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강가정과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역동성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0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4 No.-

        오늘날 가정의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정과 가족의 의미, 그리고 기능과 역할을 정확히 알고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가족발달관점과 건강의 연속성 그리고 현대 가족의 위기와 역경이라는 환경과 상황에 따른 가족 강점과 능력의 강화를 위한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역동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가족기능의 핵심요소를 파악하고 가족과정의 전개를 통해 가족의 역기능 요소들을 규명하여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가치관의 회복, 효과적인 의사소통, 개별성과 연결성 등 가족의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고 기능적인 가족과정을 증진시키는 역할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역기능적 가족의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과정의 강점과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구성원들의 노력은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형성하고, 개인의 중요성 인식과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처하는 사회체계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질리언스라고 주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족구성원들이 가족구조나 기능을 인식하고 역할의 변화에 긍정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처한다면 가족생활은 더욱 성장하고 발전할 것이다. 아울러 가족과 사회는 더 큰 복지를 위한 토대가 될 것이고 사회변동에 따른 새로운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 가족형태는 일정한 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양한 가족구조 속에서 다기능적 접근과 개인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자유의지의 시대이다. 가족구성원 각자가 레질리언스의 능력을 끌어내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함께 일하고 사랑하고 양육하는 모든 가족에게서 미처 인식되지 않았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더욱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Nowadays, family crisis becomes more aggravated. That is why many people poses demand for correct knowledge and measures on significance of home and family as well as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we know.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realize dynamics of resilience for building up original strength and capability of family from viewpoint of family development, health consistency as well as in given environment and context of modern family's crisis and adversity.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ey factors of effective family functioning and examine dysfunctional factors of family through developing family process to create a functional family system.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et priority on roles for building up family resilience and enhancing functional family process(e.g. restoration of traditional values, effective communication, individuality and connectivity, etc).Moreover, it is reasonably maintained that the strength of family process for reconciled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family and the efforts of family memb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s comprise family resilience that can afford to form a functional family system, recognize importance of individual family members, and improve their ability of social system to adapt to cope with sociocultural circumstances.Conclusively, if family members perceive their own family structure or functioning and cope positively and flexibly with their changing roles, it is expected that their family life will grow more and develop further. In addition, both family and society will be a foundation for wider range of welfare and family will be able to experience new changes involving social change.In the 21st century, family doesn't exist in specific form or category any longer. This is the age of free will which takes multifunctional approaches in various family structures and allows individuals to have discretion of decision with their own responsibility. Hopefully, it is advisable that each of family members should develop their own capability of inducing resilience, and discover and further build up unrecognized individual strength of family members who work and love with one another and bring up children.

      • 영성적 관점에서 가족 레질리언스의 이해와 적용

        이혜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09 교회와 사회복지 Vol.11 No.-

        오늘날 가족들은 빈곤과 상실, 폭력과 불화, 그리고 해체로 인한 상처들을 깊게 갖고 있다. 그러나 또한 수많은 가족의 위기와 도전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맞서 위대 스스로를 치유하고 성장하는 가족들은 여전히 있다. 욥과 야곱, 그리고 엘리사의 제자의 과부의 가정 등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감사와 축복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본다. 우리는 이들 가족에서 영성에 기반한 가족 레질리언스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영성과 레질리언스에 기반하여 교회사회사업은 가족에 대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며 임상적 경험에 의해 전문화 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MF를 탈출하고 있는 실직자 가정의 사례를 통해 기독교 가정에서 신앙적 신념과 가치에서 초월적 기능을 발휘하고 레질리언스를 강화할 수 있는 교회사회 사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영성에 기반하여 영성의 결과를 이루는 레질리언스를 분석하는 틀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고 있는 가족을 영성과 강점 관점으로 이해하려 했다는 의미가 있겠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교회사회사업과 가족서비스의 전문화에 기여할 것이다. Today, many families have traumas which resulted from poverty and loss, domestic violence and conflict, and divorce. However, although these problems endangered many families, some of the families were healing them and growing by overcoming the challenges with christian spirituality. For example, when Job"fs, and Jacob"fs, and Elisha"es pupil"fs families conquered various serious crises, the families were able to change them into glory and blessing. I believe that families with difficulties will be able to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on christian spirituality. While church social work rests on spirituality and resilience, I think that it need to invent, develop, and specialize family services. This study suggested how church social work christian families with crises can perform familiar functions and reinforce resilience from the religious belief and value by introducing a case of a christian family with unemployment. Also, this research indicated a framework of analysis which helped families in a crisis to cope with various kinds of difficulties by christian spirituality and strengths perspectives. This researcher believe that this paradigm help to develop church social work and family service.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에 대한 지원 방안 -레질리언스 관점을 중심으로-

