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민 ‘공동체’와 연대의 탈감정성

        정수남(Joung Su-na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8 OUGHTOPIA Vol.33 No.3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공동체담론이나 운동에 내재하고 있는 후기근대적 모순을 드러내고 이를 추동하는 감정동학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필자는 많은 공동체 중에서도 빈민 자활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필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공동체는 후기근대적 불안과 자본주의적 모순에 대한 하나의 대응으로 출현했다. 둘째, 공동체는 호혜성이라는 감정적 상호작용을 토대로 하는 바 인격적 결속을 가치로 내세우지만 자활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이것은 계급적 모순을 은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공동체는 오늘날 사회적 위험을 관리하는 통치 맥락과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 맥락이 있지만 이 둘의 관계는 선택적 친화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자활공동체라는 빈민들의 연대는 탈연대적 감정공동체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빈민들은 다만 복지 장에서 자신들이 생존할 수 있는 개별화된 형태의 감정자본(무자본 자본)을 축적함으로써 특유의 실천감각을 형성해나간다. 이로써 필자는 빈곤은 온전히 공동체적 논리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계급적 문제임을 재확인하고 이를 위해 빈민들의 사회권을 적극적으로 포용할 수 있는 민주적 공동체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community discourse and movement, which are actively discussed in Korean society today, through emotional sociological perspectives, and to reveal the late modern contradictions inherent in community and to analyze emotional dynamics that motivate them.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self-help community which is composed of the poor among many communities.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following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ommunity today emerged as a response to late modern insecurity and capitalist contradictions. Second, the community is based on the emotional interaction of reciprocity but it gives the members of the self-help community the effect of concealing class contradiction. Third, communities have on one hand alternative contexts to overcome crises, on the other hand the context of governmentality that manages social risk today,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selective affinity. Finally, the bond of the poor as a self-help community is strong as a post-solidarity emotional community, and the poor build a unique sense of practice by accumulating forms of emotional capital(non-capital capital) that they can survive for themselves in the welfare field.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와 활동 수준에 따른 효과 차이: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서은희(Eun Hee Seo),김은영(Eun 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895 college students responded pre and post survey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their GPA data were gather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ad 696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program for a semester. The group was divided into learning communities with high level and learning communities with low level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gain. A control group had 199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any program of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variate analysis, and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arning communities with high level showed high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earning communities with low level and a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learning communities with low level and a control group. The result implies that the level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might be matter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 of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both learning communities with high and low leve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on skills than a control group. here was no difference of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learning communities with high and low levels. The result implies that the level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might not take a key role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와 활동 수준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학습공동체 효과가 유의하게 다른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대학 재학생 895명(학습공동체에 우수하게 참여하여 지원금을 받은 집단의 학생 193명, 학습공동체에 일반적으로 참여하여 지원금을 받지 못한 집단의 학생 503 명, 학습공동체 미참여 집단의 학생 19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에 대한 활동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공동체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집단별 의사소통 능력 점수와 학업성취도를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 성취도 향상에 대한 학습공동체의 긍정적 효과는 학습공동체에 우수하게 참여한 집단에만 나타났다. 학습공동체 일반참여 집단의 사후 학업성취도는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이 결과는 학업성취도 향상에 있어 학습공동체 활동 수준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대한 학습공동체의 긍정적 효과는 학습 공동체에 우수하게 참여한 집단과 일반적으로 참여한 집단 모두에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습공동체 활동 수준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학습모임에 참여만으로도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지원금 지급과 상관없이 프로그램 참여만으로도 유의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사회, 그리고 시의 공동체 : 공동체(共同體)와 공동체(空同體)에 관한 문학적 단상

