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지속적 혈당측정의 유용성 평가

        정성훈,강인구,박철영,류미숙,우정택,김성운,김진우,김영설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2

        연구배경: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고령의 당뇨병환자는 이들의 신경학적 결손으로 경고 증상없이 심한 저혈당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하루 4번 정도의 자가 혈당 측정으로는 이를 감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검사에 따른 고통으로 적극적인 혈당 조절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Mini Med사의 지속적 혈당측정기(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하여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24시간 혈당의 변동양상을 알아보고 각기 다른 인슐린 치료방침에 따른 혈당조절의 효율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경희대학교 부속병원에 입원해 있는 10명의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제 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들은 모두 튜브식이를 받고 있엇고 최소 1개월 이상 인슐린 치료를 시행 받았다. 지속적 혈당측정기를 착용하고 3일간의 연속적인 혈당을 측정하였고, 치료 첫 날은 NPH, 둘째 날은 속효성 인슐린과 NPH, 마지막 날은 혼합형 인슐린제제로 치료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들 각기 다른 인슐린 제재의 하루 총량에 차이는 없었다. 혈당치가 3.3mmol/L 미만이거나 7.8mmol/L를 초과하는 경우 그 차이값의 총합을 시간으로 나누어 이 값(△Glu)이 적을수록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당 수치가 3.3mmol/L 미만인 경우를 저혈당 event, 16.7mmol/L 초과한 경우를 고혈당 event로 임의로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지속적 혈당측정의 유용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 평균 △Glu값은 첫째 날이 0.93 ± 0.43mmol/Lㆍmin?¹, 둘째날이 0.71 ± 0.29mmol/Lㆍmin?¹ 마지막 날이 0.58 ± 0.29mmol/Lㆍmin?¹로서 서로 다른 3가지 치료방침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15). 10명의 환자들 중 자가 혈당측정기로는 1명에서 저혈당 event, 2명에서 고혈당 event를 인지하였으나 지속적 혈당측정기로는 각각 9명에서 event를 확인하였다. 결론: 지속적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각각의 인슐린 치료방침에 따른 혈당조절 효율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자가혈당 측정기로는 알 수 없었던 일 중 혈당 변동사항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뇌혈관질환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보다 적극적인 인슐린 치료 및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iabetic stroke patients are susceptible to hypoglycemia. However,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detecting hypoglycemic events, even though glucoses levels are checked 3 to 4 times per day using the fingerstick metho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glycemic excursions and pattern in diabetic stroke patients using th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 MiniMed) and its clinical utility. The other objective was to compare the treatment dfficacy between insulin regimens. Methods: From jan 2001 to jun 2001, 10 adult type 2 diabetic stroke patients wore CGMS for consecutive 3 days, which continuously checked the glucose level. NPH insulin, multiple daily injection of regular insulin ± NPH and the mixed type(Novolet 30/70, Novo Nordisk) were us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ays of the study, respectively. If the mean delta glucose(△Glu = A+B/time, A=∑(hlucose-7.8), glucose > 7.8 mmol/l, B=∑(3.3-glucose) if, glucose < 3.3 mmol/l) was calculated in order to recognize the degree of individual glycemic changes and to compare the efficacy of each treatment diverse insulin regimen. We arbitrarily defined a glucose level less than 3.3mmol/l, as a hypoglycemic event, and more than 16.7mmol/l as a hyperglycemic event. Results: Variable patterns of glycemic changes were observed among patients with the same dosage, but a different insulin regimen. The mean △Glu was 0.93±0.43 on the first day, 0.71±0.29 on the second day and 0.58±0.29 on th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efficacy between the 3 different insulin modalities(p=0.115). Of the 10 patients, a hypoglycemic event was detected in 1 with the fingerstick method, in contrast to 9 with CGMS, with hyperglycemic events being detedted in 2 and 9, respectively. Conclusio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maybe useful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optimal glycemic control in the diabetic stroke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술·사회과 연계학습을 통한 전통 미술문화의 흥미도 향상 :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이정숙,김성숙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about the traditional Korean art through integrated learning with fine art and traditional paintings in Korean history unit of social studies. It is implied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raditional art better by actual experience. The subjects were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theme of traditional Korean art in fine art and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Then, student-activity programs were developed in order to integrate fine art with social studies. The program were developed based on teachers and children' survey results and documentary records. First, in the aesthetic experience field, the students surveyed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with a list of viewpoint and made a collection from survey results. Second, in the expression field-①, this theme was integrated with 'creating an advertisement' unit in fine art and connected with 'decorating letters of one's name' so as to revive the meaning and symbol of folk paintings. Third, in the expression field-②, 'informing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as a follow-up was done. Subjects were self-directed to restructure the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in the textbook. Fourth, in the appreciation field, students publicize their works around, regardless of the recipients' gender, age, status or place. The results shows that the subjects' interest and concern about traditional Korean culture increased and their pride in their culture was also promoted through experiencing their traditional culture. Advertising their traditional paintings to the public, they were surprised at so many people ignorant of their own culture and, furthermore, motivated to cultivate their culture.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integrated program was valuable for subjects to realize that traditional art was not the fixed cultural heritage of the past. The students rather view that traditional art exists in the same period with them.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미술 문화에 대하여 어린이들이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체험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6학년 미술·사회과를 유기적인 연계학습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미술·사회 연계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제작은, 전통미술 문화에 관한 교사·아동의 설문지 조사와 문헌자료에 기초하여 미술·사회과를 미적체험, 표현, 감상 단계로 연계하여 재구성하였고, 제작과정은 아동들의 전통미술 문화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 의의를 두었다. 이 프로그램을 현장 수업에 적용한 결과, 전통미술 문화에 대한 아동들의 흥미와 관심도가 매우 높아졌으며, 전통미술의 우수성을 깊게 이해하고, 체험함으로써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술·사회과 연계학습 프로그램은, 전통미술문화가 박제된 과거의 문화유산이 아니라 문화 원형으로서 지금 여기 우리의 삶과 함께 한다는 것을 어린이들에게 일깨우고, 전통미술 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와 활용가치가 기대되는 학습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여성장애인 예산에 대한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분석 : 가사도우미 예산과 장애인자녀 학비지원, 취업알선예산을 중심으로

