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지역사회조직화에 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

        남화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선행연구1)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인구학적 요인, 개인의 경험적 요인, 기관의 환경적 요인, 기술적 요인에 따른 지역사회조직화의 개념, 이론 및 실천모델의 이론적 준거틀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연구자가 제시한 단계별 실천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지역사회조직화의 이론적 준거틀에 관한 조사결과 개념의 경우 지역사회욕구를 발견하여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자원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주체적․자발적 참여 및 참여 촉진 활동 등을 통한 주민조직화’로 인식하고 있었고, 관련이론으로는 ‘생태이론’, ‘체계이론’, 실천모델로는 ‘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개발모델’, ‘로스만(Rothman)의 사회계획모델’을 기반으로 하면서, 문제나 지역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이론과 실천모델의 인식을 통한 적용 및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조직화 실천의 단계별 실천과정의 필요성에 관한 조사결과 전체평균 4.26점(최대값 5)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조직화의 이론적 기반 형성과 실천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과정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한국형 지역사회조직화의 실천모형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study is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cognition of social worker in concept, theory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practical model in community organizing and the necessity of practice process show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factor of social workers, empirical factor of an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of the center, and descriptive factor.As the result of research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ty organizing, firstly, the concept is perceived ‘the professional community organizing practice process, exploring and effectively solving the social problem through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and ‘the organizing residents, mobilizing the resource inner the community and solving the social problem through independen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romoting participation activity’. And on the basis of‘ecology theories’ and ‘systems theories’ as related theories and‘locality or community development model(Rothman)’ and ‘social planning model(Rothman)’, it is cognized that it is required the adaptation and approach through the cognition in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 model according to social problem or local character.Secondly, the result of research of the necessity of the practice process represent the respondentreplied average 4.26(maximum 5).These study show the course of study in order to form theoretical foundation and establish applicable practice process in the field, and samely is anticipated to be utilized basic data to develop Korean community organizing henceforth .

      • 노인주거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내용과 해결유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경기도 ○○노인주거복지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자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사회복지 전문직은 휴먼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로 고도의 윤리적 통찰과 결단이 요구되는 윤리 지향적 전문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윤리에 대한 사회복지학계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은 아직도 부족하다. 그간 수행된 사회복지 윤리관련 연구들은 하버마스의 보편윤리사상을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적 논의, 사회복지 실천 가치와 윤리가 지향하고 있는 내용, 자기결정과 관련된 문제 등 주로 이론적 논의에 머무르고 있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윤리적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그 중 가장 빈번하면서도 사회복지사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실제로 겪고 있는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내용과 결정 과정 그리고 해결유형을 살펴보고자 질적사례연구방법으로 연구문제에 접근했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경기도 ○○노인주거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10명의 현직 사회복지사들로부터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take(1995)가 제안한 4단계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의 딜레마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는 유형을 가치론적 결정형, 절충형, 회피형으로 분류했다.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직면하는 윤리적 의사결정 딜레마의 양상과 원인 그리고 결정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찾을 수 있는 함의는 연구 참여자들은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과 같은 이론적 기준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관의 정책, 전문가의 조언, 기관 관계자들의 견해는 물론 자신의 가치관, 클라이언트의 구체적 상황 등 모든 맥락을 최대한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을 좀 더 유연하게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윤리적 민감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위를 위해서 슈퍼비전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과정을 포함하고 이를 지도할 수 있는 윤리슈퍼비전전문가의 양성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담당 사회복지사들이 감당하기 벅찬 윤리적 문제도 적지 않게 발생되는데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기관의 관계자, 성직자, 학계와 같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한 사회복지실천현장윤리위원회의 실효성 있는 운영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ocial welfare is a profession which provides human services and can be called as a profession that promotes ethics. It requires acute ethical insight and decision making. Howev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nterest towards ethics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social welfare area.The existing studies concerning ethics in social welfare are mainly about exploratory discussions on whether universal ethics theory by Habermas is applicable to actual sites, contents of what the value of conducting social welfare and ethics are promoting and problems related to personal decisions.There could be various problems related to ethics at the social welfare work site but the most common of all and the most stressful of all to