        함돈균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5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munity of the poetry (literature). Generally speaking, the communty is defined as a group having common object that means the same or identity. In the words, the community is the group of the same. It has common contents. Let's say, common contents means interest, taste, favorite, blood, local area, gender, etc. But the community of the poetry is in contrast to general community or society.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mmunity of the poetry has not common contents but 'form'. The form is a empty bowl that embraces diverse contents. The form as a empty container does not exclude. Therefore the community made of the common empty form has university. This study decided to call the community 'the community空同體' made of '空 void'. Korean poems show us remarkable 'the community 空同體'. This paper studies the poems of Jung-Hyunjong, Ko-Eun, Hwang-Dongkyoo and Lee-Sungboo. Their poems don't share the same or identity. Jung's poem admits the individual is not understood by the other. One don't share the other's feeling. But One listens carefully the other's sorrow. Ko's poem show us 'We' which mean the community 空同體'. 'We' has not common contents but form made of pray. Hwang's poem shows us 'the children' dreaming. Their dreaming contradict the present. They are drawing other picture of the future. They compose the community of the dreaming. Lee's poem says, the community of the poetry. 공동체(共同體)에 관한 일반적 논의는 공동체를 공통의 것이 모인 집합체로 생각한다. 유대, 결합, 결속, 공유와 같은 것이 공동체에 관한 논의에 중심을 이룬다. 그러나 공동체에 관한 이러한 논의들은 크게 보아 두 가지 차원에서 삶의 실재와 관련하여 충돌의 지점을 노출한다. 공통의 것, 동질성에 대한 강조는 동질성이 아닌 외부를 배제하는 논리를 낳는다. 둘째, 이러한 논리는 개별적 인간 존재가 지닌 결핍을 보지 못한다. 인간 개체의 실존체험 중에는 공동의 지반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원심력, 타인에 의해 부인당할 수밖에 없으며 그 역시 타인을 부인하려고 하는 지점이 존재한다. 여기에서 타자는 ‘나’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 조건으로서라도 요청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사회’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 내밀한 실존의 공동체험의 영역이 열리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와 구별되며 동질적인 내용으로 묶이지 않는 다른 차원의 공동체를 ‘공동체(空同體)’라는 차원에서 사유하려고 한다.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형식’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사유되는 이 공동체에 대한 상상은 한국시에서 몇 가지 차원으로 나눠서 사유될 수 있다. 정현종, 고은, 황동규, 이성부의 시에서 ‘공동체(空同體)’는 각각 나눌 수 없는 타자로서 존재하는 실존 체험을 인정하되 타자의 체험에 귀 기울이는 청종의 태도, 그리움의 내용이 아니라 그리움의 운동에 참여하는 운동 과정 자체만으로 이뤄지는 ‘우리’, 지금 ‘너머’를 꿈꾸는 부정적 운동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운동, ‘죽음’을 자각하는 주체의 시 쓰기 등으로 사색될 수 있다.

      • KCI등재

        공동체적 실천으로서의 설교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 이해 : 캠벨의 비폭력적 저항과 부르그만의 대안적 해석을 중심으로

