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동적 인간복지(Human Welfare) 논리 개발과 전략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3 No.-

        우리사회가 지속가능한 복지사회의 염원과 복지국가를 추구하고 있지만 온갖 사회문제에 직면해 위험사회와 불확실성의 사회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는 가운데 문제 해결의 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 해결의 실마리는 인간복지실천에 있다. 인간복지실천은 인간과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이면서 가치지향적인 접근에서 출발한다. 특히 위험사 회의 사회변동 다양성과 가치변화에 따른 개인의식의 혼돈, 현대사회의 특수성을 이해하 고 복잡성을 헤쳐나갈 다학제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영역이 많이 확장되었고 학문적 깊이 역시 간학문적 접근으로 사회복지 전문성은 정신분석학에 뿌리를 두었다. 인간 의식과 행동의 현상학적 측면을 대상으로 한 기존 심리학의 한계에서 근본적인 정신현상인 무의식을 발견하면서 오늘날 인간복지실천의 바탕을 형성하여 왔다고 본다. 그러나 신프로이트학파와 프랑크프루트학파의 비판에 의해 현대적 의미의 정신분석학 거대담론은 사회복지영역에서 시대 변화에 따른 전문성과 이론적 토대가 요구되기 때문에 정신분석을 새롭게 조명하여 인간복지실천의 이론적 체계 및 역동적 논리 개발을 통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인간과 사회는 과학기술 문명으로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진보하는데 특히 ICT사 회 가속화는 기계와 인간이 공존하는 새로운 특이성의 세계를 추구하면서 위험사회의 위기는 더욱 인간의 불안을 조성하고 있다. 기계화와 자동화 등으로 현대사회를 살아가 는 인간의 사회생활은 원자화되었기 때문에 인간복지의 실천은 더욱 강조된다. 우리 인간은 고도의 지능을 가지고 내면적 세계와 자연환경과 인위적인 사회라는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이다. 러시아의 심리학자 비고츠키는 생각을 내면화한 그것 자체의 역동성을 가진다는것 을 발견하여 새로운 심리학적 사고와 연구모형을 제공했다. 인간성장을 구성하는 복잡한 변화들에 대한 이론은 인간의 내면적 성장이 단지 단편적인 변화들의 점진적인 축적이 아니라 주기성, 여러 기능들의 발달에서의 불균등성, 변형(metamorphosis), 혹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의 질적인 변화, 외적요소와 내적요소의 합성, 적용 과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복잡한 변증법적 과정이라고 주장하면서 인간의 진화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모두 통합했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자기 이해에서 출발하여 자기발전 및 자아실현을 위한 창조적인 정신활동을 실천하여 인간 본연의 내적 확신 혹은 내재적 동기를 찾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1세기 인간사회는 실존 상황에서 극적이면서 아직 예견되지 않은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들로 인한 인간복지 영역의 전문성이 더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의 융복합시스템으로 급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간복지실천의 논리와 전략으로 인간의 실존적 개념의 재해석이 인간 복지 차원에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분석학의 현대적 의미와 인간의 기본적 필요 충족을 위한 실존적 개념의 인간치유기술인 의미치료(Logo Therapy)와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y) 그리고 긍정심리치료(Positive Psychology Therapy) 등 휴먼서비스는 인간복지실천 영역에서 전문성과 이론적 틀을 구축하여 위험사회와 불확실성 사회에서 개인과 사회의 역할을 규명하는 논리와 전략이 필요하다. 개인이 사회에 의해 형성되고 인간의 실존 그 자체가 사회의 형성과 그 사회의 역사적 발전에 토대가 된다는 엄연한 사실에서 인간의 진정한 복지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Now, South Korean society longs for a sustainable welfare society and pursues a welfare state, but faces a variety of social issues, turning rapidly toward the society of risk and uncertainty. These emerging situations require multilateral approaches to any solution of questions. A possible clue for the solution lies in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starts from practical and value-oriented approaches to human being and society. In particular, it may involv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finding out a solution for complexity by understanding any confus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diversity and value shift in risk society. In multidisciplinary aspect, social welfare specialty based on psychoanalysis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It could be a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fter it found ‘unconscious’, a fundamental mental phenomenon in the boundary of conventional psychology that focused on phenomenological aspects of human consciousness and behavior. Howev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ny flexible specialty and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basis of criticisms from neo-Freudian and Frankfurt school. That is why we need to newly spotlight psychoanalysis and establish a new strategy by developing a theoretical system and dynamic logics of human welfare practice. In addition, human being and society have entere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ociety where human being coexists with machine owing to development of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In pursuit of a new specific world, we face an ever-accelerated crisis of risk society. Owing to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ur social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became further atomized than ever, so it requires underlining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As human being, we are an organism that has advanced intellectual abilities enough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inner world as well as outer (spatial) world lik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ociety. Lev Vygotsky, a Russian psychologist, found that internalized thinking could be dynamic in itself, so he provided a new psychological thinking and research model. Based on theories about complex changes comprising human growth, he maintained that inner growth of human is