the operation experience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of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ubjec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46 categories, 14 topics, and 6 categor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ent Counseling Week became an opportunity for information gathering, communication and sharing, inspection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student growth opportunities, enlightenment and reflection opportunities, and growth and change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who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arent counseling week was implemented, but amid a lack of research on the operational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parent counseling week,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parents counseling week’s education and school counsel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parental counseling week mediated by students has various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and parent will activate related studies to operate the parental counseling week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진로 개인상담에 관한 고찰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5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초등 시기 진로 개인상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 및 부모의 진로상담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상담의 영역 가운데 진로상담은 사회적 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영역이고, 현재 초등학생들은 그 변화의 영향을 어느 세대보다 더 많이 받게 될 것이다. 초등학생들이 맞이하게 될 미래의 특성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 키워드는 “변화”다. 고용상태의 변화, 직업의 종류와 구조의 변화, 직무의 내용 및 요구되는 직업능력의 변화 등 직업세계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고 있고 앞으로 더 가속될 것이다. 이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살아가게 될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의 과제를 이해하기 위해 초등학교 진로상담과 밀접히 관련된 미래사회의 변화 양상의 특징과 여기에 부응할 초등학교 시기 진로 개인상담의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지금까지 제안된 개입전략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진로상담이론 측면에서 개인-환경 매칭 관점에서의 진로선택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는 진로이론들을 살펴보고, 직업카드, 진로발달 SCT, 진로가계도 등 상담매체를 활용한 진로상담 기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시기 진로미결정에 대한 상담 실제에 대해 다재다능의 문제, 능력과 흥미의 불일치, 일관성이 낮은 흥미의 문제, 부모와의 갈등 문제, 예체능 진로상담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foundation to meet the career counseling need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reer counseling is one of the most affected areas of counseling by social changes,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be more affected than any gener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keyword that expresses the future characteristic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face is “change”.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such as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changes in job types and structures, changes in job skills, are already experienced by many people and will accelerate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future societ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areer counseling and the processe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apply to the career counsel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erms of career counseling theory, career theories were reviewed to suggest a new paradigm for the perspective of personal-environmental matching paradigm. And the application of career counseling techniques using counseling media such as occupational cards, career development SCT, and career genogram were proposed. The career counseling techniques on career decision-making in elementary school was discussed with the question of versatility, inconsistent ability and interest, inconsistent interests, and conflict with parents.

      • KCI등재후보

        ‘초등상담연구’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초등학교 상담 연구 동향 분석

        조영표,손현동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상담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류 준거에 따라 분석하여 초등학교 상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초등상담연구’에 게재된 논문 236편을 대상으로 3명의 평정자가 연구자 소속,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소속은 국내 대학교에 소속된 대학 교수가 40.7%, 초등학교 교사가 59.3%를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는 성과연구(34.3%), 성격 및 적응연구(19.9%), 이론연구(12.7%), 척도 개발연구(9.7%)의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초등학생(83.7%)이 가장 많았고, 교사, 상담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모두 합해 10% 이하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70.8%)가 양·질적 혼합연구(14.9%)와 질적연구(14.4%)에 비해 많았으며, 양적 통계분석에서는 변량분석 계열, 질적연구 분석에서는 사례분석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초등학교 상담 연구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published by the Korean Elementary Counselor Education Association, between 2002 and 2016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236 article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researchers, research topic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0.7% of the researchers worked at universities and 59.3% work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he main research topics were “outcome studies” (34.3%), “personality and adjustment studies” (19.9%), ‘theoretical studies” (12.7%), and ‘instrument developing studies” (9.7%) respectively. Third, research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83.7%), teachers (6.8%), and parents (1.1%). Fourth,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70.8% of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as quantitative studies, which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mixed studies (14.9%) and qualitative studies (14.4%).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율곡과 상담