        김유정 ( Yoo Jung Ki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소 2011 통일연구 Vol.15 No.1

        1990년대 중반 이후 증가하기 시작한 남한 거주 북한이탈주민은 2만 명을 넘어섰다. 또한 2000년대 이후 남한으로 유입되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이 증가하면서 북한이탈주민 가족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점차 활성화되었다. 선행연구 결과, 중국이나 남한에서 재결합하는 가족들이 동반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족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통계의 부재로 인해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정확한 현황 파악은 아직 어렵지만 앞으로도 먼저 남한에 정착한 가족들의 지지와 도움으로 재결합하는 가족들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그동안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증가로 인해 이들을 위한 지원 방안과 서비스에 대해 논의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족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재결합한 가족에 초점을 두고 지원하는 서비스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 과정을 포함한 레질리언스 관점을 중심으로 재결합한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남한 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은 남한 정착이라는 선택적인 도전을 받아들이며 북한이나 중국에 남아 있던 가족 구성원과 재결합한다. 가족 구성원은 재결합 후 새로운 가족구조와 역할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권에 적응해야 한다. 이러한 적응에서 야기되는 갈등과 어려움을 해결해 나아가면서 가족으로서 협력하며 긍정적인 시각과 신뢰를 가지고 성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레질리언스 관점을 토대로 한 북한이탈주민 재결합가족을 위한 지원방안이 실행된다면, 이들의 레질리언스를 강화시켜 가족관계를 향상시키고 남한 정착을 보다 원활하게 도와줄 것이다.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increased since the mid-1990s, with more than 20,000 now living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has also increased since the 2000s. This has led to active research of the situation. Earlier studies found that reunited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had resettled in South Korea in greater numbers than defectors who joined other family members who had arrived earlie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in South Korea due to the lack of statistics on them. However, it can be assumed that the number of reunited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would increase consistently with the support from family members who are already in South Korea. Due to the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families living in South Korea, strategic support plans and services for them have been discussed. However, supportive services for reunited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are rare. Therefore, supportive strategies for reunited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are reviewed here to help them adapt to South Korea, with a focus on resilience. The areas of support include believe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With a resilience perspective,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accepted ``resettlement in South Korea`` as a selective challenge and reunited with family members from North Korea or China. The family members adjust to the new structure and roles of the family after reunification and to a different culture. They also grow together as a family with a positive perspective as well as trust and hope while they resolve their conflicts and difficulties together. If supportive strategies based on resilience for reunited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were implemented, these families would strengthen their resilience and improve their family relationship and resettlement experience in South Korea.

