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의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 비교 연구

        이진영,장안리,김판준,임영언,정호원,성일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주요 국가의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 청소년들에 대한 정책, 즉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을 살펴보고 여러 관점에서 비교하여 한국의 재외동포 청소년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이스라엘 등 5개 국가의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을 검토하여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도 얻고자 하였다. 해당 국가의 재외동포정책, 청소년정책 및 인재유입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재외동포 청소년정책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 낼 문헌 및 정책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정부의 각종 홈페이지 및 법령 제도 그리고 해외에 거주하는 시설 및 인력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별 재외동포 관련 정부 기관의 웹싸이트 검색에서부터 이메일 연락 등을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미국에서는 재외동포청소년들에게 정부 및 민단단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정부 지원 학교 운영 프로그램 및 사업은 국무부의 해외학교부에서 수행되고 있다. 민간단체의 재외동포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은 해외미국시민(ACA), 해외미국여성연맹(FAWCO), 파리장기거주미국여성모임(AAWE), 해외미국인협회(AARO)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은 중국 국적인 화교 청소년에 대한 정책과 외국 국적인 화인 및 화예 청소년에 대한 정책을 의미한다. 화교화인 업무의 총괄은 국무원 교무판공실이 담당하고 있으며, 교무판공실은 중국내 지방 조직으로 체계화 되어 있으나 해외 화교화인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 추진은 중국해외교류협회(中国海外交流协会), 중국화문교육기금회(中国华文教育基金会) 등의 사회단체 육성과 역할 분담을 통해 집행하고 있다. 중국내 화문교육기지와 해외 화문교육시범학교는 교육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화교화인 사회와의 지역적 매개를 통해 교육 문화 사업들을 추진되고 있다. 일본의 해외일계인 청소년 정책은 외국국적 일계인보다는 기본적으로 일본국적자인 재외방인을 위주로 지원하고 있다. 해외거주 외국국적 일계인 청소년 정책에 대하여 민간단체사업을 JICA의 일부사업으로 계승해 오고 있으며, 해외 일계인 청소년정책의 대표적인 사례는 JICA 일본 ‘청년해외협력대(JOCV)’의 해외파견 사업이다. 독일에서 외국국적 독일동포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의 초점은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사회통합 강좌’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사회로의 편입 내지 통합을 적극 지원하는 데에 맞추고 있으며, ‘사회통합 강좌’는 크게 ‘어학강좌’와 ‘오리엔테이션강좌’로 구성된다. 외무성 지원의 해외학교 정책은 독일 문화적인 정체성 보존을 위해 독일어교육이 핵심이 되고 있으며, 민간차원에서는 재외독일인 문화교류 협회와 재외독일인과 함께하기 재단에서 외국국적 독일동포 청소년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재외동포 관련 정부정책은 유대인의 국내이주를 돕기 위한 이민자 수용부와 해외 디아스포라를 관리하기 위한 디아스포라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재외동포 관련 민간기관으로는 세계시온주의기구(World Zionist Organization, WZO), 네페쉬 베네페쉬(Nefesh B’Nefeshi) 등이 있다. 이스라엘 체험 프로그램, 공동체와 직업교육 프로그램, 히브리어와 대학입시 교육프로그램, 상담 및 군복무 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청소년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compare policies of major countries related to young overseas nationals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order to be referenced in developing Korea’s policy on young overseas nationals. The policies of five countries, i.e., the U.S., China, Japan, Germany, and Israel,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 its implications in the Korean society. Precedent studies on policies of relevant countries involving overseas nationals, youth, and attracting talent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literary works ― including laws and statutes, materials on overseas residential facilities and manpower, etc. ― and policy programs were extensively analyzed, through searching relevant government websites and communicating via e-mail with relevant government bodies in the aforementioned countries, in order to deduce significance of policies on young overseas national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U.S.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in place diverse programs and projects for young Korean-Americans. For example, the U.S. Department of State’s Office of Overseas Schools provides assistance to schools through the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and projects. Programs to support young overseas nationals are also run by private organizations such as the American Citizens Abroad (ACA), the Federation of Women’s Clubs Overseas (FAWC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Wives of Europeans (AAWE), and the Association of Americans Resident Overseas (AARO). China’s policy on young overseas nationals relate to young ethnic Chinese (of Chinese nationality) and young overseas Chinese/overseas Chinese descendants (of foreign nationality). The State Council of China’s Depart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overseas matters pertaining to overseas Chinese nationals, while projects regarding the society of overseas Chinese nationals are jointly carried out with social organizations such as the China Overseas Exchange Association (COEA) and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undation (CLEF). In China, Chinese language institutions and overseas Chinese language pilot schools are network-linked, an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hrough regional connections with the society of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In the case of Japan, policy support centers more on overseas nationals of Japanese nationality than of foreign nationality. Private organizations’ projects for young overseas Japanese of foreign nationality are partially succeeded to and carried out by the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such as the “Japan Overseas Cooperation Volunteers (JOVC)” program. Germany’s policy for children of overseas nationals of foreign nationality focus on helping them easily integrate into society by providing comprehensive lectures on social integration, which are divided into language study and orientati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supported overseas school policy centers on Germ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preserve the nation’s cultural identity. The private sector, such as the Overseas Germans’ Culture Exchange Association (OGCEA) and the Overseas German Foundation (OGF), also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to young overseas Germans of foreign nationality. In Israel, the government’s policy on overseas nationals is overseen by the Ministry of Jewish Immigration Absorption and the Ministry of Diaspora Affairs. Relevant private organizations include the World Zionist Organization (WZO) and Nefesh B’Nefeshi which operate various youth support programs, e.g., Israel experience programs, community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ebrew and college entrance education programs, counseling and military service support programs, and so forth.

