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함돈균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is article is trial for understanding the phantastic image in some poems of LeeSang. In spite of a lot of studying on poems of LeeSang, the fantastic image in them has not ye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he fantasy in the psychoanalysis is different from the hallucination. The hallucination in the psychoanalysis does not know the dialectic of 'I'-the other and taboo in 'the Symbol'. It belongs to 'the Real'. But the fantasy in psychoanalysis covers up the lack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That is the screen which protects the crack/lack/split of 'the Symbol'. The subject learns the desire and is made up the whole in the fantasy. It is essentially connected with the imagination. It may sound paradoxlcal, but the phantasy is a normal drama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a failure of the fantasy means a failure of 'the normal subject'. Most of LeeSang's poems show us a failure of the fantasy. For instance, 「a flowering tree」, a text in this article, fails in a drama of the phantasy. 'a flowering tree' in this text means a signifying of a split/lack/crack of the subject or the Being. It makes an effort to go to another tree in its imagination. Another tree in this text is a signifying of the totality filling up a split/lack/crack of the subject or the Being. But for all in spite of the effort, it fails. 「the cliff」, another text in this article is almost the same. 'I', the poetic subject in this text, is searching for a sweet-smelling flower. In spite of much fragrance of flowers surrounding 'I', 'I' can't search for a flower. This situation in this text means a failure of the fantasy. In addition to, 'I' encounter 'a grave' which is digged by myself. We interpret this 'a grave' in this text as trauma in psychoanalysis. And this situstion is repeated on an obsession in this text. We pay attention to much repeatition this situation in LeeSang's poems. It means not only a failure of the fantasy, but also 'a going through fantasy' as identifying not with fantasy but with a symptom. We can relate it with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These poetic 'symptoms' are related to a specific character of the poetic irony in the poems of LeeSang. The irony in the modern poetry is a mark of the split of the World; namely 'the ontological lack'. Finally, we can relate the spilt of the subject or the Being in his poems with that. This study minutely analyzes his some poems with this new angle. 시적 아이러니는 이상의 시 전체를 관통하는 키워드다. 이상은 이질적인 계열에 속하는 단어들 간의 결합, 의미상 모순되는 어휘들 간의 의도된 충돌, 동일한 형태의 구문 반복을 통한 강박의 표출, 분열된 주체, 타자와 화해하지 못하는 불화의 언표, 자기 자신에 대한 거리두기의 태도 등을 통해 시적 아이러니 자체를 자신의 창작방법론으로 삼았다. 이 경우 이상의 시적 아이러니는 주체와 타자, 주체와 세계, 주체 내부 간의 긴장과 갈등을 드러내는 미적 언표로서, 세계의 통합상에 대한 주체의 열망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주체의 분열 인식이 드러난 미적 표지이다. 즉 시적 아이러니에서 나타나는 타자와 세계, 그리고 시적 주체 자신에 대한 시적 주체의 비동화적 양상은 타자와 세계, 그리고 주체 자신을 온전한 총체성(totality)을 지닌 실체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시적 주체의 태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세계에 내재한 존재론적 결여를 드러내는 미적 증상(symptôme)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정신분석적 개념의 도움을 받아, 이상의 시 「꽃나무」·「絶壁」·「空腹」에 나타나는 시적 아이러니를 이러한 관점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관점에서 따르면 이 텍스트들을 비롯하여 이상의 시 전체에서 강박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시적 아이러니는, 존재의 결여를 은폐하고 봉합하는 욕망의 드라마인 환상이 아니라, 존재의 결여 자체를 직시하려는 주체의 무의식이 드러나고 있는 표지이다. 이 논문은 이를 정신분석에서 이른바 ‘환상을 가로지르기’라고 부르는 개념과 연결지을 수 있다고 보며, 진실을 직시하려는 시적 주체의 무의식을 반영한다는 차원에서 이것이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과 관련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 KCI등재후보

        시의 정치화와 시적인 것의 정치성 : 임화의 「네 거리의 순이」와 이상의 「가외가전(街外街傳)」에 나타난 시적 주체(화자) 유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함돈균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1