      • KCI등재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원가족과 방위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김지현,정민자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1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family resilience through Shin Saimdang’s life history and investigate her home environment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to examine child educa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our present tim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Shin Saimdang’s life history and evaluation in order to organize her life. Dividing family life events in Shin Saimdang’s life history into the period of growth and period after marriage, this study extracted the family resilience revealed in each period and analyzed it with three key factors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in F. Walsh’s family resilience theory. In “Giving meaning to adversity” of the family belief systems, her mother, Mrs. Lee’s attitude towards adversity and positive perspective on overcoming adversity were handed down to Shin Saimdang, which resulted in the sublimation of difficulties encountered after marriage. In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her father Shin Myeonghwa’s spirit of pursuing righteousness without compromising with injustice was transferred to her son, Yulgok, in addition to Shin Saimdang, allowing him to live a life of a faithful scholar as well. In organizational patterns, there were abundant socio-economic resources in the family of origin, and her mother-in-law and husband played the role of supporters of Shin Saimdang’s artistic activities after her marriag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family of origin were democratic and gender-equal, and after marriage, her communication with her mother-in-law and husband was also smooth,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children was also effective, which became a driving force for children to show their talents and live a happy life. In Shin Saimdang’s life, family lifestyles similar to those in the present age appear,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grandparent families, separate families due to work, dual-income families, etc. However, the pres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ilience that operates through equal and democratic relations and the strength of family shows a model of a healthy family to us. 본 연구는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레질리언스를 분석하여 사임당의 가정환경과 가족관계, 자녀교육 방법이 현재 우리나라가처해 있는 가족해체 상황에서 벗어나 건강한 가정 만들기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교육의 지표를 삼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신사임당의 생애와 평가에 관련된 문헌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생애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사임당의 생애에 나타난 가족 사건을 성장기와결혼 이후로 나누어 각각의 시기에 발현된 가족 레질리언스를 추출하여 F. Walsh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의 세 가지 핵심요인(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가족의 신념 체계 중 ‘역경에 대한 의미 부여’에서 어머니 이씨 부인의 역경을 대하는 자세와역경을 극복하는 긍정적인 시각은 사임당에게 전수되어 결혼 후 닥친 어려움을 아름다운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초월과 영성’에서 아버지 신명화의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의로움을 추구하는 정신은 사임당에 이어 아들 율곡에게 계승되어 율곡 또한신의에 투철한 선비의 삶을 살도록 하였다. 조직유형에서는 원가족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풍부하였고 결혼 후에 시어머니와 남편은 사임당의 예술 활동 지원자 역할을 하였다. 원가족의 가족 의사소통 패턴은 민주적이고 양성 평등하게 이루어졌으며 결혼 후 시어머니, 남편과의 의사소통도 원활하였고 자녀들에게 스스로 모범을 보임으로써 자녀들이 본 받도록하였다. 원가족에서 경험한 부모의 양육형태는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며 건강한 원가족에서 성장한 개인은 성인이 되어서도 건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임당의 생애에는 현대에서의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직장으로 인한 별거 가정, 맞벌이 가정 등과 유사한 가족생활 형태가 나타난다. 하지만 긍정적인 원가족 경험, 평등하고 민주적인 관계와 가족의 힘으로 작동하는 가족 레질리언스의 특성이 존재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건강한 가정과 좋은 부모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 중퇴청소년과 가족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개입모형 연구

        김주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중퇴청소년가족에게 중퇴 이후 적응에 도움이 되는 학교사회사업개입 마련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중퇴청소년과 가족의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을 밝히는 시도를 하였다. 중퇴청소년가족의 적응을 돕는 보호요인으로는 개인의 경우, 성취감, 자발적 문제해결능력(자원동원), 자신의 미래에 대한 꿈.희망 소유, 적극적인 주도성과 노력, 미래에 대한 계획, 긍정적 해석과 전망, 낙천적 사고, 부와의 긍정적 관계(신뢰감, 관심 지지), 부모의 관심, 건전한 친구관계로 나타났고 가족의 경우, 역경에 대한 긍정적 의미부여, 희망과 긍정적 관점유지, 가족간의 강한 신뢰감, 자신의 잘못에 대한 인정과 수용, 가족간의 정서적 유대감, 가족원과의 갈등관계조정, 자녀를 보호·지도하는 강한 리더십, 확대가족과의 결속력, 父의 간접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의족과의 협력적인 문제해결, 가족원(모)과의 개방적인 정서적 표현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보호요인을 바탕으로 중퇴청소년과 가족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개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가족의 장점, 강점 관점에서 중퇴청소년과 그 가족이 건강하게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중퇴청소년을 포함한 가족중심의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퇴 후 학교의 지속적인 관심과 즉각적이고 책임있는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며, 지역사회복지관을 비롯한 많은 자원들과 긴밀한 연계하에 개입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of school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teenagers who dropped out of school and their families. The study was trying to find out the protective factors for their adaptation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The protective factors for individuals were revealed as feeling of accomplishment, voluntary capability of problem solving, possession of dream or hope for their future, active leading and effort, plan for the future, positive interpretation and prospect, optimistic think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one's father (trust, concern, support), parental concern, and healthy friendship. The protective factors for family were revealed as positive meaning making about adversity, strong trust among family members, recognition and acceptance about one's fault, emotional bond among family members, conflict resolution between family members, strong leadership to supervise their children, solidarity with extended family, indirec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their father, cooperative problem solving in the family, and open emotional expression with their mother. The intervention model of school social work for the teenagers who dropped out of school and their families was developed, based on these protective factors. This model is to provide services to these families including their teenagers in order for them to adjust healthily in strengths perspective. It is required that the school provides continuous support and prompt and responsible services to them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And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 intervention is made by intensive linking with various resources such as community welfare centers.