      • KCI등재후보

        중국 청소년 교육의 역사적 조망

        이경자(Lee Kyung-Ja)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5

          본 연구는 고대 및 현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을 검토함으로써 이를 통해 향후 중국의 청소년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고대 중국의 청소년 교육은 무엇보다도 도덕교육을 중시하고, 교육계층이 주로 귀족 남자청소년에 제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년의 학교교육은 정부관료에 의해 주도되었다. 과거제도가 탄생한 수대(隋代)부터 청소년 교육의 대상이 확대되고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 청소년 교육의 주축이 되었다. 따라서 과거제도가 폐지되기까지 고대 청소년 교육의 목적은 주로 관리양성에 있었고 교육의 내용은 과거시험 과목인 유가경전이었다. 반면에 현대 청소년 교육은 교육대상이 상당히 대중화되고, 사회주의 체제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국제간의 활발한 교류로 다양한 학습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라는 시대구분을 떠나 청소년들의 품성배양을 위한 노력은 오늘도 중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소년 교육의 흐름을 통해 중국 청소년 교육을 전망해 볼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한ㆍ중 청소년 교육교류의 방향 제시 및 중국 청소년 교육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 the adolescent education of ancient and modern China. And examine the modern situation of the adolescent education. The adolescent education of ancient China esteem seriously a moral education, The class which was educated was mainly restricted in the young noble man. And the government mainly led the school education of the young people. From the Sui Dynasty(隋代), passing of the state examination was center of adolescent educ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ancient young people education train manager.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studying the scripture of a Confucian scholar it is the state examination subject. The other side, the modern young people education very became masses. And the socialism education became accomplished. Also studying which is various with quality improvement and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education came to be possible. But the characteristic cultivation of the young people is still very important. It will be able to diagnosis a Chinese adolescent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At last, It will present a direction in th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 And,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inese adolescent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 청소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비교

        SHAO QIAN,송현종(Hyun-Jong Song)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청소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여 중국에서 청소년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한국 광주·전남지역 중·고등학생 435명과 중국 허난성(河南省) 중·고등학생 44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청소년과 중국의 청소년 간에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 즉 중국청소년이 한국 청소년보다 장애인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남녀 성별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한국 남자청소년과 중국의 남자 청소년 간에는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으나, 여자청소년의 경우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하위영역(왜곡된 동일시 제외)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 청소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중매체, 부모영향, 직접경험 순이었으며, 중국 청소년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중매체와 직접 경험 순이었다. 남녀 성별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한국남자 청소년에게는 대중매체만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중국 남자 청소년에게는 대중매체와 직접경험이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 여자 청소년에게는 대중매체와 부모가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중국 여자청소년에게는 대중매체만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South Korean teenagers on attitude toward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ir attitude. We also aimed to provide references for making social welfare regulations and polic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hina. 435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rom Korea(Gwangju and Jeollanam-do) and 442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rom China(Zhengzhou and Xinxiang) were surved in this study. Our major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esearch data shows that Chinese and South Korean teenagers’attitude toward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s different. Chinese teenagers hol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the South Korean teenagers. However, we also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enage girls’ attitude between two countries, while teenage boys’ attitude varies. These results are similar in all sub-areas (except the distressed identification sub-area). Second, in regards to the attitude toward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ain factors affecting Korean teenagers are the mass media, personal experience, and parental influence. The main factors affecting Chinese teenagers are mass media and personal experience. Concluded from above, the two countries’ mass media is the main factor,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mass media’s influence for the teenager’s attitude. In the next place, comparing male teenagers and female teenagers’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ass media and personal experience have a major impact on the Chinese male teenagers, whereas the mass media is the only factor for Korean male teenagers. And the mass media and parental influence have a major impact on the Korean female teenagers whereas the mass media is the only factor for Chinese female teenagers.