social workers would be ethical decision making. As a result, this research approaches the problem with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observe the contents of ethical decision making dilemmas,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ypes of solutions. Materials necessary for the research was attained through in depth interviews with 10 social workers working in 00 elderly facility in Gyeonggi-do. Analyzing of the accumulated data was done accordingly with 4 processes suggested by Stake(1995).As a result of the research, 3 patterns were found in dealing with ethical decision making dilemma, "party that makes decision based on theory of value", "party that compromises", and "party that avoids". Aspects, causes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ethical decision making dilemma that social workers face on site, turns out to be very complicated and diverse. However, one common thing that the research found was that research participants did not make decisions depending on theoretical standard like "Ethical decision making models" but had a strong tendency to make decisions by considering every related context. For example, he or she would not only consider the policy of the organization, advice from professionals, and opinions of the personnel of the organization, but also, personal values and other specific situations.Thus, there needs to be a measure that would enhance ethical sensitivity in order to help social workers overcome ethical decision making more easily. This could be possibly done by including a course about ethical sensitiveness in the supervision process and rearing experts on supervision related to ethics. Also, problems that social workers in charge cannot manage occur at times. As a response, effective running of "On site social welfare ethics committee", consisted of experts outside the organization like related personnel of the organization, clergy, and academic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 교정현장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하태선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4 No.-

        현대사회에서 범죄문제는 개인 간의 물리적인 피해와 함께 경제적, 사회적 피해를 발생시키며 지역사 회의 신뢰관계를 무너뜨리는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교정복지란 범죄로 인 해 발생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해결하고 범죄 당사자들의 원만한 사회복귀를 위해 노력하는 일련의 과정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범죄 현황과 교정현장을 파악함으로써 교정복지의 필요성과 교정 복지 분야를 이해하고, 기존의 사회복지실천 모델들의 교정복지 현장 적용을 위해 제안을 시도하고자 한다. 교정현장의 사회복지실천 적용을 위해서는 첫째, 교정현장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교정대상자 및 교정현장에 적합한 사회복지실천 모델들이 개발되고 실험되어야 한다. 셋째, 교정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실천가 양성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정현장의 민간자원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교정현장이 개방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정대상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Crime is a serious problem in the modern society and caused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damage between individual.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rrectional social work practice field and to apply to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model into correctional field. In order to apply the social work practice into correctional field, First, We have to understand correctional field. Second, We have to develop correctional social work practice models. Third, We have to prepare the practitioners training program for correctional social workers. Fourth, We try to be open public correctional field and to be participate private resource. Finally, We need policy support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offender.

      • 문화를 통한 사회복지실천 경향 분석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이론을 통해 문화와 사회복지의 역동성을 찾고, 사회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영역의 다양화를 함축하여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트렌드를 구축하는데 있다. 또한 불확실성의 현대사회에서 개인과 사회의 융합적 시대적 소명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동안 사 회복지실천의 궁극적 목표를 가치의 실현에 두고 지식과 기술을 터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가치기준의 사회학적 의미와 개인의 경험적 검증에 따른 과학적 기술, 도덕적․ 시민사회에 대한 헌신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트렌드 구축은 문화와 사회복지의 역학관계를 인본주의 심리학과 사회학을 토대로 개인적 성향인 자기절제나 내적의지의 표현인 예술과 도덕, 윤리 등 감정영역의 확대에서 찾아야 한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에서 문화적 차이를 엿볼 수 있는 칼 로저스의 개인적인 경험과 관점 즉 개인 간 의사소통의 기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확하고 정직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구조로부터 많은 종류의 책임, 요구, 의무 따위들이 부과되면서 합리적 행위자 (Rational agents)에게 욕구 외적 이유의 문제 해결이 대두된다. 그리고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이 인과적으로 충분한 조건이 미리 결정된 것은 아니고 작용 공간 혹은 여지를 상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유의지가 전제되지 않고는 삶의 영위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능동적인 행동이 요구되는 어떤 경우에서도 자유의지는 전제되어야 하며 의식의 구조상 자유의지를 상정하지 않을 수도 없는 것이다. 결국 자유의지와 경험성의 차이에서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트렌드는 칼 로저스(C. R. Rogers)와 아브라함 매슬로우(A. H. Maslow)의 인본주의적 존재의 심리학에서 마틴 셀리그만 (M. E. P. Seligman)의 실존주의적 긍정심리학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역시 사회적 측면에서도 사회는 우리가 인정하는 한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성격의 것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사회의 제도적 장치는 집단 지향성 능력이며 고유의 문화적 활동인 것이다. 이 시대 진정한 사회복지실천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망라하여 사실로부터 당위를 이 끌어 낼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 도덕과 윤리가 합리적으로 실현되는 장이다. 평균윤리라 할 수 있는데 일상적 삶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윤리적 목표가 고상하고 의지가 강한 사람으로 변화는 것이다. 