not simply a gradual accumulation of fragmented changes, but a complicated dialectical process that is characterized by periodicity,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of functions, metamorphosis (or qualitative change from a form to another form), synthesis of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and application process. This way, Vygotsky synthesized human evolutionary changes with social changes all around. In details, he thought that those changes of human being start from their self-understanding, so they may practice creative mental activ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find out any natural inner confidence or internal motivation in human being, and exert their potential power. In this context, our contemporary hum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aces dramatic but unforecast changes that human being has to undergo as existential being. Also, these changes have more demands for specialty in human welfare. Particularly, our contemporary society turns rapidly and overall into a system of convergence that encompasse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o re-construction about existential concepts of human being becomes more underscored on the rise as a part of logics and strategy for human welfare practices. Thus, we need to establish certain specialty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field of human welfare practices differentiated with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psychoanalysis as well as human services, which involve human healing techniques based on existential concepts for satisfying fundamental needs of human being (e.g. logo therapy, existential therapy and positive psychology therapy), so that we may develop logics and strategy to make clear possible roles of individual and society in our society of risk and uncertainty. Hence, it is important for us to achieve a real welfare of human being in that individuals are formed by society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itself become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our society to form and develop historically.

      • KCI등재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최근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기초한 연구와 더불어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패러다임의 흐름과 관점, 그리고 이론과 모델은 아직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이 커다란 변화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은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 및 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데올로기(Ideology)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근간이 되는 전통적 방법론을 역사적으로 전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시대적 변화의 당위성을 찾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 발달현상으로서의 통합적 방법과 문제해결과정모델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기반을 통해 역량강화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이론으로 대두되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인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론적 함의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e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ctively increas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ore elaborate research is performed methodologically along with a research based on empirical analysis. However, a flow & perspective and a theory & model in paradigm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model of traditional Social Work Practice is being applied yet without a big change. However, the existing theory and model in Social Work Practice have limitation in understanding a social change according to a situational change among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which had influenced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Social Work Practice, and searches for necessity of a historical change in Social Work Practice while historically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ology,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Especially, it examines usefulness of Empowerment Model through the integrative method as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 Social Work Practice, and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model, and considers theoretical implication on new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communication theory, a German sociologist Jurgen Habermas's critical theory, which is being emerged as new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In conclusion, the aim is to suggest new theoretical frame through consider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a cause for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급성 장간막 허혈에서 장간막 혈관의 협착-폐색성 병변의 평가: CT 혈관조영술과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의 비교

        신상수,정용연,신옥란,윤웅,임효순,송상국,장남규,김재규,강형근 대한영상의학회 2005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3 No.3

