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긍정적 도덕정서로서 고양, 감사, 감탄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강인구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1

        Positive moral emotions like elevation, gratitude, and admiration play a critical role in prosocial moral behavior. Recently, these emotions has been raised as a important issue in moral emotion studies(Algoe &Haidt, 2009). This study was examined to find more overlap among them than between positive moral emotions and the happiness family( joy, amusement etc)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positive moral emotions. This study using recall to induce positive moral emotions in everyday life found that positive moral emotions such as elevation, gratitude, and admiration differ from happiness family, and from each other in physical sensations and motivational effects, evaluating prosocial effect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further studies of positive moral emotion ne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 and method in society and home, as well as schooling. Also, this result proposed that the studies of positive moral emotions need to discuss with the studies of negative moral emotions, and these discussion apply in education situations. Finally, educational application of positive moral emotion consider cultural variables, like the difference between eastern culture and western culture in morality. 고양, 감사, 감탄과 같은 긍정적 도덕정서는 친사회적 도덕행동을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 중에서 행복과 구별되는 긍정적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Algoe & Haidt, 2009). 특히, 대표적인 긍정적 도덕정서인 고양, 감사, 감탄에 대한 연구는 각각의 개별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점에 착안하여 행복과 긍정적 도덕정서의 차이점을 탐색하고, 긍정적 도덕정서인 고양, 감사, 감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정서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의 도덕정서 관련 경험을 회상하도록 하여 행복과 세 가지 도덕정서의 구별되는 육체적 감각을 분석하고, 세 가지 도덕정서 각각의 구별되는 육체적 감각도 분석하였다. 또한 세 가지 도덕정서의 친사회적 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동기화 수준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양, 감사, 감탄이 긍정적 도덕정서로서 행복과는 구별되는 육체적 감각과 동기화수준을 보였으며, 세 가지 도덕정서 사이에도 육체적 감각과 동기화 효과에서 중복되기도 하였지만 구별되는 경향성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결론을 정리하면, 학교교육과정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와 가정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습자의 내적동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긍정적 도덕정서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자료와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도덕정서간의 동기화 수준의 차이점을 반영한 교육자료와 방법 개발도 필요하다. 긍정적 도덕정서와 함께 부정적인 도덕정서에 대한 연계적인 연구와 교육적 적용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와 교육적 적용에서 문화적인 다양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도덕적 양심 확신 수준과 도덕적 양심 지각의 관계 연구

        강인구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1

        Moral conscience is an evaluative property and characterized by moral responsiveness.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N = 273) subjects were examined perceptions of moral conscience, which is the first period of conscience awaren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science, the self-evaluation of conscience, the relevance of conscience and career. Depending on the level of conviction of moral conscience, the subjects are divided conscience conviction groups and conscience conflict group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oral conscience.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 first period of conscience awareness recogniz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as in elementary school. The meaningful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conscience are parents and self. Conviction groups are more confident about their own conscience, self- evaluation in relation to others, a career choice in conscience than conflict groups. Thus, parenting and moral self-reg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moral conscience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the moral conscience. Also,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of moral conscience should be developed in moral education. 도덕적 양심은 평가적 속성을 지닌 도덕적 반응의 민감성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N=273)을 대상으로 도덕적 양심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양심지각 시기, 양심영향요인, 양심 평가, 양심과 직업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양심의 확신수준에 따라 양심확신집단과 양심갈등집단으로 구분하여, 도덕적 양심에 대한 지각정도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 양심지각 시기는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때 대부분 지각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양심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다음으로 스스로의 고민을 통하여 형성되었다고 응답한 학생이 두 번째로 많았다. 그리고 양심확신수준에 따른 조사에서, 양심확신집단이 양심갈등집단보다 자신의 양심에 대한 평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평가, 직업선택에서 양심의 일관성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도덕교육에서 부모양육과 도덕적 자기조절력이 도덕적 양심발달에서 양심에 대한 확신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어지고, 도덕적 양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안되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과 인터페론 병합치료의 효과

        강인구,김병호,정원제,한요셉,이동근,동석호,김효종,장영운,이정일,장린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인터페론은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효과가 제한적이지만, 혈중 HBV DNA 농도가 낮거나 ALT치가 높은 환자에서 비교적 반응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개발된 라미부딘은 역전사효소를 억제하여 HBV DNA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이다. 근래에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이 두 가지 약제의 병합요법이 시도되었으나, 결과에 차이가 있으며 국내에서는 대조연구가 없었다. 저자들은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을 사용하여 HBV DNA 농도를 낮춘 후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상징주의 개념 연구 - 독일어권 이론을 중심으로

        강인구 한국독일어문학회 2024 독일어문학 Vol.104 No.-

        본 논문의 목표는 상징주의의 개념을 독일어권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독일 상징주의 또는 상징주의적 관점으로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는 연구, 그리고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에 관한 연구를 위한 선결 주제이다. 우선 상징주의 연구의 필요성을제고하기 위해 국내외 독문학계에서 진행되어 온 상징주의 연구 상황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독일어권 문학사에서 상징주의의 실체와 위상이 확실한데도 불구하고 관심권을 벗어난 현 실정과 이로 말미암은 학문적 공백을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독일어권에서 논의되는 상징주의의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역사적 사실로서의 상징주의와 문학 기술로서의 상징주의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수행될 것이다. 첫 번째 관점에서상징주의 정의에 관한 이론들이 크게 네 가지 모델로 제시될 것이다. 두 번째 관점에서상징주의가 취하는 시적 태도가 무엇인지, 이른바 독일어권 ‘모더니즘 논쟁’이라는 구도속에서 고찰될 것이다.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den Begriff des Symbolismus mit dem Schwerpunkt auf den deutschsprachigen Theorien zu untersuchen. Dabei handelt es sich um ein wichtiges Thema, das eine Voraussetzung für Studien zum deutschen Symbolismus, für Analysen von Autoren und Werken aus symbolistischer Perspektive sowie für die Expressionismus- und Surrealismus-Forschung ist. Um den Bedarf an Symbolismus-Forschung zu ermitteln, geht diese Arbeit zunächst auf den aktuellen Stand der Symbolismus-Forschung in der deutschen Literatur im In- und Ausland ein. Dabei soll untersucht werden, wie wenig der Symbolismus in der deutschsprachigen Literaturgeschichte bisher beachtet wurde und welche wissenschaftlichen Lücken sich daraus trotz seiner offensichtlichen Bedeutung ergeben haben. Anschließend wird der Symbolismus definiert, wie er im deutschsprachigen Raum diskutiert wird. Dies geschieht aus zwei Perspektiven: bezogen auf den Symbolismus als ein einmaliges literaturgeschichtliches Phänomen und als literarische Technik. Im Rahmen der ersten Perspektive werden die Theorien zur Definition des Symbolismus in vier Hauptmodellen vorgestellt. In der zweiten Perspektive wird die poetische Haltung des Symbolismus im Kontext der sogenannten deutschsprachigen ‘Moderne-Debatte’ untersuc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