        박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설교는 하나님이 섭리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역사 속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신앙공동체 구성원들이 세상에 책임적으로 응답하도록 이끄는 과제를 늘 안고 있다. 그렇기에 설교는 교리 중심으로 획일적인 해석과 답변만을 제 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지배적 가치를 넘어서서 대안적 삶의 방식을 꿈꾸는 세 계 이해에 기초해야 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지배적 관계성들이 갖는 폭력성들을 비 판적으로 읽어내고 전혀 다른 상호적 관계성을 꿈꾸고 실천하도록 이끄는 동인으로서 설교를 공동체적 실천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캠벨은 설교 행위가 갖는 윤리적 의미를 비폭력적 저항으로서 강조한다면, 부르그만은 기존 사회의 지배적 해석을 넘어서는 하나의 대안적 해석으로서 설교의 내용에 관심한다. 캠벨은 설교가 행해지는 컨텍스 트로서 친구들의 사귐의 공동체를 중시하면서, 서로 정의를 탐구하는 동등한 관계성 을 공동체의 특징으로 삼는다. 이 공동체의 상호적 관계성 가운데서 설교자는 권위를 부여받게 된다. 부르그만은 설교자와 회중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대립할 것이 아니라, 텍스트에 대하여 설교자와 회중이 함께 공동체의 실천의 방향과 의미를 탐구해야 한 다고 강조한다. 세상 권세의 지배체제에 대한 비폭력적 저항과 대안적 해석을 바탕으 로 전혀 다른 삶의 방식을 강조하는 실천은 사회의 소외되고 억눌린 이들의 삶에 초 점을 맞추고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는 지점에서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은 설교 이해에 대하여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할 때, 1) 비폭력적 저항으로서의 설교는 폭력적 지배구조의 비도덕성을 드러내는데 매우 효과 적이다. 하지만 비폭력적 저항은 결국에는 폭력적 상대와의 연합까지 지향해야 한다. 2) 비폭력적 저항으로서의 설교는 설교자와 공동체가 폭력의 구조와 공모할 수 있음 을 인정하고 자기 비판력을 확보해야 한다. 3) 설교자는 공동체와 함께 텍스트에 참 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안적 삶의 관계성을 꿈꾼다. 공동체를 통한 동등한 상호적 관계성의 추구는 지배적 사회구조에 저항하는 분명한 방식이다. 4) 지배적 현실 해석 에 저항하는 설교는 가시적 사회적 변화에 평가될 수 없고, 공동체의 지속적인 실천 을 이어가는 힘으로서 평가된다. 5) 설교는 소외되고 눌린 자들에게 힘을 부여하는 윤리적 실천이어야 한다. The task of preaching is to critically read the reality upon which God acts, and to interpret and respond to God’s actions in history. To do so, preaching is not to provide the answer based on the fixed dogma but to envision an alternative way of life in new relations beyond dominant values of this world. The article tries to consider preaching itself as a moral communal practice of critically reading and unmasking violences of the Domination System. While Charles L. Campbell emphasizes preaching as a nonviolent resistance against powers of this world, Walter Brueggemann focuses on what preachers may deliver by considering preaching a way of providing a sub-version of interpretation beyond mainline versions. Campbell points to a community of friendship in which justice-making process is being made together. Based on the relations of friendship, an authority can be given to preachers in the community. Brueggemann suggests to us a new relation between a preacher and his/her congregation by exploring together biblical texts instead of having a hostile relation. Campbell’s and Brueggemann’s different understandings of preaching can be convergent on the fact that preaching has to listen carefully to the marginalized and the oppressed and empower them to have their own voices.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1) preaching as a nonviolent resistance has an effective way of unmasking oppressors’ immorality. However, preaching should finally go toward including oppressors in the community. 2) Preaching as a nonviolent resistance has to have a self-critical power all the time, because it could fall into a violent system of this world. 3) Preachers participate in the text with the congregation and envision together an alternative way of life, that is, totally new relations of the society through communal practices. The envisioning itself can be a resistance against dominant social systems. 4) Preaching that resists dominant interpretation of the world can be evaluated not by visible results of social changes but by a radical power to make a community continually participate in active struggles against injustices of the society. 5) Preaching should be an ethical praxis to empower the marginalized.

      • 실행공동체 활동중심의 등급제 기반 정량적 성과관리 및 보상 체계 개발 : 철강업체 사례를 중심으로

        홍대근,서의호,이수철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

        실행공동체는 지식경영의 중요한 도구로써 국내외 조직에 널리 사용되면서 실행공동체의 성과측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행공동체의 성과를 균형성과지표 기반, 성숙도 기반의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 기업에서는 실행공동체 성과측정 에 있어 실행공동체의 전체적인 측면에 집중하거나 설문을 통한 개별 커뮤티니의 진단 및 평가를 수행 하여 지속적인 현황 파악이 어렵고 정성적인 결과만을 제시하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실행공동체 운 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실행공동체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활동들을 파악하고, 이 러한 활동들의 실행 수준을 주기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미흡한 부분들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위한 기준개발 및 적용 그리고 적절한 보상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행공동체 활동중심 등급제 기반의 정량적 성과관리 및 보상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실행공동체 유형별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평가 영역, 실행공동체 주요 활동별 수준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공동체와 구성원 관점에서 각각 활동 수준을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하고, 산정된 등급에 따라서 보상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철강업체 사례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여 실행공동체 성과측정체계와 보상체계의 효과적인 연계를 지원한다.

      • KCI등재

        신앙공동체는 놀이터가 될 수 있는가?

