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종기와의 관계 -모아임상실습을 중심으로-

        백경선 ( Kyoung Seon Baek ),송애리 ( Ae Ri Song ),김영희 ( Yeong Hie Kim ),김태경 ( Yae K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실제 임상 상황의 맥락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 하고 이로 인해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질적인 임상실습 교육의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실제적인 문제에서 학습이 시작하게 되며,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는 자신이 실제 임상세계에서 경험하는 문제이어야 한대 따라서, 모아임상실습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실제 임상사례에 바탕을 둔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간호과 2학년 학생의 모아임상실습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임상실습을 시행하기전에 사전에 교과목을 통하여 문제중심학습 에 대한 학습방법의 지식을 습득하였으며,이 방법을 통하여 이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다. 이러한 사전경험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법으로 인한 시간소요나 혼란을 줄일 수 있었으며, 임상실습을 통하여 시나리오의 사례를 실제로 경험하면서 보다 역동적으로 실습에 임하고, 지식 습득 및 문제해결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는 3.34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반족도를 연구한 Kim과 Oh(2000) 의 연구결과 인 2.96점과 Park과 Lee (2002)의 2.86점 보다 높은 점수이다. 또한, 임상실습만족도의 하부영역 중 ``임상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3.49)가 타 하부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200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환경영역의 점수(3.11)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반되는 결과이다. 실제 본 연구대상자들은 임상실습지도 (3.46), 환경(3.31) 평가(3.23) 및 시간 (3.16) 등과 같은 임상실습의 외부적인 부분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도 실습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 간호대학 임상실습의 환경이 주로 수동적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문제 중심학습법이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와 학습 동기 유발 및 흥미를 상승시킨 효과로 볼 수 있다. 자율성(Autonomy)이란 의미는 자기- 규율, 자기·결정, 자기·통치 및 독립성이란 용어로 오늘날 전문직 자율성의 개념은 간호 전문직 내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 시대의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복잡한 간호현장에서 중요시되는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부터 자율성을 신장시켜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Shin, 1996). 본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은 평균 3.83점으로 Kim (1998)의 4년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3·5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본 연구가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해가는 자율적 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로 이해 되어진다. 간호사는 대상차의 건강과 관련된 요구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지식의 소유자이며, 대상자를 위한 이타적인 가치관을 소유한 전문가로써 간호사 자신 뿐만 아니라 대상자에 대한 존중을 기본적인 소양으로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 간호사의 진정한 자율성은 대상자에 대한 존중에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지율성 하부영역에서 ``타인에 대한 존중`` 이 4.15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이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의 실제 적용을 넘어 대상자를 존중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여 적합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기회로 간호전문가로써의 기본 자질을 함양할 수 기회를 제공 한것으로 보인다. 성취동기는 어떤 훌륭한 일을 이루어보겠다는 내적 의욕으로 과업을 성취해나가는 과정에서 만족하는 성취의욕이며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습득되며 육성된다.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수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성취동기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 요소로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과 학생들의 성취 동기는 3.8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 (2002) 의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취동기는 이론학습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실제 임상실습시에도 높은 성취동기는 임상실습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중심학습법은 학습의 동기유발을 통하여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이를 통하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발 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며 성취동기,자. 성이 학과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결국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Park, 1992), 본 연구에서도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습시기에서 임상실습만족도 중 ``임상실습내용`` (t=2.219, P<0.35)과 자율성 중 ``타인에 대한 존중``(t=3.133, P<.005)이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교수업을 한후 실습`` 을 하는 실습이 ``실습 후 학교수업``을 하는 경우보다 임상실습에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 후 실습을 할 경우 실습에 조금 더 자신 감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임상실습의 시기는 이론 강의가 이루이진 후 시행 되는 현재의 간호교육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 학습법을 임상실습에 적용한 본 연구대상자들의 성취 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r=.47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Jang(2000)의 연구에서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 같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일을 잘 이루어 내겠다는 욕구가 내재 화되어 있는 사람은 임상교육에서도 그 욕구가 작용하여 성공적으로 그 일을 끝마치려는 행동을 보이고 그 결과 좋은 교육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Park(2003)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자율성 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328), 자율성과 성취동기도 유의한 상관 관계 (r=.468)를 보였다. 성취동기는 후천적 학습에 의해 더욱 강화되므로 단시간의 훈련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지능과 관계없이 육성될 수 있는 좋은학습 신장도구이므로, 현장실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학습법이 요구되어진다. 문제중심학습법은 임상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통한 자율성 증대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하고 급변해 가는 임상현장 에 적합한 간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이다. 이론 강의시 사용되는 문제중심학습법은 실무와 떨어진 교육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점을 여전히 수반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의 습득에 대한 접근을 달리하는 방법으로만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 강의의 적용에서 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주어진 사례를 직접 임상실습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학습과정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동기와 자율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실습교육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학습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서는 학생들의 성취동기 및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학습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이 기존의 이론강의뿐만 아니라 임상실 습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 자율성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간호학생을 위한 임상실습 의 학습법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their autonomy, achievement motivation and what affected them in those regards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8 nursing sophomores at J college who participated in PBL-bas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y got a mean of 3.34, 3.83 and 3.83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level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vation of choosing the major and time for undergo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decided to major in nursing at their own option(3.6l) were most contented with practice teaching(F=6.356, p<.0l), and those who underwent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3.82) were most pl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clinical practice (t=2.129, p<.05).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utonom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age of 22(3.92) valued themselves the most(F=3.003, P<.05). And those who found their major satisfactory (4.28) and undergo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4.37) respected others the most(F=3.l33, p<.0l). As to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major(4.00) excelled the others who weren``t in that aspect(F6.038, p<.0l).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utonomy (r=.328, p<.0l) and achievement motivation(r.476, p<.01). Conclusion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ress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older students who were 22 years old were more autonomous, and those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receiving theoretical instruction were more autonomous and more pleased with the practice.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major more satisfactory surpassed the others i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level,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getting a profound grasp of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geared toward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modules for PBL-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required. How to provide PBL-based theoretical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언어,교육 : 한국어에 나타나는 "진실" 표현 어휘의 담화표지 기능 연구