      • KCI등재

        온라인 강점기반 가족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과 효과 연구

        이경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3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an on-line strength-based family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mixed-methods study, conducted in 2015, involved eleven cyber- university students. In the quantitative portion, pre-and post-tests were used to measure family resiliency and self-control of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qualitative portion, data from the reports were us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Results: Quantitative results demonstrated that family resiliency and self-control of the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Qual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decreased and that caring, the expression of love, and trying out family activities all increased.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family strengths changed from qualities of family members to qualities of family relationships. The shift to a strength-based perspective helped with problem solving and with the finding of unique solution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an on-line strengths-based family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온라인 강점기반 가족교육 과정과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가족교육 프로그램은 2015년 5월 한 달간 온라인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이버대학생 11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혼합방법으로 프로그램효과를 분석하였는데, 단일집단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가족탄력성과 자아효능감을 분석했고, 프로그램 참여과정에 대한 과제보고서를 질적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가족탄력성과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에서 참여자들은 문제행동의 감소, 관심과 애정표현의 증가, 가족활동시도하기를 경험하였다. 또한 가족강점은 초기에는 개인 특성이 많고, 종결단계에서는 가족 관계 관련 강점이 많이 확인되었고, 강점의 직접적 활용보다 강점관점으로의 전환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고, 문제해결방법은 가족마다 독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강점기반 가족 교육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역경과 가족 레질리언스에 관한 질적 분석

        정민자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adversity and family resilience perceived by the grandchildren in low-income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o make proposals for policies to support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adversities of the families perceived by teenaged grandchildren include economic difficulties, difficulties caused by parents’ divorce, accidents and incidents experienced in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nd family conflicts. Second, the belief system of a family is a powerful force to maintain the family in family resilience, but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family show relative vulnerabi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als for social policies are made to support the power of a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as an alternative family for raising children, which resolves the issues of the alienation of children and their emotional defects due to marital dissolution which is increasing today. In other words, these include the necessity of the enactment of ‘support for supporting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act (bill)’ and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include grandparents in the scope of visitation right after divorce’ for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In addition, institutional enactment and interest are required, including s system for supporting extrinsic services, family counseling through vouchers, connection with school and social system and various support systems for community networks to resolve the issue of adversity specific to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본 연구는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역경과 가족 레질리언스를 심층면접을 통해 분석하여, 조손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연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십대 손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역경은 경제적 어려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어려움, 조손가족에서 겪는 가족 내의 사건 사고, 가족 갈등으로 대표된다. 둘째, 가족 레질리언스에서 가족을 유지하는 강력한 힘은 가족의 신념체계이나, 가족의 조직체계와 의사소통 과정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오늘날 증가하고 있는 부부해체로 인한 자녀의 소외와 자녀의 정서적 결함의 문제를 해결하는 자녀양육 대안 가족으로서, 조손가족의 힘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제안을 하고 있다. 즉 ‘조손가족지원법(안)’ 제정, 조손가족의 경우 ‘이혼 면접교섭권 범위에 조부모를 포함’ 하는 제도적 개선 등이다. 또한 조손가족의 특수한 역경의 문제를 해결하는 외재적 서비스 지원체계와 가족상담, 학교 사회체계와의 연계, 지역사회네트워크를 위한 다양한 지원체계 등을 포함한 제도적 법률제정과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 KCI등재