        정연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There are many young adult Christians complaining that their faith communities are making them feel frustrated and suffocated. The faith community is supposed to allow people to experience freedom through the truth. Unfortunately enough, it is not true in reality. For this reason,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leaving their church. Why? Obviously, this is not just a problem for young people. Why does the faith community that teaches the Gospel of freedom rather make people frustrate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bove.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will be, “What does it take for the faith community to become a space that provides freedom and liberation?” In this paper, it is through “play” that I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space in which one can feel freedom and liberation.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that is experienced as a playground, this article develops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the case of a young adult named J is presented. Through the case of J, who recently suffered the pain of leaving the church, I want to convey the vivid story of a young adult who experiences frustration and oppression in the faith community. Then, through Donald Winnciott’s psychoanalytic theory, I discuss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growth that a play space provides i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life. Furthermore, I explore the meaning of creating a space for play in the faith community. Through Winnicott,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creative playing space is presented. Next, through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ans-Georg Gadamer, the possibility of play that can widen one’s understanding and existence is discussed. In the course of arguments,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community of interpretation is explored. Finally, through the pastoral theological vision of “a community of faith where vivid questions are alive,” I present some practical ways to help people in community like J enjoy freedom creativity in the faith community. 필자가 상담실과 강의실에서 만나 온 한국교회의 청년 중에는 신앙공동체가 그들에게 답답함을 주고 있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신앙공동체는 진리가 주는 자유를 경험하게 하는 곳이어야 하는데, 오히려 신앙공동체로 인해서 자유가 억압 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고 호소한다.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신앙공동체는 왜 젊은이들에게 자유와 해방감을 주지 못하고 있을까? 이것은 단지 청년들만 느끼는 문제는 아니다. 신앙공동체는 왜 사람들에게 답답함을 안겨줄 까?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신앙공동체가 자유와 해방을 선사해주는 공간이 되는 데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연구질문에 대해 필자는 ‘놀이’를 통해서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신앙공동체가 놀이터로 경험될 수 있다면 구성원들이 답답함과 억압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놀이터로 경험되는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이글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우선, 서론을 통해 필자가 만났던 J라는 청년의 사례를 제시한다. 최근 교회를 떠나는 아픔을 겼었던 J의 사례를 통해 신앙 공동체에서 답답함과 억압을 경험하는 한 청년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어서,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ciott)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서 한 개인의 심리적 삶과 영적 삶에서 놀이터라는 공간이 제공할 치유와 성장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나아가 신앙공동체 안에 놀이를 위한 공간을 만든다는 것의 의미를 모색한다. 위니캇을 통해 창조적 놀이 공간으로서의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을 통해 놀이가 가진 이해 및 존재 확장의 가능성을 논한다. 이를 통해 놀이하는 해석공동체로서의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생생한 질문이 살아 있는 놀이터 신앙공동체’라는 목회신학적 비전을 통해 J와 같은 신앙인이 자유 롭고 창조적으로 신앙생활을 하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파울 필리피의 그리스도 중심 디아코니아 신학에 관한 연구