        This thesis compare Yi Sang’s poetry with Yim Wha’s poetry from the political viewpoint in literature. Until now Yim’s poetry was regarded as a radical political poetry, so called the realism, while Yi’s poetry was regarded as an extreme non-political poetry. Yim’s poetry show us a actuality by means of a dramatic narrative, so called the short epic. The subject(speaker) in Yim’s poetry very well knows his own political and historical ‘real’. Therefore we are able to call the subject of certainty or omniscient subject.. But contrary to preconception, 「Soon Yi on the crossing street」, his representative poetry, is not radical poetically. Because of eradication of uncertainty and coincidence.Whereas Yi’s poetry show us un obscure real by means of a poetic irony. The subject in Yi’s poetry always fall into confusion, what is my own real? What is the called as the unknowing subject or ‘hysterical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psychoanalysi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S.Žižek, who appropriates Lacan’s insight on social and ideological levels, hysterical subject is related to the real concealed by symbolic order or to the lack and contradiction of the world. Based on such problematics, Žižek understands the moment at which hysterical subject poses question(Che vuoi?) as symptom of the exposure of the fissures in the symbolic order and interprets this as a moment at which ideological fantasy is ruptured. The speaker(poetic subject) in 「Kawoekazeon(街外街傳)」, Yi’s poety, is hysterical subject. He poses hysterical question by means of the seeing the lack in his own real.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Yi’s poetry is able to be regarded more radical than Yim’s poetry poetically. Then Yi’s poetic radicality is radical not only aesthetic but also political.

      • KCI등재

        한국문학사 또는 한국 현대시와 정동(affect) 담론의 양태들 - 주체화, 운동, 윤리학

        함돈균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Affect(Affectus)’ is in many ways synonymous with force of encounter. Affect is born in in-between-ness and resides as accumulative beside-ness. Affect can be understood then as gradient of bodily capacity-a supple incrementalism of ever-modulating force-relations-that rises and falls not only along various rhythms and modalities of encounter but also through the troughs and sieves of sensation and sensibility.(<The Affect Theory Reader> 2010) ‘Affection(Affectio)’ is relation to the change. Spinoza and Deleuze says, Affection is the change, affect is continuous movement and the passage. But this brillant definition of the affect theory do not make explanation sufficiently it to us. What is ‘affect-affection’? This study focuses to examine the present of affect-affection the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especially Korean poem Why do korean literary critic pay attention to affect theory despite its obscurity? Why do it is admitted to major discussion of Korean literary-poem studies. The reason of the interest to this theory can be suggested in two sides. One side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affect theory is regarded as a alternative practice theory. It is, so to speak, ‘ethics’. On the other side, it is constitute to Korean poetic theory which is relation to emotion, subject, image. Especially affect theory is regarded as image of non-representation. this image is the essence of the poem.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study translation dispute about ‘affect-affection’ in Korean literary discussion. Because this theory i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translation. 이 논문은 언제부턴가 한국인문학 담론, 한국문학이론담론에서 급격하게 확산되어 비교적 특별한 검증절차 없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affection’ ‘affect’의 개념에 대한 담론적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한국 현대시 비평담론에서 이 개념이 어떤 양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유는 무엇인지, 거기에 문제점은 없는지를 검토해보려는 취지를 갖고 있다. 이때 이 개념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함의나 번역어로서 갖는 독특한 학문적 지위나 논쟁적 상황은 이 논문에 관심 사항이다. 스피노자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한 이 개념이 들뢰즈를 위시한 자율주의 이론가들에 의해 소개되는 과정과 한국문학담론, 특히 한국 현대시 비평이론담론에서 이 개념을 수용하는 양상에는 한국문학 담론 공동체가 갖는 특징이 나타난다. 하나의 학문담론이 실천적 대안 이론, 윤리적 테제의 성격을 띤다는 것이 한 측면이라면 현대시, 특히 2000년대 이후 한국시의 특징 중 하나인 ‘비재현적 사유’에 대한 비평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려는 모습은 또 다른 측면이다. 시의 비재현적 양상을 역시 언표 이전의 ‘정동적 파동’을 통해 검토해보려는 노력은 새로운 이론적 논의를 위한 탐구의 양상을 띠고 있다. 시에 대한 전통적 이미지론을 혁파해 나가려는 야심찬 시도는 그중에서 특히 주목되는 연구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동’이라고 번역된 개념이 번역상의 오류 논쟁을 낳기도 하면서, 보다 정치한 이론 이해에 대한 검토나 재고가 요구되기도 하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정반적 연구․담론적 상황을 몇 개의 중요한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해 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