      • 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n Youth Football Programs in Korea and China

        Jiang, Liwei(강력위),Cho, Kwang-Min(조광민),Choi, Myoung-Kyoung(최명경)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한국과 중국 청소년 축구의 효과적인 협력방법과 한국 축구산업 해외지출 그리고 한국 청소년 축구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축구 협회와 교육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선정기준에 따라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11개의 프로그램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시작 시간, 대상 및 실행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수-사례연구(multiple-case study) 방법을 채택하여 한국과 중국의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 간 비교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한국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은 2014년 이전에 시작된 반면, 중국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은 대부분 2014년 이후에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 한국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은 프로 청소년 축구를 대상으로 한 반면, 중국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은 아마추어 및 학교 청소년 축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한국과 중국이 청소년 축구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프로그램은 축구 환경, 청소년 축구 브랜드, 프로 리그와 지역 간의 관계에 중점을 두었으며, 중국은 외국 코치의 참여 방식, 청소년 축구와 국가 발전의 조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청소년 축구 관계자들은 중국의 정책 환경을 기회로 삼고, 다양한 방법으로 젊은 선수들에게 동기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중국 청소년 축구와 협력할 때 한국 청소년 축구 프로그램 경험을 토대로 하되 중국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 산업을 해외 스포츠 프로그램 홍보에 결합시킬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orean youth football program organizers with practical suggestion in youth football cooperation with China, overseas promotion of Korean youth football programs and domestic youth football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n selected youth football programs in Korea and China. Documents were collected from National Football Associ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and China. A total of 11 programs from 2002 to 2018 were selected based on selecting standard. The selected data was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initiation time, level and implementation purpose. Then multiple case study was used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most Korean youth football programs were initiated before 2014 while China initiated more programs after 2014. Secondly, Korean youth football programs targeted more on professional level while China issued more programs in amateur youth football and school football. Thirdly, despite shared recognition on youth football, Korean programs emphasized on football environment, youth football brand,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gue and the locals while China underlined involvement of foreign coaches and the combination of youth football and national power building. Considering research results, Korean football program organizers were suggested to take the advantages of policy environment, motivate young players with various methods, adapt Korean experience to Chinese characteristics, and combine related industry in overseas sport program promotion.

      • KCI등재

        중국어권 중도입국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사의 경험 연구

        조남현,김보영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ㅤwith two Korean language teachers in a middle school that operates Korean language classes for immigrant youth from China.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immigrant youth from China in school life were explored objectively and in-depth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Transcriptional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revealed three main categories: family situation, school life, and Korean language use. First, owing to their work, parents of immigrant youth from China were not paying significant attention to raising or educating their children. Next, immigrant youth from China were under stress from learning Korean rather than the burden of studying itself in school life. Furthermore, they we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in regular class because they were not good at Korean. Finally, the Korean language use by immigrant youth from China was insignificant at home and school. At home, they communicated in Chinese or a mixture of Korean and Chinese. Moreover, thereㅤwere few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in Korean except for Korean classes at school. This was because immigrant youth from China used Chinese among themselves and did not interact well with Korean students due to their Korean language. To solve these difficulties, in addition to the Korean language classesㅤ, guides and specific concerns are needed to establish a natural and continuous Korean-speaking language environment in bilingual families and school life. 본 연구는 중국어권 중도입국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급을 운영하는 한 중학교의 한국어 교사 두 명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를 통해 학교생활에서 나타나는 중국어권 중도입국학생들의 특성과 상황을 교사 의 시각에서 객관적이면서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심층 면담 자료 를 전사하여 다문화 전문가, 한국어 전문가 2명과 함께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 상황, 학교 생활, 한국어 사용 등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타 났다. 먼저 중국어권 중도입국청소년의 부모들은 자신의 직장 일로 인해 자녀들 의 양육이나 교육에 크게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중국어권 중도 입국청소년은 학교 생활에서 학업 자체의 부담보다는 한국어 습득에 대한 스트 레스를 겪고 있었고 한국어를 잘 못하기 때문에 한국 학생 및 한국인 교사와의 소통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국어권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 사용은 가정에서나 학교에서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도 중국어로 의사소통하거나 한국어와 중국어를 섞어 썼으며 학교에서는 한국어 학급 외에서 는 한국어로 소통을 하는 기회가 거의 없었다. 자신과 동일한 중국어권 중도입 국청소년들과는 중국어를 사용하고 한국 학생들과는 한국어로 인해 교류를 잘 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운영하는 한국어 학급 이외에도 이중언어 가정과 학교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고 지속적으 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언어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가이드와 구체적인 고민이 필요하리라 본다.

