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상담 실천의 통합 절충적 4단계 모형 연구: 탐색-통찰-실행-유지

        고수현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1

        Social worker is a social work counseling profession whose major job is counseling for people who need social service in social work theory or social work law. In addition, since the Flexner syndrome of 1915 in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emphasis has been placed on case work using psychiatry and psychological theor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practice. However, at present, there is not much research accumulation on social work counseling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both at home and abroa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establishes a four - level model of social work counseling practice stage by applying the integrative eclectic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and techniq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set up a four - level model of social work counseling practice stage by applying integrative eclectic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and skills. And to present the theories and skills of social work counseling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detailed levels of practi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ttention stage and listening, re - statement, encouragement, question, empathy and reflection technique in human centered theory can be applied in facilitating exploration as the first level. In the second level of facilitating insight, the challenge and confrontation, immediacy, self-disclose, clarification, and interpretation skill in psychodynamic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third level of facilitating action, information provision, advisement, directives, cognitive restruction, systematic desensitization and relaxation training in cognitive-behavioral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fourth level of facilitating maintenance, non-directed motivation, directional motivation, advocacy and self-assertion, competence strengthening and empowerment skills can be applied in motivation interviewing and capacity building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mpetence of professional social work counseling skill as a integrative eclectic social work counseling skill that is appropriate for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with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psychological counseling.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이론적으로나 사회복지사업법 상으로 볼 때도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상담업무를 주요 직무로 하는 사회복지상담 전문직이다. 또한 사회복지발달사에서 1915년의 플렉스너 증후군(Flexner syndrome) 이후로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정신의학 및 심리학 이론을 활용한 케이스워크에 중점을 두었던 것도 사회복지전문직들의 상담능력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도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측면에서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연구축적물은 많지 않다. 따라서 사회복지교육이나 실천 장면에서는 여전히 체계적인 사회복지상담에 대한 정체성 정립의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상담의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정체성을 확립한 후, 통합 절충적인 심리상담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여 4단계로 구성된 사회복지상담 실천모형을 제시하고, 그 세부적인 촉진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사회복지상담이론과 기술들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결과, 첫 번째의 탐색 촉진단계에서는 인간중심이론에서의 주의집중과 경청, 재진술, 격려, 질문, 공감과 반영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의 통찰 촉진단계에서는 정신역동이론에서의 도전과 직면, 즉시성, 자기개방, 명확화, 해석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세 번째의 실행 촉진단계에서는 인지-행동적 이론에서의 정보제공, 조언, 지시, 인지재구조화, 체계적 둔감화와 이완훈련 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네 번째의 유지 촉진단계에서는 동기강화상담과 역량강화이론에서의 비지시적 동기강화, 지시적 동기강화, 옹호와 자기주장, 역량강화와 권한부여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일반적인 심리상담과의 차별성을 가진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에 걸맞은 통합 절충적인 사회복지상담기법으로서의 전문적 사회복지상담기술의 유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실천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개입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중심으로

        강선경,이춘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itive factors for social welfare counselors to overcome the dilemma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secure academic basic data, to set a direction for social welfare counselors to promote counseling intervention efficiency, and to establish a practical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counseling education. would like to provi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managers with experience in counseling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at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elder protection, and an exploratory case study method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essential themes and 16 revealed themes were derived: clash of values ​​and reality: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lack of counseling intervention ability: metamorphosis, seek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work. second, in the narratives of the social welfare counselors at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it was possible to find respect for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efforts to align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with their own liv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values,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 of counseling practic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roles and functions, as they try to maintain consistency that is not different from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their live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direction necessary to nurture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practice where the demand for experts is rapidly increasing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as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상담원들이 상담 개입의 딜레마와 그것을 극복하는 긍정적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학문적 기초자료 확보와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 개입업무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방향 설정 및 사회복지상담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 사회복지상담개입업무와 슈퍼비전 수행 경력을 가진 관리자급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탐색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와 현실의 충돌을 사회복지 실천 가치로, 상담개입 능력 부족을 환골탈태로 극복하며 상담개입 업무 전문성을 위한 필요 모색이라는 3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드러난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노인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상담원들의 내러티브에서 생명존엄, 노인의 삶에 대한 존중과 함께 사회복지 실천 가치를 자신의 삶과 합치하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자신의 생활에서 사회복지 실천 가치와 다르지 않은 일관성을 유지하려 노력하므로, 상담실천의 주요소 중 하나인 가치의 문제가 역할과 기능의 수행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실천에 대한 기본 가치와 기술의 융합적 통합으로 다양한 상담 교육의 기회 부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급격히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회복지상담실천 영역에서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향이 제시되었다는데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소년의 학업스트레스, 갈등적 친구관계 및 심리적 불안감과 문제행동의 구조관계: 성별 및 학교급별의 다집단 분석

