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개입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중심으로

        강선경,이춘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itive factors for social welfare counselors to overcome the dilemma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secure academic basic data, to set a direction for social welfare counselors to promote counseling intervention efficiency, and to establish a practical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counseling education. would like to provi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managers with experience in counseling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at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elder protection, and an exploratory case study method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essential themes and 16 revealed themes were derived: clash of values ​​and reality: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lack of counseling intervention ability: metamorphosis, seek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work. second, in the narratives of the social welfare counselors at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it was possible to find respect for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efforts to align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with their own liv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values,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 of counseling practic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roles and functions, as they try to maintain consistency that is not different from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their live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direction necessary to nurture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practice where the demand for experts is rapidly increasing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as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상담원들이 상담 개입의 딜레마와 그것을 극복하는 긍정적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학문적 기초자료 확보와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 개입업무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방향 설정 및 사회복지상담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 사회복지상담개입업무와 슈퍼비전 수행 경력을 가진 관리자급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탐색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와 현실의 충돌을 사회복지 실천 가치로, 상담개입 능력 부족을 환골탈태로 극복하며 상담개입 업무 전문성을 위한 필요 모색이라는 3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드러난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노인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상담원들의 내러티브에서 생명존엄, 노인의 삶에 대한 존중과 함께 사회복지 실천 가치를 자신의 삶과 합치하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자신의 생활에서 사회복지 실천 가치와 다르지 않은 일관성을 유지하려 노력하므로, 상담실천의 주요소 중 하나인 가치의 문제가 역할과 기능의 수행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실천에 대한 기본 가치와 기술의 융합적 통합으로 다양한 상담 교육의 기회 부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급격히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회복지상담실천 영역에서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향이 제시되었다는데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상담 실천의 통합 절충적 4단계 모형 연구: 탐색-통찰-실행-유지

        고수현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Social worker is a social work counseling profession whose major job is counseling for people who need social service in social work theory or social work law. In addition, since the Flexner syndrome of 1915 in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emphasis has been placed on case work using psychiatry and psychological theor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practice. 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t much research accumulation on social work counseling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both at home and abroa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establishes a four - level model of social work counseling practice stage by applying the integrative eclectic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set up a four - level model of social work counseling practice stage by applying integrative eclectic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and skills. And to present the theories and skills of social work counseling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detailed levels of practi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ttention stage and listening, re - statement, encouragement, question, empathy and reflection technique in human centered theory can be applied in facilitating exploration as the first level. In the second level of facilitating insight, the challenge and confrontation, immediacy, self-disclose, clarification, and interpretation skill in psychodynamic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third level of facilitating action, information provision, advisement, directives, cognitive restruction, systematic desensitization and relaxation training in cognitive-behavioral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fourth level of facilitating maintenance, non-directed motivation, directional motivation, advocacy and self-assertion, competence strengthening and empowerment skills can be applied in motivation interviewing and capacity building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mpetence of professional social work counseling skill as a integrative eclectic social work counseling skill that is appropriate for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with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psychological counseling.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이론적으로나 사회복지사업법 상으로 볼 때도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상담업무를 주요 직무로 하는 사회복지상담 전문직이다. 또한 사회복지발달사에서 1915년의 플렉스너 증후군(Flexner syndrome) 이후로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정신의학 및 심리학 이론을 활용한 케이스워크에 중점을 두었던 것도 사회복지전문직들의 상담능력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도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에서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연구축적물은 많지 않다. 따라서 사회복지교육이나 실천 장면에서는 여전히 체계적인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정체성 정립의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상담의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정체성을 확립한 후, 통합 절충적인 심리상담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여 4단계로 구성된 사회복지상담 실천모형을 제시하고, 그 세부적인 촉진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사회복지상담이론과 기술들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결과, 첫 번째의 탐색 촉진단계에서는 인간중심이론에서의 주의집중과 경청, 재진술, 격려, 질문, 공감과 반영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의 통찰 촉진단계에서는 정신역동이론에서의 도전과 직면, 즉시성, 자기개방, 명확화, 해석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세 번째의 실행 촉진단계에서는 인지-행동적 이론에서의 정보제공, 조언, 지시, 인지재구조화, 체계적 둔감화와 이완훈련 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네 번째의 유지 촉진단계에서는 동기강화상담과 역량강화이론에서의 비지시적 동기강화, 지시적 동기강화, 옹호와 자기주장, 역량강화와 권한부여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일반적인 심리상담과의 차별성을 가진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에 걸맞은 통합 절충적인 사회복지상담기법으로서의 전문적 사회복지상담기술의 유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과 노인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연구: 정보화 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을 중심으로