        Purpose: Acute mesenteric ischemia (AMI) is one of the most dramatic abdominal emergencies. The most common cause of AMI is a thrombo-embolism of the mesenteric artery or ve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CT angiography for evaluating mesenteric vascular steno-occlusive lesion in AMI.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clinically and angiographically proven AMI underwent a twophase CT. The CT angiographic images were reconstructed using a 3D rendering algorithm, such as the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and volume-rendering. All the CT angiographic images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stenosis or occlusion of mesenteric vessel by the consensus of two radiologists, and were correlated with the findings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Results: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visualized 60 mesenteric vessels including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n=15) and vein (n=15), and the inferior mesenteric artery (n=15) and vein (n=15). DSA showed steno-occlusive lesions in 16 mesenteric vessels (13 superior mesenteric arteries, two superior mesenteric veins, and one inferior mesenteric artery). CT angiography detected steno-occlusive lesions in 16 mesenteric vessels (12 superior mesenteric arteries, one superior mesenteric vein, and three inferior mesenteric arterie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CT angiography for evaluating mesenteric vascular steno-occlusive lesion were 87.5%, 95.4%, and 93.3%, respectively. Conclusion: CT angiography is an useful adjunct to abdominal CT in an AMI setting on account of its ability to detect the causes of AMI such as a steno-occlusive lesion of the mesenteric vessel. 목적: 급성 장간막 허혈은 급성 복증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서, 대부분 장간막 동맥 또는 정맥의 혈전-색전증이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장간막 허혈에서 장간막 혈관의 협착-폐색성 병변을 평가하는데 있어 CT 혈관조영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임상적 소견과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소견으로 급성 장간막 허혈로 확진된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이중시기 CT를 시행하였으며, CT 혈관조영술 영상은 최대강도 투사(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IP)기법, 용적묘사(volume rendering, VR)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적 영상을 얻었다. 모든 CT 혈관조영술 영상은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의 합의하에 각각의 장간막 혈관에 대하여 협착 또는 폐색성 병변을 평가하였으며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에서 상장간막 동맥 15예, 상장간막 정맥 15예, 하장간막 동맥15예, 그리고 하장간막 정맥 15예 등 총 60예의 혈관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중 협착-폐색성 병변은 총 16예에서 관찰되었는데, 상장간막 동맥에서 13예, 상장간막 정맥에서 2예, 하장간막 동맥에서 1예의 병변을 관찰하였다. CT 혈관조영술에서는 총 16예의 협착 또는 폐색성 병변을 관찰하였는데, 상장간막 동맥에서 12예, 상장간막 정맥에서 1예, 하장간막 동맥에서 3예의 병변을 관찰하였다. 장간막 혈관의 협착-폐색성 병변의 진단에 있어 CT 혈관조영술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87.5%, 95.4%, 93.3%였다. 결론: CT 혈관조영술은 급성 장간막 허혈의 주요 원인인 장간막 혈관의 협착-폐색성 병변을 직접 보여줄 수 있어 급성 장간막 허혈이 의심되는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 복부 CT에 유용한 보조적 진단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노인요양시설 전략적 운영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 No.-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비전문적인 가족 요양을 계획적인 전문적 요양, 간호서비스 제공 등으로 대체함으로써 노인의 신체기능호전, 사망률 감소 등으로 삶의 질을 크게 향상하고, 요양시설에 대한 부담을 보험화해서 가족의 부양 부담을 경감하며, 여성 등 비공식 요양인의 기회비용과 노동손실을 줄여 경제적 편익과 경제, 사회 활동에 매우 필요한 제도이다. 특히 급성기 병상에서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로 서비스 전달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무엇보다 노인의료비 절감효과가 크다. 그러나 사회복지서비스 전반에 미칠 문제로서 법제도 이분화, 포괄범위의 문제, 관리운영주체 및 전달체계 등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법제도의 이분화로 시설서비스에 있어 노인복지법과 보건의료관계법 사이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는 대상자 범위 및 관리운영 체계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의 단계적 확대가 필요하며, 관리운영 체계는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자체의 서비스 책임을 강화하고, 시설 및 인력 인프라의 확충을 통해 서비스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는 요양시설의 경영의 문제로 정부지원에 의해 운영하던 방식을 이제는 경영이라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시설의 운영조직을 구축해야 한다. 노인요양시설 대부분이 직계식(수직적) 조직 형태를 띠고 있는데 노인장기요양에서는 라인 앤드 스탭(line & staff)조직으로 변경하여 노인요양시설로 하여금 시장지향적으로 유도하며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이용자 중심적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intends to replace nonprofessional family care with more planned, specialized care and nursing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curb their death rate and ultimately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That is one of the integral social systems to concern national economy by relieving families with elderly people of caring burden and by cutting down on the opportunity cost and labor loss of informal caregivers such as ordinary women.Specifically, that contributes to ensuring smooth service delivery among Acute bed, geriatric hospitals and nursing homes, and especially has a great effect on decreasing the medical fee of the elderly.But there are