        강정애,임성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예방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갈등적 친구관계 및 심리적 불안감과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의 NYPI 횡단조사를 통한 자료로써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와 정책 과제 연구’의 주제로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자료는 전국의 초등학교 재학생 4학년∼6학년과 중학교 재학생 1학년∼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과 초등학교 및 중학교의 학교유형, 학생 및 학교 수를 반영한 변형비례배분방식의 층화다단계집락표집 방식을 사용해 초등학생 2,989명, 중학생 3,053명으로 총 6,042명을 연구대상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과 AMOS 21.0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검증결과에 대한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인 학업스트레스, 갈등적 친구관계,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심리적 불안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교급별 다중집단분석을 한 결과,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가 남녀 학생 및 초?중학생 집단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성별, 학교급별 등 발달단계별 연동된 인성교육과 함께 문제행동 예방교육과 생활교육 등 폭넓은 차원의 교육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예방교육과정 신설을 통한 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conflictive friendship, psychological anxiety and problem behavior in adolesc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secondary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anxiet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nflict - friend relationship and problem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by dividing the research model into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s, all th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boys and girl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group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all th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have a personality education linked to each stage of development such as sex,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grade to prevent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ide range of education such as problem behavior prevention training and life education, as well as building a preventive education system accordingly.

      • KCI등재

        장애 관련 교과목 이수 정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원계선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or nurt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2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The research tool used in previous stud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 5-point scale questionnaire of 32 question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related subjects,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were compu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mong th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effect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ould be the most positive, an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ould be the leas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related subjects. Thir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did not complete the disability-related subject and the group that completed one and the group that completed two.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ecessity of additional courses related to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시행을 위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과목 구성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A 대학교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19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32문항의 5점 척도형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장애 관련 교과 이수 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장애통합이 미치는 효과 중 장애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가장 긍정적일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가장 적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 관련 교과 이수 정도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 관련 교과목을 미이수한 집단과 1개 이수한 집단 및 2개 이수한 집단 간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장애 관련 교과목의 추가 개설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복지사가 인식한 교육복지네트워크 의미 탐색에 대한 질적연구: 네트워크의 현재와 나아갈 방향 중심으로

        최혜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network perceived by educational welfare work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supporting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an educational welfare network. For this end, with the question of “what would be the meaning of the network, provided by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perceived by educational welfare worker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e study, eight educational welfare workers with experiences of the network were participated and with the intentional sampling method, data were reviewed. With such efforts,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network perceived by educational welfare workers is time in the process of modifica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specific, it was revealed that the past path of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could be interpreted as <to learn about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whil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communities> could be considered as the present path and <create a village, a school-oriented community? for the future path. This study could find its meaning from that it revealed the network promoted by school develops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community and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welfare workers’ statements. In addition, it deduced the essentials of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provide base data to design its future pa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uld be an opportunity to have a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in order to fully exercise unique strengths of the educational welfare network and help raise the quality of lives of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사들이 인식한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를 들여다봄으로서 교육복지네트워크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실천하고 있는 교육복지사가 인식한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실행 경험이 있는 8명의 교육복지사로 구성하여 자료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변화과정 속에서 시간의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복지네트워크의 걸어온 길<교육복지네트워크 알아가기>, 지금<교육복지네트워크와 마을 공동체 잇닿음>, 그리고 나아갈 길<마을, 학교 공동체 만들기>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에서 진행되는 교육복지네트워크는 마을공동체와 잇닿아 성장하고 있음이 도출되었으며, 교육복지사의 생생한 기술에 집중하여 교육복지네트워크의 의미를 탐색하였다는 데에 있다. 더불어 교육복지네트워크의 본질을 도출하여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복지네트워크만의 강점이 발휘되어 아동의 삶의 질 향상을 돕는 네트워크가 되기 위한 논의의 확대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노인여가복지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외국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사례분석