        실종아동 가족의 레질리언스가 가족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은숙,김형모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influences family resilience of missing children have on family stress. This study had three hypothese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family resilience of missing children could positively alleviate and reduce family stress. To verify the hypotheses, 45 cases from National Center for Missing Children in Korea between 1986 and 2007 were us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process, group pattern, and belief system of missing children's family are higher than the mean. It can be interpreted that missing children's family have a lot of family resilience. Second, family stress are higher than the mean as well. It shows that financial burdens put the greatest strains on missing children's family. Thir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stress showed that family stress is meaningfully related to group pattern of family resilience. Four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f missing children on family stress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have influences of family stress, and especially faith system and group pattern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family resilience of missing children influences missing children's families who go through various forms of stress after the children are missing, and strengthened resilience can actually reduce the stress in the families As a result,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are needed to reduce the stress in the missing children's families. 본 연구의 목적은 실종아동 가족의 레질리언스가 가족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특히 실종아동 가족의 레질리언스의 어떤 요인이 실종아동 가족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보건복지가족부 위탁 어린이재단 실종아동전문기관에서 1986년부터 2007년까지 관리하고 있는 실종아동가족 중 45사례를 본 연구의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종아동 가족의 레질리언스의 의사소통과정, 조직패턴, 신념체계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실종아동 가족들이 전반적으로 가족 레질리언스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종아동 가족의 스트레스 수준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종아동 가족이 가장 크게 느끼는 스트레스는 경제적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가족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가족 레질리언스의 하위요인은 조직패턴의 연결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회귀분석의 결과 가족 레질리언스의 하위요인 중 신념체계와 조직패턴이 가족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통해 본 주요인물의 성격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서현실,정민자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ividual strength and family resilience of three main characters,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family as an axis of resolving problems when they encounter crises and adversities in their growth process, utilizing a fairy tale,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Leafie, A Hen into the Wild).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the data analyzed utilizing the fairytale should be provided as baseline data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gram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wang, Sun-mi’s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As the analysis tools of the study, Peterson & Seligman’s scheme for VIA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 and Walsh’s family resilience elements, including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system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three main characters’ common virtues, the Key virtues of courage and humanity were found. As for personal strengths, the main character Leafie(Yipsak) had spirituality, gratitude, and hope. Wanderer (Nageune) had leadership, and Greenie (Chorok Hed) had patience. Second, the family maintained itself strong through the family belief, cooperation and support among the family members, open emotional expressions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when they confronted crises and adversities. Last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trength and family resilience for families,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studies of the strengths of the characters in the fairy tales, that have positive psychological values that are increasing today and family resil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활용하여 성장과정에서 위기와 역경에 직면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가족으로 구성된 주요 등장인물 3인의 개인 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동화를 활용하여 분석한 자료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것을 제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이다. 연구 분석 도구로 Peterson & Seligman의 성격강점 VIA 분류체계와 Walsh의 가족 레질리언스 요소인 신념체계, 조직체계 패턴, 의사소통 과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인물 3인의 공통적 덕목으로 용기, 인간애의 핵심 덕목을 발견하였다. 개인 강점으로 주인공 잎싹은 영성과 감사와 희망의 강점을 가지고 있다. 나그네는 리더십 강점이 부각되었고, 초록머리는 인내의 강점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은 위기와 역경에 직면했을 때 가족의 신념, 가족 간의 협력과 지지, 개방적 정서 표현과 상호 협력적 문제 해결로 가족의 역량이 발휘되었다. 끝으로 긍정심리 가치를 가진 동화 속 인물들의 강점과 가족 레질리언스 연구를 통해 가족과 부모 및 자녀를 대상으로 강점 및 가족 레질리언스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경 ( Min Kyeong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3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 레질리언스와 사회부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해보고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에 대한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국제결혼한 한국남성 17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와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는 레질리언스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사회부적응과는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레질리언스는 사회부적응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부정적 정서가 높은 경우 레질리언스는 낮게 나타나고, 사회부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레질리언스가 높은 경우 사회부적응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는 레질리언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레질리언스는 사회부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어 레질리언스가 높을수록 사회부적응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정서는 사회부적응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주었고, 레질리언스를 통해 사회부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레질리언스는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즉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이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가 높다하더라도 레질리언스가 높다면 사회부적응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레질리언스 향상을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야 하며 특히 레질리언스가 이들 변인을 매개하고 있어 사회부적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방안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correlation among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resilience and social maladaptation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among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and social maladaptation. The subjects were 172 intermarried Korean m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and AMOS. The instruments were McCubbin (1981)`s FILE, Bradburn (1969)`s Negative Emotion Scale, Lee (2006)`s Resilience Scale, and Shin (2001)`s Mental Health Scal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amily stress and negative emo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maladaptation. 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maladaptation, and resilience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negative emotion and social maladaptation. Family stress and negative emotion influenced resilience. Ego resilience influenced negatively social maladaptation,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termarried Korean men`s social maladaptation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in order to build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