        권순정,박성희,이재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율곡 이이의 이기론, 심성론, 수양론에 담긴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관련된 상담학적 요소를 추출하여 현대상담에 의미 있는 지식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율곡의 이기론과 심성론, 수양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율곡이 바라본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 관한 상담학적 요소들을 추출하여 율곡 상담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음의 변화와 성장을 위한 구체적인 율곡 상담의 적용을 마음 밝히기 상담, 마음 지키기 상담, 마음 세우기 상담, 초등 상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음 밝히기 상담은 마음을 가리는 장애를 제거하는 상담법, 마음을 밝혀내는 상담법, 마음을 진실 되게 하는 상담법으로 구체화하였다. 마음 지키기 상담은 마음 방향 지키기 상담법, 마음 바르게 하기 상담법, 다른 마음 인정하기 상담법으로 구체화하였다. 마음 세우기 상담은 마음 바로 잡기 상담법과 마음 모으기 상담법, 마음 실천하기 상담법으로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율곡 이기론의 기발이승의 원리를 토대로 한 기발이승 상담법과 바른 행동으로 마음 지키기 상담법을 초등 상담의 전략으로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는 율곡의 이기론과, 심성론, 수양론에 담긴 마음에 관한 지식들을 현대 상담학적인 관점으로 적용하여 새로운 상담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율곡 상담에서 적용한 구체적 상담 방법을 실제로 활용해보며 지속적인 검증의 과정을 통하여 율곡 상담의 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ounseling element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ind in Yul-gok's theory of mind, and to utilize them as meaningful knowledge in modern counseling.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on Yul-gok's Yi-gi(理氣) theory, Sim-seong(心性) theory, and Su-yang(修養) theory of restructuring, I extract the counseling factors related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ind that Yul-gok looked at and summarized it as a characteristic of Yul-gok counseling. In addition, the method of application of specific Yul-gok counseling for change and growth of mind is divided into counseling, mind-keeping counseling, mind-set counseling, and elementary counseling. Counseling to clarify the mind was embodied as a counseling method that removes obstacles that block the mind, a counseling method that reveals the mind, and a counseling method that makes the mind real. The mind-keeping counseling was embodied as the mind-keeping counseling method, the mind-correcting counseling method, and the other mind-seeking counseling method. Mindset counseling is embodied as a counseling method to correct the mind, a counseling method to gather the mind, and a counseling method to practice the mind. Finally, I tried to suggest the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method based on Yulgok' gibalyiseung(氣發理乘).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expand the knowledge of mind in Yu-lgok's theory of mi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basis of Yulgok counseling through continuous verification while actually applying concrete counseling method presented in Yulgok counseling.

      • KCI등재후보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배수현,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3 초등상담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감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습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D초등학교 6학년 6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확보된 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감사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 감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감사성향, 자아탄력성, 학습태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 회기별 소감문 분석 및 연구자의 관찰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감사교육프로그램은 감사성향을 높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생각과 감정으로 정상적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게 하며 학교공부, 교우, 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지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진로심리검사의 현황과 과제

        공윤정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2

        초등학생 대상 진로상담 및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초등학생들의 진로발달정도를 평가 하고 진로개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진로심리검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진로연구에서 사용되는 초등학생용 진로심리검사의 종류를 탐색하고 검사들 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사용된 초등학생용 진로심리검사들을 확인하였고, 원검사의 대상, 검사개발과정, 검사의 신뢰도와 타 당도 등을 점검하고 검사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용 진로심리검사로는 진로인식 및 발달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진로흥미검사, 진로포부검사, 진로자기효능감검사 등이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사용되는 초등학생용 진로심리검사들은 이론적 가정과 전 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검사의 요인과 문항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초등학생들의 행동 관찰 등을 검사내용이나 문항에 반영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 사용되 는 진로심리검사들은 초등학생용으로 개발된 검사들도 있지만, 청소년용의 검사를 초등학생 에게 적용하는 경우도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 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tes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career tests for children were analyzed that were adopted in the published articles since 2000. Identified career tests for children include a career awareness scale, a career development test, career maturity tests, career interest tests, a career aspiration scale, and a career self-efficacy scale. Identified career tests were composed of a mixture of tests and scales that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children, as well as tests originally targeted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areer tests for children were reviewed.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ing career tes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escri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