        김태호 ( Tae Ho Kim ),정선영 ( Seon Yeong Je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9 No.-

        A Corpus-based Study of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Used as Discourse Markers. Kim, Taeho & Jeong, Seon-yeong . 2012. Studies in Cross-cultural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truth-related words in Korean, which were originally noun or adverb with ``truth`` related meaning, can be used as discourse markers with the functions such as ``emphatic marker``, ``attention getter``, or ``hesitation marker``, and it argues that such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s are the result of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at is to say that the truth-related words have acquired new functions as discourse markers from their corresponding lexical items as a noun or an adverb through grammaticalization proces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the truth-related words tend to appear sentence-initially or sentence-medially when they are used as discourse markers. We also show that they are most likely to be used as emphatic marker because of the lexical meaning of the truth-related words. Finally, we state that truth-related words differ from one another in where they appear and what function they are used with.

      • KCI등재

        한국어에 차용된 프랑스어 어휘와 한국에 유입된 프랑스 문화

        김영선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1 언어와 언어학 Vol.28 No.-

        Le point de de´part de notre recherche e´tait le de´sir d'analyser les phe´nome`mes d'emprunt linguistique du core´en au franc¸ais, et de constater l'influence culturelle franc¸aise sur la Core´e. Au bout de notre recherche, nous sommes arrive´e a`constater que malgre´ la distance ge´ographique et la diffe´rence de culture, les rapports entre la Core´e et la France ne cessent de progresser quoi qu'ils soient minims. Les motivations principles des Core´ens pour les emprunts au franc¸ais se rapportent Pluto^t au prestige culturel de la France. Au de´but du contact, bien que l'e´vange´lisation par les pre^tres catholiques franc¸ais n'ait pas directement contribue´ a` la diffusion du franc¸ais, l'introduction de la langue franc¸aise de la part des Core´ens. Car nous remarquons que le taux le plus e´leve´ des mots franc¸ais concerne davantage la litte´rature et la philosophie, et aussi tout ce qui touche a`l'art et a`la mode. Pendant l'occupation japonaise, les Core´ens ont aspire´ a`l'ide´e de liberte´, a`travers la lecture des oeuvres litte´raires fran¸aises traduites en core´en Juste apre`s la libe´ration et la guerre de Core´e, les intellectuals ont acce´le´re´ leurs recherches sur la litte´rature fran¸aise, parce que la tendance litte´raire fran¸aise comme celle d'Albert Camus ou de Jean-Paul Sartre convenait a`l'e´tat d'esprit des Core´ens de l'e´poque.