        고선애(Goh, Seon Ae)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이 행복감, 생활만족과 연관이 있는 심리적 복지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0세 이상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수강자와 수료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중요 요인인 정보화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 3개 요인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를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 심리적 복지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화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 3개 요인은 심리적 복지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여가활동만족은 심리적 만족감에 상관관계와 영향력이 가장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 culture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on psychological welfare concerning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a total of 114 senior citizens aged 60 or order, who were taking (or took) an art & culture education program. Then, th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art & culture education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est in art & culture,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fare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ll three factor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far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correlation and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fare.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김수진,정경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b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For this, 47 paper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journal papers, and the research statu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lated research from 2011 to 2021 increased in 2020. increased in 2020 and has been published in 27 various journals. Seco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mainly by teachers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93.6%. Third, there were many studies in which the emo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played a ro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58% of studies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teacher on job-related variables, 26% on individual teachers, and 16% on relationships between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uture research tasks and suggestions on emo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감성리더십 연구 방향과 과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관련된 국내 학술지 논문 47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2011~2021년 연구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 연구는 2020년도에 수적으로 증가하였고 27개 기관에서 출판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를 중심으로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설문지를 활용한 양적연구(93.6%)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내용에서 다수의 연구들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독립변수의 역할을 하는 연구들이 많았는데, 조직 및 교사의 직무관련변수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58%, 교사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26%, 유아, 부모, 교사들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16%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 연구 주제와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사회복지사가 코로나 19 상황에서 경험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이오복,권순애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the preliminary social workers who performed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our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th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were derived. The type were that ‘Measures need to be developed’, ‘uncertainty of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education’, ‘More needed role in times of disaster’, ‘The meaning of practice in the contextual limitations of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thes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three suggestions are as follows. A sustainable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system even in the closed situ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educa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s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social disaster situations, and strengthening competence in the social welfare and the nature of the social worker’s role.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행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은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방안개발 필요’ 문제해결형>, <‘실습교육의 성과 불확신’ 회의형>, <‘재난에 더 필요한 역할자’ 인정형>, <‘실습 한계 속 실천 의미’ 부여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세 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폐쇄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한 사회복지실습 교육체계,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방법의 다양화에 대비한 교육,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사 역할 본질에 대한 역량 강화이다.

      • KCI등재후보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

        서종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2

        Today, along with increase in family pathological problems, due to changes in cognition of people, the social need for family counseling is growing gradually. Especially, execution of Healthy Family Act in 2005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in 2008 have established delivery system for family counseling service as well as greatly increased the demand for family counseling service. What is more, family counseling approach in terms of handling social problems is becoming intensified.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make improvements in curriculum on family counseling around healthy family specialist providing family counseling work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irst of all, it compares and analyzes educational curriculum in graduate schools with family counseling related majors to find out common subjects. Secondly, this research explored subjects related to obtaining of family counselor in family counseling related organizations. Thirdly, it studied subjects around qualification, role, and job of family counselor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rough this, it makes suggestions on recommended subjects to be completed by family counselors. It also develops and suggests subjects that have to be additionally included in revising and establishing healthy family specialist certificate to activate family counseling business and to increase professionalism of family counselors. This research is for making improvement in curriculum of family counselor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it can be used as base data for standardized research of site-oriented family counseling curriculum. What is more, it is also expected to devote to the growth of family support business at Health Family Support Center and to the professionalism of family counselors. 오늘날 가족병리적 문제의 증가와 더불어 일반 시민의 인식변화로 인하여 가족상담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2005년 건강가정기본법의 시행과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시행은 가족상담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과 더불어, 가족상담서 비스에 대한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응에서도 가족상담적 접근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가족상담 업무를 수행하는 건강가정사를 중심으로, 가족상담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가족상담 관련 전공 대학원의 교육 커리큘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운영하는 교과목을 추출하였으며, 둘째, 가족상담 관련 단체의 가족상담사 자격취득 교과목을 탐색하였다. 셋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사의 자격, 역할, 직무를 중심으로 관련 교과목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족상담자가 이수해야 할 권장 교과목을 제시하였으며,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상담사업 활성화와 가족상담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건강가정사 자격 재․개정시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상담자의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위해 연구되었으며, 현장적용 중심의 가족상담 교육과정의 표준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족상담사업 활성화와 가족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국과 한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 비교 연구

        강만철,장연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5 복지상담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 및 재중 한국유학생들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효과적인 제공하기 위해 양국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재한 중 국유학생 365명, 재중 한국유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 화적응 유형 및 심리적 안녕감에 중국유학생과 한국유학생 집단이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 화적응 유형 하위요인 중 동화에서 중국유학생이 한국유학생보다 낮고, 분리, 주변화 유형에서 중국 유학생이 한국유학생보다 높았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 적에서 중국유학생이 한국유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국유학생과 한국유학생 집단이 문화적응 유 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국유학생 및 한국유학생 집단이 모두 동화와 분리의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 변화 문화적응 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상당한 수준의 역상관이 나타났는데 한국유학생이 중국 유학생보다 높은 역상관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plore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Korean students studying in China,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 total of 688 samples from 365 Chinese students and 323 Korean students were collected. The difference i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level of assimilation for Chinese students is low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and the level of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for Chines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Chinese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group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rginaliz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significant and this negative correlation is slightly higher for Korean students.