        김옥순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6

        우리는 과연 디아코니아 없는 교회를 참다운 교회라고 할 수 있는가? 만일 그렇지 않다면, 디아코니아는 무엇이며,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야하는가? 일반적으로 말해서 디아코니아는 케리그마와 코이노니아와 함께 교회의 본질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복음에 기초한 교회의 본질로서 디아코니아는 구체적인 실천활동으로 신학적인 성찰을 필요로 한다. 디아코니아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은 교회의 실천을 올바르게 이끌어주며, 무엇보다도 디아코니아활동을 교회와 밀접하게 관련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파울 필리피는 교회의 디아코니아활동을 기독론적-교회론에 기초시킨 디아코니아신학을 정립하였다. 그의 디아코니아신학의 단초는 “그리스도 중심의 디아코니아”에 놓여있다. 그는 섬기시는 그리스도에 기초해서 디아코니아의 출발점을 삼았다.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은 하나님의 뜻과 본질을 최종적으로 계시하신 그리스도를 믿는 것이며, 필리피의 그리스도중심의 디아코니아는 교회공동체 안에 어려움에 있는 약자들을 돌보는 연대성의 디아코니아활동이다. 필리피는 오늘날 교회공동체의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적인 삶을 그리스도중심의 기독론으로써 섬김과 봉사의 삶을 목표하고 있다. 이는 교회 공동체가 디아코니아 공동체가 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디아코니아는 교회공동체의 디아코니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리피는 디아코니아를 “교회의 표지”(nota ecclesiae)로 보았다. 필리피에게 있어서 디아코니아가 구체화되는 것은 우선적으로 교회안에서 약자들을 돌보는 것이며, 사회 속에서 돌보는 활동은 이차적이다. 그에 의하면, 교회공동체로 “모이는 것”(Sammlung)이 세상으로 “보내는 것”(Sendung)보다 앞선다. 교회가 먼저 진정한 그리스도중심의 섬기는 교회공동체가 될 때에 타자를 위해 섬기는 존재가 될 수 있다. 이처럼 그는 디아코니아활동을 교회 안으로 들여놓았다. 파울 필리피는 교회공동체의 디아코니아활동을 위해서 교회안에 “집사직무”(Diakonenamt)를 세우도록 요구하였다. 즉, 교회의 디아코니아는 전담집사를 세워서 위기에 빠진 창조물들을 공동 사회적으로 돌보는 책임활동이어야 한다. 여기서 집사직무는 돌보는 활동자체가 관건이 아니라, 그리스도중심의 하나님나라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한 직무로서 신학적인 의미를 가진다. 필리피의 교회공동체 디아코니아활동은 교회공동체의 중심을 이루는 복음 선포의 말씀과 성만찬을 통해 그리스도중심의 고유성을 각인시켜주는 예배에 뿌리를 두며, 이는 예배의식 없는 일반사회복지활동과는 근본적으로 차이를 이룬다. 종합하자면, 필리피는 교회의 디아코니아 위상을 현대 국가적인 사회복지와 구분시키며 교회가 디아코니아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국가사회복지와 공존하는 관계를 갖게 해준다. 그는 루터의 전통에 서서 교회의 활동을 사회적인 차원으로까지 확장시켜준 것이다. 결과적으로 필리피의 기독론과 교회론에 기초한 디아코니아에 대한 기획은 신학적으로 열매 맺는 공헌을 하였다.

      • KCI등재

        공동체의 위기와 복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명호(Lee Myoung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산업화로 야기된 이촌향도(移村鄕都) 현상으로 인해, 우리사회에서 전통적인 지역공동체들이 해체되었다. 특히 도시에서 마을은 숙식을 위한 집결지 이상의 의미를 얻지 못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일정한 주기로 거주하는 지역을 옮기고, 일터와 집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집은 자신의 삶과 무관한 곳이 되었고, 마을도 가족의 삶과 무관한 곳이 되었다. 공동체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마을은 이제 재건축, 뉴타운과 같은 부에 대한 욕망이 투여되는 곳이 되었다. 그와 비례하여 지역 전통성의 해체, 마을공동체의 붕괴, 주거불안 등의 문제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그에 대한 반성으로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 ‘마을공동체’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마을공동체 사업에서 제시되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자본, 시민성, 공공성 등의 개념을 빌어 마을을 공동체로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을주민들의 삶 속에서 의미 있는 곳으로 마을이 인식되는, 즉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로의 재건을 위해서는 ‘공동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 글은 공동체의 가치와 윤리에 대한 반성과 고민에 서 시작되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이 구체적으로 어떤 공동체를 꿈꾸고 있으며, 한국사회가 지난 세월 경험하고 사유했던 공동체는 어떤 공동체 이었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두 공동체는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검토하였다. After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1970’s, the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have been dismantled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villages mean an area for board and lodge in the city. Many people move the area of residence at regular intervals. The distance between workplace and home is increased. The house was separated from his life; the village became separated from family life. So some people understand housing only in terms of investment. The village that does not play a role as the community became the places where projecting the desire for wealth. And the problems – the disappearance of local tradition and the dismantlement of village community, domestic unrest, etc - turned out to be clear. As the result of reflection about those problems, the village community building projects began in several municipalities. These projects are aiming to restore the village to the community in terms such as the social economy, social capital, citizenship, the publicness etc. There are need to examine about the historical changes and meaning of Community for the rebuilding of a sustainable village communities. This paper started with a reflection and concern about the values and ethics of the community ethics.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the community that the villag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s pursued.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the community that the villag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s pursued. And this paper studies the community that ancestors had experienced and had thought. Finally, it briefly reviews how the two communities were handed down.