이것이 달성되어야 원칙적 명령과 요구를 의미하는 개인의 존재와 사회의 지표가 되는 준거점이 정립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new trend of social work practice by seeking dynamics in culture and social welfare through a culture theory and connoting diversification in social welfare area according to a social change. Also, the aim was to accomplish a convergence-based periodic mission in an individual and society in modern society with uncertainty. An ultimate goal of social work practice was put on the realization of value and has focused on acquiring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meantime. On the other hand, a devotion to scientific technology and ethical․civil society is demanded now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sense in the value criterion and to an individual's empirical verification. In terms of implementing a new trend of this social work practice, the dynamics between culture and social welfare should be sought in the expansion of the emotional spectrum such as self-discipline, which is individual propensity, or as morality․ethics, art, which correspond to the expression of an internal will based on humanistic psychology and sociology. Especially, it is what delivers own emotion and thought accurately and honestly with regarding Carl Rogers's individual experience and perspective, which can be observed a cultural difference in the social work practice, namely, an individual-based communication skill as important. However, problem-solving is emerged about an external reason of a desire in rational agents with being imposed many kinds of responsibility, need, obligation and others from the social structure. And our all behaviors are not those that were previously determined a causally enough condition, but need to be proposed the functional space or room. That is because managing life is impossible without being premised a free will. Even in any case of being requested an active behavior, a free will need to be premised. In light of a structure of consciousness, a free will cannot help being proposed. Ultimately in a difference between a free will and experientiality, a new trend of social work practice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existential positive psychology by M. E. P. Seligman from the humanistic existential psychology by C. R. Rogers and A. H. Maslow. Even in the social aspect, society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exist just as far as we recognize. Nevertheless, there is a need to realize that an institutional device in society is the group-oriented ability and the peculiarly cultural activity. The true social work practice in this era can be said to be a place of implementing the foundation available for drawing the appropriateness from a fact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of being rationally realized morality and ethics. Making a suggestion, it can be mentioned to be the average ethics and is what changes into a person who satisfies a demand of daily life, whose ethical goal is noble, and whose will is strong. Only when this is achieved, the standard point will be established that becomes an indicator of an individual's existence and of society implying a principle-based command.

      • 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과 한국교회의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

        최광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본 논문은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일반사회복지와 기독교사회복지가 그 차이점을 발견하면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기독교사회복지가 실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기독교가 사회복지활동에 참여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사회복지가 기독교 신앙과 다른 입장에 놓여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가치 충돌이 기독교사회복지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가 무엇인지를 밝혀내기 위해서 포커스그룹 인터뷰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사상(이념), 가치, 주체, 대상, 동기, 목표, 영역(범위), 방법, 재원 등 9가지 차원에서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상(이념)’ 차원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을 소중히 여기는 하나님 중심의 사상인 ‘신본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고, ‘가치’ 차원에서 ‘진리가 주는 자유’,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평등’,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정의’를 그 가치로 여겨 결국 성경이 제시하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고 밝혀졌다. ‘주체’ 차원에서 교회, 기독교기관, 기독교관련단체, 기독교공동체, 그리고 기독교신자개인이 주체가 되었다. ‘동기’ 차원에서 ‘이웃사랑’이 실천의 동기가 되었고, ‘목표’ 차원에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목표가 된다는 것이 그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범위)’ 차원에서 영적 차원도 포함시키는 영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법’ 차원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총체적 회개’가 중요한 방법으로 등장하고, 사회복지학과 인접학문의 이론과 실천 기술에 대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적용이란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원’ 차원에서는 일반사회복지의 재원 모두와 특별히 교회 지원금 및 성도의 후원금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에 입각하여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to hav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 found between the general social welfare and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ried to make sur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I analyzed whether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have been practised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Because many churches of christianity participate in social welfare works nowadays, and the position of general social welfare is different from i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Furthermore the Conflict of values can happen in field of christian social welfare. My purpose to find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s in here. In this research, I selected a method of interview with focus group to find what is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As a result, the fact that 9 categories are