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신뢰

        노자은(Roh, Jaeun),김현주(Kim, Hyun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2

        장차 시민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청소년들이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구체적 신뢰를 기반으로 한 연계경험은 사회의 안정성, 나아가 사회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일반신뢰, 공적신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청소년이 가지는 연계경험을 구체적 신뢰로 유형화하고 청소년의 일반신뢰, 공적신뢰와 더불어 신뢰유형들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고등학생 493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신뢰유형의 수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자 중 게임실험(죄수의 딜레마 게임) 참여 의향을 밝힌 3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각 신뢰 유형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설문과 실험 모두에서 청소년의 구체적 신뢰는 일반신뢰와 상호 정적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청소년의 구체적 신뢰는 공적신뢰와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일반신뢰와 공적신뢰 간 관계는 설문과 실험결과에서 혼재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각 신뢰 유형이 보이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구체적 신뢰가 성인의 사적 연결망과는 다른 의미로 재해석될 수 있는 근거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신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특히 구체적 신뢰에 대한 사회자본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classifying the way that adolescents operate as members of society in terms of specific trust and identifying its relationship with both general and public tru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rust types were studi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lationships of adolescence operate as a form of social capital. To this end, a survey and an experimental game were conducted regarding the levels of the three trust typ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both the survey and the experimental game, adolescents’ specific trust was in a positive relation with general trust. Second, adolescents’ specific trust did not indicate an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public trus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trust and public trust revealed mixed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form a contribution to discussions related to trust in that it deduced grounds for re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regarding teenagers’ specific trust. Moreover, this study is valuable because it introduced experimental games as a tool to identify behavioral aspects in measurement methods, as opposed to simply relying solely upon evaluation methods based on self-reporting.

      • KCI등재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 지지와 청소년의 자살충동간 인과관계 분석

        김현주(Hyunju Kim),노자은(Jaeun Roh)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청소년 자살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청소년패널데이터(KYPS)를 활용하여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와의 관계와 자살충동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성별차이를 분석하였다. 두 가지 중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년도(t-1)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지역사회지지, 자살충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다음 해(t)의 같은 요인의 수준이 모두 높았다. 둘째, 각 지지 요인과 자살충동간 교차경로에서 유의한 성별차이가 발견된 모형은 부모지지와 친구지지 모형이었다. 두 모형 모두 중학교 3학년의 부모(친구)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고등학교 1학년의 자살충동이 낮아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살충동의 내적 역동이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일관성을 지니므로 주변인과의 관계, 지지 등과 같은 개인 외적 요인의 긍정적 효과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약한 인과관계를 보였던 교사, 지역사회 지지를 강화시켜 청소년의 자살충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Given the 4 contexts-parents, friends, teachers and community- of adolescents, this research verified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each contextual support and the suicidal impulse, and the gender difference. The 4-year longitudinal data(KYPS) collected from 3,697 adolescents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suicidal impulse was consistently present from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 to the 3rd grade in high school with significant stability.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ed in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among the 3rd grade in middle school. Also the negative effect of friends" support on the suicidal impulse among th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e effects were more stronger for girls than boys. Previous supports by teachers and community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later suicidal impul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y of suicidal impulse needs to examine the complex support system of multiple context layers.

      • KCI등재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정미나(Jung, Mina),노자은(Roh, Ja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 진로, 가정, 학교, 친구관련 변인군 등으로 종합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학교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 3월부터 2016년 1월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연구 212편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총 16개로, 평균 효과크기의 분석결과, 개인, 진로 및 학교, 친구, 가정관련 변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태도성숙의 영향변인은 총 52개로, 진로, 개인, 사회적지지, 친구, 가정, 학교관련 변인군 순으로 평균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셋째, 청소년 진로 성숙의 영향변인에 대한 학교급의 조절효과는 개인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관련 변인 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지도 경험이, 학교관련 변인 중 학업성적과 교사애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대해서는 개인관련 변인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정서지능, 정서조절능력, 불안,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관련 변인 중 소명이, 가정관련 변인 중 부모애착, 부모 진로지지, 부모와의 분리개별화, 부의 긍정적 양육태도,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학교관련 변인 중 교사애착이, 친구관련 변인 중 친구지지가 학교급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성숙 및 진로태도성숙 향상을 위한 진로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variables (individual-related, career-related, family-related, school-related, peer-related) by carrying out meta-analysis on the effect sizes among variables. For the purposes of data analysis, 121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March, 1995 and January, 2016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6 variables related with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nd the correlation of individual-related, career-related and school-related, peer-related, and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in order of the average effect size. Second, adolesc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clearly influenced by 52 variables,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identified in different order: career-related, individual-related, social support-related, peer-related, family-related,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ird, moderate effects according to school level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identified in multiple influencing variabl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국내 거주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질적 연구