several important tasks that affect the entire social welfare sector and should be resolved such as the dual law system, coverage, management and delivery system.First, the dual law system should be unified. The senior welfare act and health care law should be rearranged.Second, as for the coverage and management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the coverage of the insurance should be escalated,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responsible for a supply of community-centered inclusive services. And necessary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should be secured to lay the infrastructure for the insurance to help elderly people benefit from better services.Third,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nursing homes, a change of mind- set is required. Nursing homes should direct their energy into their own management instead of merely relying on government aid, and they should set up their own operating system. Nursing homes are mostly vertical organizations, but they should turn into line-and-staff organizations to provide market-oriented and user-centered longterm care services to create customer value.

      • 건강가정과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역동성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0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4 No.-

        오늘날 가정의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가정과 가족의 의미, 그리고 기능과 역할을 정확히 알고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가족발달관점과 건강의 연속성 그리고 현대 가족의 위기와 역경이라는 환경과 상황에 따른 가족 강점과 능력의 강화를 위한 레질리언스(Resilience)의 역동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가족기능의 핵심요소를 파악하고 가족과정의 전개를 통해 가족의 역기능 요소들을 규명하여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 가치관의 회복, 효과적인 의사소통, 개별성과 연결성 등 가족의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고 기능적인 가족과정을 증진시키는 역할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역기능적 가족의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과정의 강점과 관계회복을 위한 가족구성원들의 노력은 기능적인 가족체계를 형성하고, 개인의 중요성 인식과 사회문화적 상황에 대처하는 사회체계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질리언스라고 주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족구성원들이 가족구조나 기능을 인식하고 역할의 변화에 긍정적이고 탄력적으로 대처한다면 가족생활은 더욱 성장하고 발전할 것이다. 아울러 가족과 사회는 더 큰 복지를 위한 토대가 될 것이고 사회변동에 따른 새로운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 가족형태는 일정한 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양한 가족구조 속에서 다기능적 접근과 개인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자유의지의 시대이다. 가족구성원 각자가 레질리언스의 능력을 끌어내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함께 일하고 사랑하고 양육하는 모든 가족에게서 미처 인식되지 않았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더욱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Nowadays, family crisis becomes more aggravated. That is why many people poses demand for correct knowledge and measures on significance of home and family as well as their roles and functions as we know.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realize dynamics of resilience for building up original strength and capability of family from viewpoint of family development, health consistency as well as in given environment and context of modern family's crisis and adversity.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ey factors of effective family functioning and examine dysfunctional factors of family through developing family process to create a functional family system.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et priority on roles for building up family resilience and enhancing functional family process(e.g. restoration of traditional values, effective communication, individuality and connectivity, etc).Moreover, it is reasonably maintained that the strength of family process for reconciled relationship of dysfunctional family and the efforts of family memb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s comprise family resilience that can afford to form a functional family system, recognize importance of individual family members, and improve their ability of social system to adapt to cope with sociocultural circumstances.Conclusively, if family members perceive their own family structure or functioning and cope positively and flexibly with their changing roles, it is expected that their family life will grow more and develop further. In addition, both family and society will be a foundation for wider range of welfare and family will be able to experience new changes involving social change.In the 21st century, family doesn't exist in specific form or category any longer. This is the age of free will which takes multifunctional approaches in various family structures and allows individuals to have discretion of decision with their own responsibility. Hopefully, it is advisable that each of family members should develop their own capability of inducing resilience, and discover and further build up unrecognized individual strength of family members who work and love with one another and bring up children.