      • 동북아시대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청소년 국제교류 발전 방안

        김기헌,황세영,강영배,이경자,한지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동북아지역의 평화공동체 구축이 매우 중요한 사회적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 청소년 국제교류 활동은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동북아 평화공동체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 청소년 국제교류 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청소년 국제교류 활동과 관련하여 이 연구는 먼저 청소년 국제교류의 개념을 검토하고,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시·도 교육청 그리고 민간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 국제교류사업 및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 국제교류 활동이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으나 각 부처 및 지자체, 교육청, 민간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지역적 편중성의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청소년 교류사업을 체험탐방형, 토론형, 자원봉사형으로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실태를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향후 사업의 다변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편 청소년 10,5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국제교류활동 경험은 청소년들의 글로벌 역량이나 세계시민의식, 다문화 수용성 등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자질과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국과 일본 국제교류의 참가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종합하여 한·중·일 간의 국가 호감도, 동북아 현안에 대한 인식, 청소년교류의 공통의제에 대한 서로 간의 공통된 인식 및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국제교류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 교류활동의 정의와 목적, 지원 방안, 동북아지역의 현안, 동북아지역 교류의제, 청소년교류활동의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였고, 일본과 중국의 청소년 교류정책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법·제도적인 차원에서 「청소년활동진흥법」개정을 통해 청소년 교류활동에 관한 법적 정의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 국제교류활동에 대한 총괄·조정 기능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한편, 공통의제를 발굴하여 국제교류 시에 청소년들 간에 실효성 있는 논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국가 간 교류 이상으로 다자간 교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몽골, 러시아, 북한 등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사업 컨텐츠를 다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y can be one of alternatives for realizing the formation of a peaceful community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which has been an important current issue in our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relating to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ies and propose the future orientations.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y,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ed concepts and analyzed the current projects run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non-governmental sec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in spite of the recent increase,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projects tended to be run by each sector without coordination, and there was an imbalance in terms of the partner countries within the northeast Asia region. Furthermore, the study categorized the current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ies in terms of the form of activity such as 1) experience and visiting, 2) discussion and 3) volunteering, and provid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features of the projects in each category, in order to pursue diversity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y. Meanwhile,a large scal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pproximately 10,000 number of Korean youth, confirming that the effect of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ies on the youth’s global competence,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ata was further compared with the surveys with the Japanese and Chines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y, with foci on the national image, perceptions on the current issues in the region and common agendas for the youth activities. Finall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glean from the expert suggestions on the definition and the aim of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activity, policy support, agendas for activity, and future directions. Japanese and Chinese policy was also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ade suggestions for policy as follows: 1) to revise the current Youth Activity Promotion Act, 2) to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ion, 3) to develop common agendas for active discussion between the youth, and finally, to increase multilateral activities by including more partners such as Mongolia, Russia and North Korea.

      • KCI등재

        중국연변지역 중학생의 여가활동 유형에 대한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철상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가활동 유형의 특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통해서 여가활동 함양의 중요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여가활동의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6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청소년의 일반적특성, 여가활동 유형이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분석결과 모든 주요 변인 간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참여횟수는 4회 이하, 자발적참여, 12시간 미만의 참여시간이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여가활동유형은 공통적으로 스포츠 부분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취미교양 부분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한국 청소년 대상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중국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여가활동 함양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중국 청소년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초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국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관한 연구

        유진이,풍산산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6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실태를 알아보고 그로 인한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중국 청소 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등이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의 수준을 분석하 고자 중국 산동성(山东省) 태안(泰安)지역의 고등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2.0을 이 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의 빈도분 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차이를 검정하기 위 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적, 생활정도, 부모님 학력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차이 검정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간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 성지식과 성행동, 성태도와 성행동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arched about Chinese adolescents in terms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 amo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high school juniors in Chine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24 to 28 February 2016 with questionnaires that covered general characteristics,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The data gathered were taken statistic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2.0 for Windows program. I analyzed how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cademic record, economical level, parents’education background can effect to the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I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In the result, gender affected sexual knowledge, sexual behavior. academic record affected sexual knowledge and sexual behavior, economical level affected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parents’education background did not affect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therwise, sexual knowledge affected sexual behavior with each other, sexual attitude affected sexual behavior with each other.