different have been founded. Those are thought(or Idea), value, agent, object, motive, scope(or sphere), method, financial resources. In a category of thought, It have been founded that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ake the position of God-centered which regard human preciously as a image of God. And it have been founded that in a category of value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ursue a freedom through the truth, equality as a image of God, and consider a righteousness of kingdom of God as a value of itself. Ultimately, this values agree to it of the Bible. In a category of agent, churches,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groups connected with christianity, christian community, and christian individuals are main leaders. In a category of motive, to love neighbor is the practical inducement, and in a category of object, the kingdom of God is a goal. In a category of scope, spiritual parts was included partially. In a category of method, overall repentance to change lifestyle made an appearance as a important way, and turned out to select a way to apply the theory and practice skill of related sciences on a basis of a christian view of world. In a category offinancial resources, a whole fund of the general social welfare and both donation of churches and christian individuals is included in. Finally, In analysis of a practice rea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t turned out that christian social welfare have been worked on a basis of the identity of it.

      • 기초자치단체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권오균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기초자치단체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공부문 전달체계 문제점을 살펴보면, 복지담당 공무원 부족으로 양질의 서비스 제공 어려움, 공급자 중심 서비스 제공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서비스 연계 및 조정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해야 할 일을 살펴보면, 별도 조직 신설, 종합전산망구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전달체계 문제점을 살펴보면, 기관 및 시설 간 연계/조정의 미흡으로 서비스 중복 및 미흡, 종사자들에 대한 열악한 처우로 사기저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노인복지서비스 중복과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살펴보면, 정보네트워크 구축, 사회복지협의체 활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노인복지서비스 연계 조정 정도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노인복지서비스 연계 조정 미흡 원인을 살펴보면, 정보공유시스템 구축 미비, 공급자 중심 운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것을 살펴보면, 정보공유 및 교환 위한 공통 전산망 구축,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정기구 신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관협력체계구축의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면, 중복 및 누락 방지, 다양한 서비스 통합 제공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관협력체계구축의 부정적 효과를 살펴보면, 책임전가, 영역이기주의 발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 가운데에서 기능분담의 체계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복지 서비스를 담당할 복지담당 공무원의 증가가 필요하다. 셋째,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민간부문 노인복지 서비스 간 연계 및 조정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직신설과 통합전산망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각 부분 간 정보공유 및 교환을 위한 공통 전산망의 구축 및 관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elderly local governments understand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based on this development was to provide direction. Looking at the public sector delivery system problems, welfare officials difficulties due to lack of quality services, services providers, such as the center in order. Elderly conjunction and coordination services to enable one to look at as soon as possible, the organization established a separate, comprehensive computer network such as the building in order. Looking at the private sector delivery system issues, linkage between institutions and facilities / lack of service duplication and lack of coordination, poor treatment of the workers, including the morale in order. Elderly private sector services necessary to avoid duplication and waste that the look, the information network construction,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council in order.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ook at the degree of linkage adjustment, were generally not well be made.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sector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ook at the cause of lack of linkage adjustment, lack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such as provider centric operations in order. Public and private sector cooperation look at what is needed to build, a common computer network for information sharing and exchange, build, integrate and manage new, such as the adjustment mechanism in order. The positive effect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o build a look at the system, prevent duplication and omissions, provides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integrated in order. Public-private partnership system look at the negative effects of building, liability transfer, the area was in the order of occurrence selfishness.Based on this proposed policy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of the principles of sharing in the function of the need to establish chegyeseong. Second,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officials will be responsible for an increase in welfare is needed. Third, the elderly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measures is needed. Fourth, the private sector linkages and coordination between the elderly and welfare services to enable the integration with the organization for new build computer network is required. Fifth, the sharing an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arts of the building and management of a common computer network will need.