      • 사회적 기업 및 마을기업 성장과 과제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0 No.-

        글로벌시대의 세계적 환경 변화는 상호의존적인 경제 활동을 창출하며 상거래를 확대할 뿐 아니라 보다 밀접하고 폭넓은 사회적 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그동안 국가주도의 복지공급과 확대에 대해 복지축소로 대응하면서 민간의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사회적 기업과 마을기업이라는 새로운 복지 대응 조직을 탄생시켰다. 마을기업과 마을공동체 사업은 복합적 빈곤을 안고 있는 지역 주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힘과 자기표현 능력을 몸에 익히는 개인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와 지역사회 전체에 활력을 주는 커뮤니티 임파워먼트를 실현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최근 정치권에서 경제의 민주화 화두는 시장경제의 양극화와 신빈곤층의 확산으로 인적자본의 투자가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사회적 기반에 의한 사회적 투자는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사회적 기업 및 마을기업 그리고 지자체의 특성화 사업으로 마을공동체기업이 활성화 되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여성 등 저소득층 고용취약계층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서민생활 안정 및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대폭 확대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회정책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 기업 및 마을기업은 사회서비스분야에서 선도적으로 인사․노무역량이 강화되고 사회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모델로서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사회적 기업이 짧은 역사적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우리의 현실을 직시할 때 사회적 기업의 모델을 잘 선정하여 방향성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성이 강한 미국적 방향과 노동통합이나 공공성, 그리고 사회서비스의 제공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는 유럽의 경향을 타진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사회적 기업 및 마을기업, 마을공동체기업으로 성장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사회적 성과개선 차원에서 취약계층 일자리 제고와 법정 최저한도 임금 등 보장 소득수준이 낮아 자활이 어려운 기초수급자의 권리 보장과 제도적 보안이 시급하다. 경제적 성과 개선 차원에서 높은 원가구조를 개선하고, 취약계층의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사회적 기업을 위한 정부사업의 우선권, 정책지원 및 투자 유도 활성화와 제도권 금융 접근가능성 등 사회적 활성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또한 협동조합법의실시에 따라 '사회적협동조합'의 역사적 맥락과 일찍이 진행되고 있는 사례를 통해 사회적 협동조합이 가져오게 될 변화를 고려하여 정부가 협동조합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면 초기에 빨리 활성화시킬 수는 있으나, 자립이라는 협동조합의 근본정신이 흐려질 우려가 있어 간접적이고 제도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 및 마을공동체 사업과 더불어 전국 각 권역별로 협동조합홍보컨설팅센터를 설립해서 협동조합을 알리는 교육홍보와 컨설팅 사업을 지원 등의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 사회적 경제는 아직은 우리에게 익숙한 개념이 아니지만, 앞으로 한국사회가 새로운 사회적 경제체제를 만들어 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사회적 경제는 네트워크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결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 내에서 주민들이 참여하는 의료협동조합, 어린이집협동조합, 주택협동조합, 돌봄서비스협동조합 등이 만들어져야 하며 기존의 사회서비스제도를 더욱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A globally environmental change in global era creates interdependent economic activity and is demanding the closer and broader social relationship as well as expansion in business transaction. With counteracting the welfare supply and expansion initiated by a country by using reduction of welfare in the meantime, even our country made it born for new welfare counteracting organization dubbed social enterprise and village enterprise according to social environment, which emphasizes role and importance of the private. Village enterprise and community-based business can be said to be the one that realizes the community empowerment, which gives vitality to the whole community, along with an individual's empowerment in which each of local residents with complex poverty learns power, which will proceed with living independently, and the self-expression ability. The recent topic of conversation about democratization of economy in the political circles can be analyzed to be demanded investment in human capital owing to the polarization in market economy and the expansion in the new poor strata. Social investment according to the social foundation needs to be prioritized what utilizes social capital. Still, the government's policy-based support needs to be reinforced so that the community-based business can be activated as social enterprise, village enterprise, and a specialized program in local government. Especially, there is a need of sharply expanding the stability in common people's life and an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y by offering proper job for the low income brackets and the employment disadvantaged groups with low income such as women. As the social enterprise and village enterprise through this social and political approach is a model of strengthening personnel and labor competence initiatively in the social service field and of increasing quality of social service, it will come to be positioned as a sustainable alternative plan. Squarely looking our reality as saying of having shortly historical limitation, it is important to fix directionality by well selecting a model of social enterprise. There will be a need of being grown and developed into social enterprise, village enterprise, and community-based business suitable for our country by tapping the European tendency, which proceeds with having a strand into the direction of offering the work integration, publicity, and social service, in addition to American-styled direction with strong marketability. Especially in the dimension of improving social performance, it is imminent to reinforce job of vulnerable classes, to secure the legally minimum wage, to guarantee a right of basic beneficiaries with difficult rehabilitation due to low income level, and to supplement