      • KCI등재

        오리엔탈나리의 球根 收穫時期와 低溫處理 期間이 生育에 미치는 影響

        金熙峻,金正萬,金致善,柳汀,崔泳根,文炳永 한국화훼연구회 2001 화훼연구 Vol.9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duration of chilling treatment and the lifting time of bulbs on growth of Lilium Oriental hybrids for product of cut flower in the type of forcing or semiforcing culture in Korea. "Casablanca", "Acapulco" and "Le Reve" in lilium Oriental hybrids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 and carried out from 1999 to 2000 in Iksan, Korea. The bulbs for experiment were lifted on August 27, September 27 and October 27 and the all of them were chilled at 5±1℃ for 0,8,10,12 weeks. Development of the bulbs lifted on October 27 was superior than that of lifted bulbs on August 27 in the three cultivars. The bulbs lilted lately and chilled for a long time were sprouted more earlier and grown faster. In order to increase bulb sprouting until 100%, the duration of chilling treatment of bulbs was need for 12 weeks on August 27, 10 weeks on September 27 and above 8 weeks on October 27. The flowering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hilling treatment and the lifting time of bulbs was same above. Consequently, the bulbs should be chilled at 5±1℃ for chilled for 10 weeks at late September and 8 weeks in producted bulbs at late October in earlyㆍMidseason variety fur product of cut flower hut bulbs of late variety should be chilled for 12 weeks at late September and 10 weeks at late October.

      • KCI등재후보

        GC/NPD를 이용한 다성분 잔류농약의 동시분석

        김우성,이선화,김상엽,정동윤,김재이,이영자,이홍재,정성욱,박흥재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10

        Pesticides were extracted from samples with 70% acetone and methylene chloride in order, and then cleaned up via open-column chromatography apparatus packed with fiorisil, and finally analyzed simultaneously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using GC/NPD, Ultra-2 and Ultra-1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s were used to separate and identify the products. Recovery of most analytes from soybean sample, taken from pesticide residues well, was greater than(80%) for all except(6) analytes. This method can simultaneously determine multiple pesticides with a high degree of accuracy and precision.

      • KCI등재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혈압, 심박수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우선혜,김효정,박영숙 대한보건협회 2001 대한보건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on blood pressure, puls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s qua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The subjects were 36 subjects(experimental group: 19 subjects, control group: 17 subjects), aged between 65 and 73 years who have normal cognition, sensory function and cerebellum function.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erobic exercise, Korean tradititional dance and music by the author. The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t-test,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of change and ANCOVA test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ystolic blood pressur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1.39, P=0.247). 2.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2.96, p<0.1).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sting heart rat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0.07, P=0.793). 4.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llowing the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F=9.94, p<0.01).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aerobic rhythmical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romo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us,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 최대 유산소 운동 후 휴식 형태가 피로회복에 미치는 영향