      • KCI등재

        국내 거주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질적 연구

        박재영(Jae-Young Park),강진구(Jingu Kang),노자은(Jaeun Roh)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중국동포 청소년은 누구와 주로 관계를 맺으며, 이들의 사회연결망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그리고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 연결망은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존 SNA의 장점과 질적 연구의 특성을 살린 질적 네트워크 분석(Qualitative Network Analysis: QNA)을 통하여 주체와 타인과의 연결 파악하고 개인이 부여하는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QNA와 동시에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접조사는 20명의 중국동포 청소년 사례자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두 집단 간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응답자의 부모님이 이혼하거나 재혼한 경우가 제도권과 비제도권의 경우를 비교할 때 비제도권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43.75% VS 50%), 이러한 차이는 자녀의 정규 교육과정 재학율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면접조사 결과 ‘학교’ 또는 비제도권 청소년의 경우 ‘학원’의 범주에 대한 선호도는 ‘가족, 친구, 학교, 네트워크 주체 지정영역’ 중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다. 학업 보다는 학교(또는 학원) 친구관계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은 제도권 내 청소년들이 고등학교 졸업장이라도 받아서 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의 지가 엿보이지만, 비제도권 청소년의 경우 ‘학원’에서의 직업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울러, 비제도권에 속해 있는 중국동포 청소년의 경우는 제도권에 속한 청소년에 비하여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F4비자 취득이나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이 어려울 경우, 다시 중국에 가서 일자리를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며 한국 사회에 대한 소속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living in Korea and their social network,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twork of Korean youth on their adaptation process. Through the qualitative network analysis (QNA), we tried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person, and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we used QNA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order to grasp social networks of Korean-Chinese youths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20 Korean-Chinese youth, and the second round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e higher proportion of non-institutional rights (43.75% vs 50%) when respondents parents divorced or remarrie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enrollment rate of children in form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urvey, the preference for the category of ‘school’ for the non-institutionalized youth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among ‘family, friend, school, and network subject designation area. It is common that school friendship is more meaningful than schoo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that young people in the system have a desire to get a high school diploma and enter the society, but in the case of non-institutional youth, there is lack of willingness and efforts to acquir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ase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belonging to the non-institutional system, social networking was limited in comparison with youth in the system. 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to acquire F4 visa or adapt to Korean society, They tend to go to China again to find a job,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Korean society is also low.

      • KCI등재

        중국 청소년의 한류 팬덤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일신,Hai-Yan Quan,최인수 한중사회과학학회 202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K-pop fandom activiti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sense of commun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fandom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irst,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for 862 Chines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IU fan community. Correlation analysis was then performed on collected data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o find whether a sense of commun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pop fandom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ata, an auxiliar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fandom activities with 5 Chinese teenagers who participated in fandom activities.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hinese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K-pop fandom activities improved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sense of community. Then, their sense of community helps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ly, the sense of community played a role as a partially mediating factor between Chinese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K-pop fandom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interviewees reported that they felt membership, reinforcement of needs,influence and shared emotional connection while doing fandom activities and acquired individual values, meaning of life, and a sense of social contribution. This study can explore the positive influence of K-pop fandom activities in China while presenting implic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nse of community to Chines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K-pop fandom activities.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의 한류 팬덤활동 참여, 심리적 안녕감 및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특히 공동체의식이 팬덤활동 참여와 심리적 안녕감의관계성을 매개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중국 아이유 팬 커뮤니티에서 팬덤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 팬 862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공동체의식이 한류 팬덤활동 참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에 대한 양적분석 이후, 팬덤활동에 참여한 중국 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팬덤활동 경험과 의미에 대해서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내용을 토대로 양적분석결과에 대한 보조적 해석을 진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청소년의 한류 팬덤활동 참여는 심리적 안녕감, 공동체의식과 모두 정적인관계가 있고,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안녕감도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의식은 중국 청소년의 한류 팬덤활동 참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뷰에 참여한 중국 청소년들은 팬덤활동을 하면서 소속감, 충족감, 유대감과 연대감을 느끼며 개인의 가치, 삶의 의미 및 사회적 공헌 의식을 획득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한류 팬덤활동에 참여하는 중국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동체의식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는 동시에 중국에서 한류 및 한류 팬덤이 지니는 긍정적 영향력을 탐색하는데 의미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