institutionally. In the dimension of improving economic performance, an institutional support is demanded for enhancing high cost structure and for expanding employment in vulnerable brackets. A social activation program is needed such as the priority of the governmental program for social enterprise, the policy-based support, the activation of inducing investment, and the accessibility to institutional finance. It can be activated quickly in the beginning if the government directly supports cooperative association in consideration of a change about which the social cooperative association will come to bring, through a case of being progressed early in addition to historical context of 'social cooperative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ooperative association law. However, there is a concern about being likely tarnished the fundamental spirit of cooperative association dubbed self-reliance. Thus, there is a need of emphasizing necessity of indirect and institutional support. Accordingly, a plan needs to be discussed such as a support for educational publicity and a consulting program of letting cooperative association be known by establishing a publicity consulting center for cooperative association by each zone nationwide along with the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based business. Social economy is not a concept with which we are familiar yet, but is a part that is certainly necessary for which Korean society proceeds with making newly social economic system. Social economy can be said to be combination of community through network. Accordingly, there is a need of being made the medical cooperatives, the child care center cooperatives, the housing cooperatives, and the caring service cooperatives in which residents within community participate. The existing social service system will need to be further expanded.

      • 사회변화와 사회통합을 위한 복지국가의 역할- 우리나라가 나아갈 방향을 중심으로 -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우리사회는 급격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형 복지국가를 구축하여야 한다. 복지국가의 존재는 바로 세금이라는 공적자원인데 이러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고 삶의 질을 보장하는 복지제도의 정비와 사회적 책임의 규명이 시급하다. 특히 단기간에 경제대국으로 급성장하면서 발생한 사회문제는 이데올로기적 사회갈등과 정책의 오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문제의 해결을 개인 및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정부가 나서서 새롭게 조명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복지국가는 독일과 영국의 보수적 정치 이념이 혼합된 형태로 생애주기별로 발생하는 욕구에 사회적 자본이 투입된 복지국가 형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사회변화와 사회통합의 세부적 논제를 통해 한국형 복지국가 형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경제 구조의 결합이 바로 복지국가 체제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정치적 합의에 의해 최소한의 생활수준 보장을 넘어 불평등 및 양극화를 해소하여 사회의 모든 계층이 보편적인 복지체제에 통합되어야 한다.둘째,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사회통합형 복지국가를 지향하여야 한다. 특히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공동체 혹은 지역 커뮤니티 개발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지역 거버넌스(Governance)를 구축하고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 형태의 복지국가이다. 사회적 자본의 핵심은 신뢰와 공정, 공감과 협력, 조정과 소통이 근간이다. 신뢰와 공정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며 공정사회 실천의 근본이다. 공감과 협력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계층과 세대 간의 연대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조정과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변화와 사회통합에 따른 복지국가의 역할은 복지국가의 재편의 함의를 통해 사회계급, 빈부 등 불평등을 해소하고, 탈이념적 문화적 역동에 따라 비효율적 측면을 제거한 사회적 자본 형태의 거버넌스(Governance)를 실현하는 것이다. Our society is being demanded a change into new paradigm along with a rapid change. A Korean-style welfare state needs to be implemented in all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existence of welfare state is just the public resource called tax. Still, it is imminent to consolidate the welfare system and to closely examin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effectively executes this policy and ensures quality of life. Especially, a social problem, which occurred with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 in the short term, can be considered to result from a conflict in ideological society and from an error in policy. The government now will need to take the lead in newly illuminating the solution of a problem with the focus on a role in an individual, a family and community. Accordingly, the welfare state in Korea will need to be equipped with a welfare-state form that is thrown the social capital in a desire, which is caused by life cycle, as a form that is mixed the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in Germany and England. Suggesting the form of Korean-style welfare state through the detailed topic in social change and social integr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can be said to be just the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state system. All the classes in society need to be integrated into the universal welfare system by resolving inequality and polarization beyond the security of the minimum living level by the political agreement. Second, there is a need of pointing to the social-integration welfare state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Especially, there is a need of implementing community governance in a new concept dubbed the development in local community centering on culture and of increasing quality of life in local residents based on decision-making. Third, it is the welfare state in the form of social