        박재영(Jae-Young Park),강진구(Jingu Kang),노자은(Jaeun Roh)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7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4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중국동포 청소년은 누구와 주로 관계를 맺으며, 이들의 사회연결망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그리고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 연결망은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존 SNA의 장점과 질적 연구의 특성을 살린 질적 네트워크 분석(Qualitative Network Analysis: QNA)을 통하여 주체와 타인과의 연결 파악하고 개인이 부여하는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QNA와 동시에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중국동포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접조사는 20명의 중국동포 청소년 사례자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두 집단 간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응답자의 부모님이 이혼하거나 재혼한 경우가 제도권과 비제도권의 경우를 비교할 때 비제도권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43.75% VS 50%), 이러한 차이는 자녀의 정규 교육과정 재학율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면접조사 결과 ‘학교’ 또는 비제도권 청소년의 경우 ‘학원’의 범주에 대한 선호도는 ‘가족, 친구, 학교, 네트워크 주체 지정영역’ 중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다. 학업 보다는 학교(또는 학원) 친구관계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은 제도권 내 청소년들이 고등학교 졸업장이라도 받아서 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의 지가 엿보이지만, 비제도권 청소년의 경우 ‘학원’에서의 직업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울러, 비제도권에 속해 있는 중국동포 청소년의 경우는 제도권에 속한 청소년에 비하여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F4비자 취득이나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이 어려울 경우, 다시 중국에 가서 일자리를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며 한국 사회에 대한 소속감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youths living in Korea and their social network,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twork of Korean youth on their adaptation process. Through the qualitative network analysis (QNA), we tried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person, and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we used QNA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order to grasp social networks of Korean-Chinese youths in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20 Korean-Chinese youth, and the second round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the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e higher proportion of non-institutional rights (43.75% vs 50%) when respondents parents divorced or remarrie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enrollment rate of children in form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urvey, the preference for the category of ‘school’ for the non-institutionalized youth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among ‘family, friend, school, and network subject designation area. It is common that school friendship is more meaningful than school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that young people in the system have a desire to get a high school diploma and enter the society, but in the case of non-institutional youth, there is lack of willingness and efforts to acquir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ase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belonging to the non-institutional system, social networking was limited in comparison with youth in the system. 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to acquire F4 visa or adapt to Korean society, They tend to go to China again to find a job,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Korean society is also low.

      • KCI등재

        지역사회에서의 아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천 가이드라인 제안

        문성호(Moon, Sung Ho),한지연(Han, Ji Yeon),노자은(Roh, Jaeun),노지혜(Noh, Ji Hy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6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의 아동참여 활성화를 위해 기본원칙 준수 방안, 실천 과정에 따른 핵심내용, 그리고 실천가의 역량을 중심으로 실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설문조사, 델파이조사, FGI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아동과 성인 모두 우리나라의 아동참여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고, 가정과 학교보다 사회에서 아동의 참여가 덜 보장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참여활동에 대한 정보 부족과 참여방법의 어려움도 한계로 나타났다. 델파이조사에서는 기획 및 개발, 실행, 모니터링 및 평가의 각 과정별로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과 고려할 사항이 도출되었다. 특히, FGI 분석결과, 실천가가 퍼실리테이터로서 조력자 및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참여의 전 과정에서 9대 기본원칙의 준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아동참여의 과정별 핵심적인 내용과 필요한 역량을 바탕으로 실천가가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천 가이드라인은 향후 지역단위에서 아동참여 사업을 수행하는 실천가가 전문성을 확보하고 아동참여를 활성화하는데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ractical guidelines focusing on compliance with basic principles, the main contents of each process, and the competence of practitioners in local community. For this, the literature review, the self-report survey, the Delphi survey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ults confirm that both children and adults perceived child participation in Korea as a low level and recognized that it is less guaranteed in society than at home and at school. In addition, the finding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and not knowing how to participate, suggesting that the efforts to promote child participation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were necessary.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contents and considerations for practitioners were derived at each process of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implementation, monitorization and evaluation proces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FGI analysis results, the role of practitioners as facilitator was especially emphasized. Incorporating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comply with the nine basic principle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child participation. Also, the guidelines for practical application based on the main contents and necessary competencies for each child participation process were presented. These guidelines can be widely used to secure expertise and activate child particip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