      •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 서비스중복에 관한 인식 연구 - 오산시 사회복지서비스 실천가를 중심으로 -

        이상주,노상은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 서비스중복에 대한 실천가들의 인식을 통해 서비스중복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의미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로서,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오산시 사회복지 기관(시설)에서 근무하는 실천가 5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일대일 심층인터뷰로 이루어졌다. 인터뷰 횟수는 2회~4회이며, 1회 인터뷰 시간은 1시간~1시간 40분이었다.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은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Giorg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근무하는 실천가들은 서비스중복에 관한 인식에 본질적 요소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3개와 하위구성요소 14개의 주제로 구조화 되었다.3개의 주제는 조직차원, 지역사회 차원, 국가 차원 3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14개의 하위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조직 차원에 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종사자 업무과다’, ‘기관장(대표)의 인식 부족’, ‘시설(기관)의 장기적 종합계획의 부재’, ‘대상자를 고유 정보로 인식’으로 도출되었고, 지역사회 차원의 5개의 하위구성요소는 ‘대상자 정보 공유 미비’, ‘네트워크를 위한 공식적 기구 부재’, ‘사회복지 유사서비스 제공기관 증가’, ‘행정기관의 무책임성’, ‘시설 간 네트워크 노력 미비’로 도출되었고, 국가 차원의 5개의 하위구성요소는 ‘관련 법 부족’, ‘평가제도의 문제점’, ‘복잡하고 다양한 복지욕구의 증가’, ‘복지기관(시설)의 투명성 강조’, ‘복지 자원의 한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 서비스중복에 대한 심층적인 의미와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향후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의 서비스중복을 개선하는 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ore empirical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duplication of servic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on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a social service agency (facility) located in Osan-si, Gyeonggi-do, South Korea. In addi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April 2013, and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an empirical one-on-one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to four times, and eac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one hour and forty minutes.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data analysis applied the Giorgi method. As a result, the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s were structuralized to the subject of three components and fourteen sub components consisting of essential components in recognition of the duplication of services.The three subjects were derived as the three components such as organizational, local community and national levels and fourteen sub components and fourteen sub components. The fourteen sub components were derived as follows:First, it was four sub components in the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excessive workload for workers', 'lack of organization chief (representative) awareness', 'absence of long-term comprehensive plan of facility (agency)' and 'recognition of target as idiosyncratic information'. Second, the five sub components in the local community level were derived as 'inadequacy of information sharing on targets', 'absence of official organization for network', 'increase in agencies providing similar social welfare services', 'irresponsibility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inadequacy of efforts to create a network between facilities'. Third, the five sub components in the national level were derived as 'shortage of relevant laws', 'problems with evaluation systems', 'increase in complex and diverse welfare needs', 'emphasis on transparency of welfare agencies (facilities)', and 'limitations of welfare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provide empirical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in the future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policies to improve the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조직화사업의 전문적 실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남화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지역사회복지관이 기존의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의 기능에서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이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적인 목적사업으로 인식됨에도 대부분의 기관들은 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할 이론적 연구도 부족하다. 지역사회조직화와 관련된 학문적 개념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으며 관련 이론과 모델을 적용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일부 제시된 실천모델의 경우에도 이론적 뒷받침이 없고, 실천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자별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 지역사회조직화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실천모델을 뒷받침하는 이론 제시와 실천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천모델, 실천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의 전문적 실천을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제와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조직화의 개념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들에 대해 학자들 간에 정립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은 제시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지역사회조직화 실천과정에 다각적으로 활용해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조직화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차원에서 조사 및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교육훈련의 과정을 마련해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공식적, 비공식적 지역주민의 조직과 사회기관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공동의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하는 역할도 지역사회복지관을 거점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hen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provides the existing social welfare services, though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is perceived as a necessary means to solve social problems, most of the organs are not only lack of the experiences, but also lack of the theoretical researches to support the project. Scholastic concept on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is not sufficiently logical, and there are also few researches appling related theories and models on it. Some of the practical models are not supported by logic and do not fully include a series of the process as well. Therefore, this research redefines the concept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by scholars. And it also offers the logic to support the practical models, and presents applicable practical models and practical process which are fit for the field.The results presents that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should execute following