capital. The core in social capital is based on confidence & fairness, sympathy & cooperation, and mediation & communication. The confidence and fairness ar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progress and are the foundation of practicing fair society. Sympathy and cooperation can be mad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disadvantaged and the solidarity between class and generation. Also, there is a need of resolving social conflict and of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mediation and communication. In conclusion, a role of welfare state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social integration is what resolves inequality such as social class and rich & poor through implication of reorganizing welfare state and is what realizes governance in the form of social capital, which removed inefficient aspect according to the post-ideological cultural dynamic.

      • 사회서비스정책 현황과 과제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1 No.-

        A transfer of political power and the appearance of a new government are likely to throw every national policy into confusion. Although it's a quite tough task to find solutions to serious political or economic problems, there should be continuing efforts to keep track of major social issues to build a welfare state.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our society is discrepancy between politics and economy. The development of SNS has fueled the improvement of people's sense of politics. Today's people want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instead of merely relying on representative politics through a few of particular people. On the contrary, however,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Indeed, there is a problem of equity and distribution.Another serious problem is that the change of capitalism is anticipated. It's natural that an enterprise's reason of being is to create profit, but a new system is now being created, which incorporates all the politics, economy, management and culture, and social enterprises that return some of their profits to society are one of good examples.Social service policies are comprehensive of all kinds of problems such as low birth rate, aging, women's problems, people with disabilities, childcare, education and youth unemployment, and these policies can be defined as a keyword that could give a clue on how to remedy the situations.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roles of family, nation and market is more important than in the past, and social service policies should be efficient and effective enough to stir up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opening of the welfare market is emerging as one of new variables to possibly affect national economy, and there is now growing demand for welfare in the area of health care as well.The government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social service and make a large investment in uncompetitive health and medical welfare to boost job creation and the efficiency of social insurance programs, and it should offer more social services for the low-income class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government should push ahead with more social service projects to create a new paradigm of welfare to satisfy diverse user needs for welfare.To secure social service providers, plenty of experts in health and medical welfare should be utilized, and private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be stimulated to take part in this field. The field of social service will serve as a catalyst in economic development in that it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job creation, turning informal employment into formal employment and women's economic activities.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고 정권이 교체되면 정부의 모든 정책은 혼조양상을 보인다. 정치와 경제의 난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사회문제를 파악해서 복지국가의 초석을 다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 사회의 커다란 문제는 첫째 정치와 경제의 부조화이다. 국민의 정치수준은 소셜 네트워크(SNS)의 발달에 따라 특정인을 통한 대의정치 보다는 국민스스로가 정치인으로 참여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고자 하는 속성을 갖는 반면 경제는 부익부 빈익빈을 낳고 있어 평등과 분배의 문제가 대두된다.둘째는 자본주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이 이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제는 경제와 경영이라는 이익구조 보다는 사회 환원이라는 사회적 기업 형태의 정치, 경제, 경영, 문화 등이 융합되는 시스템으로 급변하고 있다.구체적으로 저출산․고령화문제, 여성 및 장애인 문제, 보육에서 교육 및 청년실업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사회서비스정책은 현재 우리사회의 총체적 문제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족, 국가와 시장 간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공공과 민간의 참여를 유효적절하게 유도하는 사회서비스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은 매우 중요하다. 아울러 복지시장의 개방은 경제상황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면서 복지수요와 함께 경제․사회적 위험에 대한 보조기능의 역할은 보건의료 및 복지서비스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국가의 역할은 사회서비스를 통한 사회적 지출을 늘리면서 경쟁력이 취약한 보건의료복지 분야에 예산을 대폭 투입하여 일자리 창출과 사회보험제도의 효율화와 적용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및 저소득층의 삶의 질 개선에 사회서비스 공급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으로 이용자의 다양한 복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사회서비스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따라서 사회서비스 공급인력은 풍부한 보건의료복지 영역의 전문가를 활용하고 민간단체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비공식 부문의 고용을 공식화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을 장려하는 사회서비스분야는 경제발전에 기폭제가 될 것이다.