      • KCI등재후보

        소년의 학업스트레스, 갈등적 친구관계 및 심리적 불안감과 문제행동의 구조관계: 성별 및 학교급별의 다집단 분석

        강정애,임성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갈등적 친구관계 및 심리적 불안감과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의 NYPI 횡단조사를 통한 자료로써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와 정책 과제 연구’의 주제로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자료는 전국의 초등학교 재학생 4학년∼6학년과 중학교 재학생 1학년∼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과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학교유형, 학생 및 학교 수를 반영한 변형비례배분방식의 층화다단계집락표집 방식을 사용해 초등학생 2,989명, 중학생 3,053명으로 총 6,042명을 연구대상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과 AMOS 21.0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검증결과에 대한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인 학업스트레스, 갈등적 친구관계,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심리적 불안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교급별 다중집단분석을 한 결과,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가 남녀 학생 및 초?중학생 집단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성별, 학교급별 등 발달단계별 연동된 인성교육과 함께 문제행동 예방교육과 생활교육 등 폭넓은 차원의 교육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예방교육과정 신설을 통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conflictive friendship, psychological anxiety and problem behavior in adolesc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secondary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anxiet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nflict - friend relationship and problem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by dividing the research model into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s, all th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boys and girl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group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all th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have a personality education linked to each stage of development such as sex,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grade to prevent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ide range of education such as problem behavior prevention training and life education, as well as building a preventive education system accordingly.

      • KCI등재

        사회복지학전공 베트남 유학생의 학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권순애(Kwon, Sun Ae),이오복(Lee, O Bok)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학업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 자료 수집을 위해 경남 소재 C대학교 사회복지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학업경험에 대한 의미로 <친숙한 기회의 땅, 한국행>, <정복할 수 없는 산, 학업>, <학교 밖 사회복지세계>, <베트남에서는 분명할 블루오션(blue ocean), 사회복지사>가 도출되었다. 베트남 유학생들은 자국에 좋은 이미지로 알려져 한국을 유학지로 선택하였으며, 학업경험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한국어 구사가 능숙하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강의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과제 수행 등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졸업을 위해 이수해야 하는 학점뿐만 아니라 졸업인증에 필요한 각종 비교과 활동에 대한 정보 획득도 어려웠다. 그러나 한국에 거주하면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회복지제도와 현장실습이 사회복지학문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졸업 후 가능하다면 한국에서 사회복지사로 취업하기를 원하였다. 미래 베트남으로 돌아가 사회복지분야의 선도적인 역할을 희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차원의 유학생 관리 전략 및 사회복지학 교육측면에서의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experience of Vietnames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4th grade of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t C University in Kyungsang province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meanings of the academic experience were driven; ‘Going to Korea, Land of Opportunity’, ‘The Unconquerable Mountain, Study’, ‘Social Welfare outside of the theory’, ‘Social Worker, blue ocean that will definitely be in Vietnam’.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chose Korea, which is well known in their home country, as their study destination, and the most difficult point in the entire course of their academic experience was that they were not fluent in Korean. Because of this, they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r that it was difficult to perform assignment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on not only the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but also various non-subjective activities required for graduation certification. However, the social welfare system while living in Korea and on-the-job training that they practiced helped them to understand social welfare studies, and after graduation, hoped to get a job as a social worker in Korea if possible. After returning to Vietnam in the future, they hoped for a leading rol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as a basis for attracting and managing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a time when foreign students are increasing.

      • KCI등재후보

        교육복지사가 인식한 교육복지네트워크 의미 탐색에 대한 질적연구: 네트워크의 현재와 나아갈 방향 중심으로

        최혜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network perceived by educational welfare work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supporting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an educational welfare network. For this end, with the question of “what would be the meaning of the network, provided by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perceived by educational welfare worker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e study, eight educational welfare workers with experiences of the network were participated and with th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data were reviewed. With such efforts,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network perceived by educational welfare workers is time in the process of modifica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specific, it was revealed that the past path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could be interpreted as <to learn about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whil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communities> could be considered as the present path and <create a village, a school-oriented community? for the future path. This study could find its meaning from that it revealed the network promoted by school develops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community and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welfare workers’ statements. In addition, it deduced the essentials of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provide base data to design its future pa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be an opportunity to have a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in order to fully exercise unique strengths of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help raise the quality of lives of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사들이 인식한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를 들여다봄으로서 교육복지네트워크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실천하고 있는 교육복지사가 인식한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실행 경험이 있는 8명의 교육복지사로 구성하여 자료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변화과정 속에서 시간의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복지네트워크의 걸어온 길<교육복지네트워크 알아가기>, 지금<교육복지네트워크와 마을 공동체 잇닿음>, 그리고 나아갈 길<마을, 학교 공동체 만들기>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복지네트워크는 마을공동체와 잇닿아 성장하고 있음이 도출되었으며, 교육복지사의 생생한 기술에 집중하여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를 탐색하였다는 데에 있다. 더불어 교육복지네트워크의 본질을 도출하여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복지네트워크만의 강점이 발휘되어 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돕는 네트워크가 되기 위한 논의의 확대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