suggestions and directions. Firstly,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should be clearly defined among the scholars. Social workers should try to apply the presented theories versatilely through the practical processes. Secondly, to boost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we need the system to support the research and study, and to provide consistent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organ level. And lastly, it should be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hat consolidates the network between the local community organs and social organs, and makes efforts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gether through both the formal and inform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 아도르노와 사회복지:「부정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장정연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사회복지는 촘촘한 날줄과 씨줄로 연결된 관계들의 망 속에 존재하는 하나의 매듭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매듭을 풀기 위해 가능한 여러 생각들을 하고 다양한 학문들을 보고 읽고 듣고 하면서 가능성의 장으로 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도르노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론과 실천 사이에서 계기 찾기가 가능한지 그 의문에 응답할 수 있는 사회복지의 새로운 도전이기도 하다. 여러 문제의식 속에서 사회문제들을 분석한 아도르노의 저서를 토대로 부정의 변증법이 지닌 사회복지적 함의에 주목하였다. 아도르노의 부정은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폐쇄적 사고가 아닌 사고의 계기를 찾을 수 있는 개방적 사고이다. 사회복지는 변화무쌍하여 우연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사건들이 무수히 많은 층을 이루고 있다. 사회복지는 사회에서 실현되기에 그 자체가 실천이고, 실천 속에서 작용하여 관계들의 망인 상호영향 속에서 이론이 생성된다. 생성된 짜임관계들을 풀어내기 위해 사회복지사는 의문을 던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에서 그의 비판이론을 통해 사회복지에서의 또 다른 실천 개입들을 이론과 실천의 접목이라는 차원에서 재구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실천이 자명하지 않더라도 자명할 수 있는 것은 실천과 이론이 가지는 모순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우리는 모순의 현상을 직시하여 그 현상 속에서 여러 논의들을 하며 또 다른 가능성을 펼쳐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부정의 사유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변화무쌍한 사회복지인 만큼 다양한 의미 속에서 그리고 다양한 층위에서 아도르노가 말하는 ‘부정사유’는 여러 함의를 우리에게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Social welfare can be said to be a knot in the network of relations that are connected by dense lines and lines. We must enter into the field of possibilities by reading various ideas, reading, and listening to various ideas to solve the complex kno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Adorno 's theory and practice. It is also a new challenge of social welfare that can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gauging is possibl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ased on the book of Adorno analyzing social problems in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problems, he paid attention to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 of the Negative Dialekt. Adorno 's Negative Dialekt is an open - minded thought to find an occasion of thought, not a fixed, unchanging, closed thought. Social welfare is changing, and there are innumerable layers of incidents and unpredictable events. Social welfare is practice itself in realizing it in society, and it works in practice and theories are created in the mutual influence of the networks of relations. The social worker needs an attitude of asking questions to solve the generated relationships. Through his criticism theory in social welfare, we can reconstruct another practice intervention in social welfare in terms of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 Even if practice is not self-evident, what can be evident is that it comes from the contradiction of practice and theory. We must be able to face this phenomenon, to engage in various discussions in the phenomenon, and to open up another possibility. I tried to find this out of the Negative Dialekt. As a changeable social welfare, Adorno's 'Negative Dialekt' in various meanings and on various levels can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to us.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최근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기초한 연구와 더불어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패러다임의 흐름과 관점, 그리고 이론과 모델은 아직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이 커다란 변화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은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 및 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데올로기(Ideology)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근간이 되는 전통적 방법론을 역사적으로 전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시대적 변화의 당위성을 찾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 발달현상으로서의 통합적 방법과 문제해결과정모델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기반을 통해 역량강화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이론으로 대두되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인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론적 함의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e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ctively increas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ore elaborate research is performed methodologically along with a research based on empirical analysis. However, a flow & perspective and a theory & model in paradigm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model of traditional Social Work Practice is being applied yet without a big change. However, the existing theory and model in Social Work Practice have limitation in understanding a social change according to a situational change among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which had influenced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Social Work Practice, and searches for necessity of a historical change in Social Work Practice while historically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ology,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Especially, it examines usefulness of Empowerment Model through the integrative method as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 Social Work Practice, and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model, and considers theoretical implication on new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communication theory, a German sociologist Jurgen Habermas's critical theory, which is being emerged as new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In conclusion, the aim is to suggest new theoretical frame through consider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a cause for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