        高永鎬,金善鎬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敎育論叢 Vol.15 No.-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break type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has an influence on lactic acid of the blood. Glucose, Ammonia, VO_2max, process of recovery of heart rate. To achieve this purpose, seven students(of In - Wueol high school in Nam - Wueon) were selected as doners. Some blood gathered from each other through four times, in resting,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after break time(about ten minutes), finally Aerobic exercise after bread time, was not only compared with each other but also found out interrealtion of Lactic acid, Ammonia, and Glucose at break type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The result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for these data were as follows. 1) In heart rate, there were not appeared significant for ten minutes recovery as break type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But it showed lower numerial value( p 〈 0.01) in dynamic rest than in static one for the first part from 1 to 6 (minute) when exercise break time. 2) In exercising after break time, the maximum oxygen intake is much higher in dynamic rest than static one. 3) As the consistency of Gluco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ter exercise, the ten minute recovery, next Aerobike exercise. 4) In recovery time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the removal rate of Ammonia in the blood was relatively higher in dynamic rest, than static one (p〈0.01). In Aerobike exercise after than in static one (p〈0.01). 5) In recovery time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the removal rate of Lactic acid in the blood ws relatively higher in dynamic rest than in static one (p〈0.01). 6) As break type after maximal aerobic exercise there were appeared significant interrelations between Lactic acid and Ammonia, besides much higher inter-relations in dynamic rest than in static one.

      • Rotary type과 linear type 자동흡연 장치에 따른 담배연기 중 타르, 니코틴 및 일산화탄소의 함량 비교

        정재훈,김영신,임흥빈,석영선,신주식,이학수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4 煙草硏究 Vol.19 No.-

        본 실험은 type별 흡연 장치의 담배 주류연 포집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고자 주류연 중 일반적인 다량의 성분을 측정하였다. 1. 니코틴 함량은 대체로 linear-type 흡연 장치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수분 함량은 두 가지 type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tar 함량은 저 농도에서 linear-type 보다 otary-type 흡연 장치가 높은 경향 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일산화탄소는 rotary-type과 linear-type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결과 ISO 표준 흡연 조건에서 담배 주류연의 tar, 니코틴, 일산화탄소 함량의 측정은 흡연 장치의 type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rotary-type with linear-type automatic smoking machine referred to ISO 3308 in the determination of tar, nicotine and CO in cigarette smoke. Sample were used with 4 kinds of domestic branded cigarettes(tar ; 1, 3, 6, 10 mg/cig) and CORESTA Monitor 4 cigarettes(tar ; 14 mg/cig). Tar and nicotine contents were analysed by gas-chromatograph methods in accordance with ISO 4387 and 10315-1. Determin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vapour phase of cigarette smoke was meaured by NDIR method in ISO 8454. Sample preparation were performed in conditioning room at 22℃, 60 % for 48 hours according to ISO 340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moking machine from 1 mg/cig to 14 mg/cig tar cigarettes, but, the contents of three components measured by rotary type showed higher tendency than those by linear type in the case of hight tar cigarettes. The results were the opposite in low tar cigarettes.

      • 잎담배 생산농가의 경작규모별 곁순방제 소요노동력 조사

        최상진,김영신,이학수,석영선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4 煙草硏究 Vol.19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cect efficient method of sucker control classifed by cultivation hectarage per farm in 57 farms selected in the main producing districts of flue-cured and burley tobacco. In topping, it was no difference of working hours by cultivation hectarage per farm in flue-cured and burley tobacco. Suckering was the best in working hours among working type, and the more cultivation hectarage per farm was small, the more working hours of topping, suckering and application of suckercide was increased. Application of system suckercide shows a decrease as compared with application of contact suckercide but the decrease of working hours in application of contact suckercide by cultivation hectarage per farm was larger than in system suckercide. 경작면적별 효율적인 곁순억제방법을 알아보고자 황색종 및 버어리종 주산지에서 57개 경작농가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심작업의 경우 황색종과 버어리종 모두 경작면적에 의한 노력소요량의 차이는 없었다. 2. 곁순제거작업은 다른 작업에 비해 노력소요량이 가장 많았고, 경작면적이 작을수록 노력소요량이 증가하였다. 3. 황색종과 버어리종 모두 침투성 곁순억제살포작업에 비해 접촉성 약제살포작업에서 노력소요량이 많았으나 경작면적이 큰 경우 접촉성 약제 살포작업 노력소요량 감소폭이 침투성 곁순억제제 살포작업에 대한 노력소요량 감소폭보다 컸다. 4. 각 작업에 대하여 농가간 최저 및 최고 노력소요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조사방법과 시기를 보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세밀한 조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