      • KCI등재

        유럽연합 디자인법에서의 미등록공동체디자인의 보호

        차상육(Cha Sang Yook) 한국정보법학회 2011 정보법학 Vol.15 No.1

        미등록공동체디자인권(UCD)은 유럽공동체디자인규정(CDR) 아래에서 디자인이 최초로 공동체역내의 공중의 이용에 제공된 날로부터 무방식으로 권리가 발생하고 3년간 보호된다. 보호대상인 디자인의 정의 및 보호요건은 유럽공동체디자인지침과 같 다. 유럽공동체디자인규정에 있어서 미등록공동체디자인권의 디자인의 정의는 등록 공동체디자인권과 동일하다. 보호요건도 등록공동체디자인권(RCD)과 마찬가지이다. 유럽연합 디자인법에서는 신규성과 독특성 2가지 요건을 충족하여야 디자인을 보호한다. 미등록공동체디자인권의 효력은 저작권과 같이, 제3자가 독자 창작한 경우에는 미치지 않는 모방금지권이다. 미등록공동체디자인은 등록공동체디자인과 달리 유럽공동체상표디자인청(Office for Harmonization in the Internet Market; OHIM)에 등록출원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 이와 대조적으로, 등록공동체디자인권(RCD)은 유럽공동체상표디자인청(OHIM)에 출원 및 등록한 때부터 발생하고, 공동체전역에 미치는 단일한 권리이다. 보호기간은 출원일로부터 최장 25년간이다. 등록공동체디자인권(RCD)은 제3자가 독자적으로 창작한 경우에도 권리의 효력이 미치는 절대적 독점권이다. 미등록공동체디자인권(UCD)의 침해소송은 공동체디자인법원이 관할을 가진다. 미등록공동체디자인권은 등록공동체디자인권과 달리, 권리의 유효성이 추정되지 않으므로 권리자가 유효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고, 피고는 항변이나 반소로 다툴 수 있다. An unregistered Community design right shall come into existence, without formality requirements, on the date when the design was first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within the Community, and shall be protected for three years from that date under the European Community Design Regulation. The definition of a design to be protected and the requirements for protection are the same as provided under the European Community Design Directive. An unregistered Community design is defined by the CD regulation in the same way as the registered Community design. The requirements for protection are the same as those for protection of a registered Community design. The EU design law grants protection to designs which fulfil the twin criteria of novelty and individual character. Similar to copyright, an unregistered Community design is the right to prohibit imitation, which cannot be exercised in respect of an independent work of creation by a third party. Unlike a registered Community design, We do not have to file an application at the Office for Harmonization in the Internal Market (hereinafter called OHIM) to protect an unregistered design. In contrast, a registered Community design right is a unitary right throughout the Community that comes into existence upon registration based on an application at the OHIM. The term of protection shall be up to 25 years from the filing date. Infringement proceedings shall be subject to the jurisdiction of Community design courts. Unlike a registered Community design, an unregistered Community design is not presumed to be valid, and therefore the right holder should prove its validity whereas the defendant may contest validity by way of a plea or with acounterclaim.

      • KCI등재

        공동체 활동 중간지원조직의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고양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오수길 한국조직학회 2020 한국조직학회보 Vol.16 No.4

        마을공동체와 같은 시민사회 또는 지역주민의 활동을 지원하려는 (지방)정부의 노력이 늘고 있는 가운데 공동체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지원체계에 대한 논란도 늘고 있다. 지원체계의 중심에는 마을공동체지원센터와 같은 중간지원조직이 있는데, 중간지원조직이 실제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공동체 활동의 활성화에 영향을줄 수 있다. 이 논문은 고양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를 사례로 공동체 활동 지원체계를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원사업의 대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과 고양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 직원 및 지원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한 FGI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체 및 마을 전체에 대한 정보공유 필요성과 공동체 간 연대를 위한 정보공유 모임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이는 컨설턴트의 교육과 배치, 컨설팅 활동에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집행이나 회계처리 문제와 같이 법・규정이나 지방정부가풀어야 할 문제도 있었으나 단계별 또는 공동체의 성격별로 간소화하거나 사전심사또는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나아가 다양한 영역과 주체들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경험으로부터의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센터의 지원사업과 컨설팅을 설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