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머니 우울이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희정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우울감이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 어서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시행한 2009년도 한국아동패널 2차 자료 중 11개월에서 18개월(N=1904)에 해당되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자료 중 어머니의 우울 척도, 영유아에 관한 부정적 정서성 척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IBM-SPSS 20.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 다.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어머니의 우울은 양육 스트레스를 통한 간접 효과 뿐 아니라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대한 직접효과도 나타냈고,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경쟁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적합한 모형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구체 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예방과 중재에 대한 실질적 개입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李信東 順天鄕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 No.-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방법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목적 하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조사를 수행했다. 첫째, 교수방법의 개념적 틀을 4가지-교수목표, 교수-학습의 내용, 교수-학습의 경험, 학습의 평가-로 수립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교수'방법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수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밝혀진 교수방법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① 많은 교수들이 교수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고(39.2%), ② 교수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이유로 많은 교수들이 시각이 부족(38.8%)을 꼽고 있고, ③ 강의를 위한 주 교재가 빈약하고(66.3%가 1권만 선택), ④ 교수 내용의 전달방법이 지나치게 설명 위주의 강의에 의존하고(67.0%), ⑤ 학점 산출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상대 평가를 지나치게 사용하고 있었다(13.7%). 둘째, 교수방법 중 개선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은 교수내용의 전달방법이었다. 이어서 교수내용의 전달방법 중에서 가장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는 기술'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강의 평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63.9%의 교수들은 현 강의 평가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교수방법 개선을 위한 웍샾세미나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는데 그 결과 전체교수의 67.1%가 웍샾세미나에 참석한 경험이 없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석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iz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expanded rapidly after 1970.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brought several problems to our country. The increasing numbers and the changing charactor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gradually show up a need to reconsider ways of teaching. Therefore, this study is tr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find out effective ways of teaching in univers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and to find out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teaching in university. 1. The survey showed the following problems in ways of teaching 1) 39.2% of 176 professors did not obtain partially teaching goals which they set ill advance. 2) 38.8 of 67 professors who did not obtain partially teaching goals answered because they did not have time enough to obtain the goals. 3) 66.,3% of 175 professors took only one book for textbook. Just one book for semester is not enough. 4) 67.0% of 176 professors delivered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lecture. Only 15.5% of them took advantage of a few of dissuasion methods. This results reveal our teaching methods are not diverse. This point has to be improved soon to develop university students' high-order thinking. 5) 23.7% of 177 professors took advantage of norm·-referenced evaluation. 2. The points which the improvement is called for are as follows: 1) Professors have to obtain all teaching goals. If not, they have to try to get information related to it. 2) Professors have to give all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read books related to the subject. 3) Professors should try to get used to diverse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method, role play etc. 4) Professors should stick to criteria-referenced evaluation rather than norm- referenced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