        임흥수,고두갑,박송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3 No.2

        This study was purposed to identify the problems on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apply the implication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n the advanc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for the oper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Korea. More specifically, 4 problems were suggested after looking into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in the first place, and the welfare facilities for leisure time in USA, UK, Germany and Japan in sequence were studied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btained from such study and analysis were adopted to Korea and the improving methods for the problem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re suggested. The following 4 methods for the activation we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Firstly, the financial support shall be acquired greatly for the distribution of the diversifi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qualitative. quantitative acquirement for the leisure facilities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the leisure for the elderly, but the budget scal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is only 0.1% of the national budget. For this matter, th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leisure of the elderly, accordingly supporting and acquiring the budget are very essential. Secondly, the systematic support for the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all be made such as the education course for the specialization. The integrated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and education material for the elderly school are required. The ‘Lecture bank system’ for the supply of the lecturer required for the elderly school and payment for the lecturer by the local government will be a desirable supporting system. Thirdly,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all be distributed to provide the equal opportunities for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neglected class. For this purpose, th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의 현황 고찰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의 문제점 해결방안으로 선진화된 외국의 노인여가복지시설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 운영에 적용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살펴보고 문제점 4가지를 제시한 후, 외국의 4개 국가 즉 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여가복지시설을 순서대로 연구?분석하고자 한다. 이렇게 연구?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후 결론부분에서 다음 4가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다양화한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보급을 위해서 대폭적인 재정적 지원 확충이 요구된다. 노인들의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가시설의 질적?양적 확충이 요망되는데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재정규모는 국가예산의 약 0.1%에 불과하다. 이는 무엇보다 국가에서 노인여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예산지원 및 확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화를 위해 교육과정 등 노인교육시설의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된 교육과정, 노인학교 교과서 및 교육교재의 개발, 전문 강사의 선정 및 지원 등이 필요하다. 각 노인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강사를 공급하고 강사료를 지방정부에서 지급하는 ‘강사뱅크제’는 바람직한 지원 제도가 될 것이다. 셋째, 소외계층을 위하여 여가활동 기회가 형평성 있게 제공되도록 노인여가복지시설을 보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가 수단, 여가기회, 여가지원의 평준화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건강하지 못한 노인, 경제력이 없는 노인과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게 여가활동의 평준화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시설 보급이 강구됨으로써 여가활동 참여의 기회 균등화를 이루어야 한다. 넷째, 개인이나 가족 중심적인 여가활동에서 사회봉사활동과 같은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갖춘 여가생활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예비사회복지사가 코로나 19 상황에서 경험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이오복,권순애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the preliminary social workers who performed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our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the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were derived. The type were that ‘Measures need to be developed’, ‘uncertainty of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education’, ‘More needed role in times of disaster’, ‘The meaning of practice in the contextual limitations of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thes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three suggestions are as follows. A sustainable social welfare practice education system even in the closed situ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educa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s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social disaster situations, and strengthening competence in the social welfare and the nature of the social worker’s role.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수행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 Q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은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방안개발 필요’ 문제해결형>, <‘실습교육의 성과 불확신’ 회의형>, <‘재난에 더 필요한 역할자’ 인정형>, <‘실습 한계 속 실천 의미’ 부여형>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세 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폐쇄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한 사회복지실습 교육체계,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방법의 다양화에 대비한 교육,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사 역할 본질에 대한 역량 강화이다.

      • KCI등재후보

        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 탐색: 자원봉사자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이진아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2

        Crime victim is an issue that is coped and solved in a social level, because it has an negative impact not only on a person, but also on a society in general.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were founded in 2005 with the aim of supporting and protecting of crime victims and their family members. In terms of supporting for victims, the role of a private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able to provide effective community-base services for victims. Depending on centers, its’ structure and organization are various, but in general, it is consisted of board of directors, secretariat, specialized committee, and volunteers. Due to the character of a private organizatio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center is an vital factor in considering various service offering and community connection. In this sense, this articl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ctual state, role, and training contents for volunteers using literature review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ctivation strategy for volunteer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services for victims. In conclusion, recruiting an active volunteer through a consistent and various way of public relations, providing regular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such as eLearing for volunteers, introducing step-up education process and the contents reflecting on the victims’ perspectives, reinforcing a intensive ethics training and humanism education, and offering an resonable compensation were suggested. 범죄피해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 차원에서 대응하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2005년 설립된 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범죄피해자들 그리고 그 가족에 대한 지원과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단체이다. 범죄피해자 지원에 있어서 민간단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지원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원센터마다 구성 및 조직이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이사회, 사무국, 전문분과위원회, 그리고 일반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어 있다. 민간단체의 특성상 일반 자원봉사자들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지원센터의 일반 자원봉사자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실태와 역할, 교육 내용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자원봉사자 활용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자원봉사자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적이고 다양한 홍보활동을 통한 자원봉사자의 모집, e러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 정기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제공, 단계별 교육과정과 피해자 입장을 반영한 교육내용의 도입, 윤리교육 및 인성교육의 강화, 그리고 적절한 보상 지급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 이미지와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수월함과 어려움

        윤진주,김지영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play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metaphor of play for teachers, and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ease and difficulty accompanying the practice of play-center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J and G cities, with 119 survey subjects and 32 interview subjects. As for the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aphorical image of play expressed by the teacher was categoriz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play, value of play, elements necessary for play, direction of play, play environment, and play as daily life. Second, the ease of practic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was found to be real play ability, realization of play that guarantees the initiative of children, emphasis on teacher autonomy, and simplification of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practice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were the ambiguity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urriculum by teacher competency, the need to improve parental awareness, and the lack of infrastructure for administration and systems. The study found that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grasp the meaning of play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consider the requirements necessary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e central axis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놀이에 대한 이미지를 메타포 분석하여 놀이의 의미를 도출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수반되는 수월함과 어려움에 관한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 G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로서 설문대상은 119명, 면접대상은 32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질문지를 제작하고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표현한 놀이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는 놀이의 특징, 놀이의 가치, 놀이에 필요한 요소, 놀이의 지향점, 놀이 환경, 일상으로의 놀이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의 수월함은 진정한 놀이 가능, 유아의 주도권이 보장되는 놀이 실현, 교사의 자율성 강조, 교육과정의 간소화로 나타났다. 한편,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모호함, 교사의 역량에 의해 교육과정 성패 좌우, 부모의 인식 개선 필요, 행정 및 제도의 인프라 부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에 대한 의미를 은유적으로 파악하고,「2019 개정누리과정」의 중심축인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현장 정착에 필요한 요건을 고찰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