      •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와 심리변화 관계 연구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통증(pain)은 오늘날 기능장애(impairment)나 능력장애(disability)를 치료하는데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비용 또한 사회에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주고 있는데, 실제로 노인성질환(Geriatric disease)으로 인해 노인의료비가 급증하여 국민건강보험 재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인의료비의 해결과 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및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증의 스트레스 정도 및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고 통증과 심신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심리적 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Melzack과 Wall의 통증이론을 토대로 임상에서 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통증에 있어 연령은 40~50대(52.3%)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연령에 따른 심리적 변화에 영향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증의 원인은 교통사고(35.4%)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기간은 3개월 이상 만성 통증(69.2%)이 많았으며, 통증의 형태는 둔한 통증(dull, 41.5%)이 높아 근육이상으로 인한 통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증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변화의 상관관계는 현재의 통증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통증으로 인해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r=0.493).Melzack과 Wall의 Gate-control theory는 지금도 가장 포괄적이고, 통증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모든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여러 형태의 통증들은 다양한 정도와 특징을 가진 감정적 고통, 일차적으로 공포, 불안, 분노 및 우울을 동반한다. 그러나 아직은 통증 정동(pain affect)보다는 통증 지각(pain sensation)에 더 관심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증은 심신상관의학(psychosomatic medicine) 차원에서 동통지각과 조절에 중요한 인지적 개입(cognitive interventions)인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환자의 지각이 요구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논문으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통증과 심신상관관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t only the pain is being the important consideration today in curing impairment or disability, but also the treatment cost is also giving hugh financial burden to society. Actually due to geriatric disease, the medical cost for the elderly rapidly increased, thereby having tremendous influence upon finance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order to solve this medical cost for the elderly, and to enhance the care-giving burden for the elderly family,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came to be implemented from July in 2008.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affect in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mind & body. As a result of researching targeting patients who actually appeal for pain in clinic based on the pain theory in Melzack and Wall who emphasiz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pain was the largest in their 40~50s(52.3%). The stress affect depending on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nd, the effect on psychological change depending on age could be kn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a cause for pain was the largest in traffic accident(35.4%). The period of pain was the largest in chronic pain(69.2%) for more than 3 months. And, the form in pain was high in dull pain(41.5%),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known that the pain due to muscular disorder was large.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due to pain and the psychological change, it could be known to be stressed by the current pain, and could be known to have an effect on the psychological change due to pain(r=0.493).The gate-control theory in Melzack and Wall is the most comprehensive even now, and is related to all theories in understanding cognitive aspect in pain. Pains in several forms are accompanied by emotional pain, primary horror,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which have diverse affects 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ain sensation is paid more attention yet than to the pain affect. Through this study, the pain is required the patients’ perception of being able to control pain effectively, which is the important cognitive interventions to pain sensation and control in the dimension of psychosomatic medicine.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ain and mind & body is needed targeting the elderly more than 65 years old, as a follow-up 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