        성정현,양숙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5 사회복지정책 Vol.21 No.-

        본 연구는 성인지적 예산의 중요성에 기반하여 여성장애인 관련 예산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복지 예산의 성형평성 현황을 알아보고,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5년에서 2001년간 보건복지부의 장애인복지예산, 교육부의 특수교육예산, 노동부의 고용촉진관련예산.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예, 결산 내역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성통계 및 성인지적 예산이 편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였으며, 성특정예산인 여성장애인 임신, 출산, 가사도우미 예산과 일반예산중 장애인자녀 학비지원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장애인 취업알선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지출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특정적 예산에 속아는 여성장애인가사도우미 예산은 수혜대상 인원에 비해 그 예산의 규모가 너무 작고, 예산에 실제 여성장애인을 지원하게 될 가사도우미에 대안 교육 및 지원서비스에 대안 사후관리 등 질적인 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는 예산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반예산에 속아는 장애인자녀 교육비 지원과 장애인 취업알선 사업의 경우도 여성장애인을 특별히 고려하거나 혹은 참가를 독려하는 서비스가 부재아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예산 및 참가율에 있어 성불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관련 예산에는 전반적으로 성인지적 관점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장애인예산의 성형평성을 위해서는 여성장애인의 욕구와 경험을 예산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성별통계를 구축하고,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예산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예산의 책임성과 형평성을 고려하여 예산의 우선순위를 재구조화하고 여성장애인의 생애주기에 기반한 정부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budget expenditures and to propose the necessity of gender sensitive budgets. We make an analysis budgets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household affairs of disabled women as a gender specific budgets. And we explore the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of the disabled, and job placement ones among general budgets areas.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abled women's budgets are very small and they are rarely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in budgets. And they are not included the budgets for after management and contents development, so they result in gender inequality in terms of women's participations and cos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dentify the reality of gender blinded budgets and to propose the necessity of gender budgets for the disabled women's equality, the construction of gender statistics, and the education for the public officials.

      • KCI등재

        저소득층 중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차이 분석

        정성희,박수정,장현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지역주민센터 자료를 근거로 저소득층 확정을 받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계층 가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7월 17일까지 2주간에 걸쳐서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 인원은 총 440명이었다. 비만도 평가는 대한 비만학회의 규정에 따라 BMI<18.5은 저체중, 18.5≤BMI≤22.9은 정상, 23.0≤BMI≤24.9은 과체중, BMI≥25.0은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조사는 가정환경, 친구, 학업, 교사/학교 등 4가지 하위 영역별로 구분하여,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1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조사지의 신뢰도 값은 Cronbach α=.967이었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은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5개 영역은 교사관계적응, 교우관계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생활적응, 학교환경적응 등 이며, 각 영역은 4문항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만군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상체중군은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비만군에서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정상체중군은 학교생활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군에서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고, 정상체중군은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만도는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1), 비만도와 학교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01),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p<0.01).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1), 학교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저소득층 학생은 비만군의 분포가 가장 높고, 비만군일수록 스트레스 정도가 높으며, 학교생활 적응이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clas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mong students from low income class, confirmed a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classified as lower income group, based on community service center data. As for measurement tools, BMI was calculated, which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ir obesity. For stress, the four-point Likert scale on daily stress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for Korean adolescents by Han (2011). For school life adaptation, the five-point Likert scale by Choi (2010)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self-esteem, the four-point Likert scale by Lee (2013)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belonged to the obese group.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Daegu area, the obese group had lower scores in all five domains of school life adaptation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chool class, school life, school environment), while the normal weight group ha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low income class of the Daegu area, the obese group had lower self-esteem, while the normal weight group had higher self-esteem.

      • 피클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김상철,이연정,한재숙,이재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2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 of pickles by using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7 males and 359 females in the Kyongbuk a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respondents 94.8% have known pickles and mostly have eaten garnished pickle with pizza. The chief element to be considered in selecting the commercial pickle was considered to be 'sanitation'. and 'good taste'.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preparation and production of pickle showed a receiving high mean value of 4.77. On their perception of pickle, 'pickle stimulate their appetite' received highest score of 3.97. More than 41% of the respondents liked pickles and favorite pickle seasoning was vinegar(77.2%). Among the respondents 49.7% and 19.2% suggested the development fruit pickle and mushroom pickle respectively. Of the garnished dishes with a pickle, preferable food was pizza, hamburg sandwich, pork cutlet, salad and hamburg steal, in the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