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혈연간 동종골수이식에 의해 치료된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1예

        김현중,이홍기,이방훈,이창근,이종태,정현식,김원석,윤성수,강원기,박근칠,김대식,고영혜,박찬형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비혈연간 동종골수이식은 혈연간 동종골수이식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기존의 면역역제요법으로 효과가 없었던 경우나 재발한 경우에 적응증이 될수 있다. 이식 거부와 이식편대숙주병의 발생이 골수 이식의 성공률을 감소시키므로, 보다 강력한 conditioning regimen의 사용과 T cell이 제거된 골수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high dose corticosteroid나 cyclosporine에 대하여 불응성인 이식편대숙주병의 치료를 위해서 ATG와 Mycophenolate mofetil (Cellcept®) 의 사용이나 Tacrolimus, Methotrexate와 같은 다른 면역억제제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It is known that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aplastic anemia. However, this treatment is only applicable to a minority of patients becaus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ve HLA-matched siblings about 25% to 30% of all the aplastic anemia patients. In the case of the absence of HLA-matched donor, unrelated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s considered. However, (because of severe acute and chronic GVHD and graft failure) the success rate of this approach is only 20~30%.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increased immunosuppressive condition combined with T cell depletion of the marrow graft would result in greater success. There was no case of successfully treated aplastic anemia patient by unrelated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Korea. Here, we report a case of severe aplastic anemia successfully treated with unrelated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 : Assessment of Risk Factors

        안중경,이홍기,황정혜,박세훈,이효락,송서영,이순일,박준오,김기현,김원석,정철원,임영혁,강원기,박근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집중 치료 시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로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를 밝힌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기계 환기를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 중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과 기계 환기를 시행하지 않은 1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의 여부에 관해서는 chi-square 또는 Fisher's exact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기계 환기에 대한 각 위험 인자의 영향에 관해서는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의 환자 중 30일째 생존자는 1명이었고 6개월째 생존율은 0%였다. 생존자와 사망자 모두에서 다기관 기능부전이 관찰되었으며, APACHE II 점수와 SAPS II 점수에 의한 예측 사망률은 각각 56%, 59%였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는 선행 질환이 혈액질환, 부분불일치 동종이식, 간정맥폐색성질환, 이식 전 질병 상태가 재발하였거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단지 부분불일치 동종이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현재까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집중 치료의 역할에 대해서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으며,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이다. 따라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와 불량한 예후 인자를 고려하여 기계 환기 여부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Background: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a frequent, critical complic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Patients who require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generally have a very poor prognosis. Mechanical ventilation in HSCT recipients is a strong predictive factor of mor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all patients >15 yrs old who received HSCT at Samsung Medical Center and subsequently required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between 1996 and 2001. Results: Thirty-day mortality rate in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was 95.6%. The mean predictive mortality rates of APAHCE II score and SAPS II score were 56% and 59%, respectively. Reasons for mechanical ventila-tion were sepsis (47.8%) followed by fungal infection (13%) and diffuse alveolar hemorrhage (8.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relapsed or refractory diseases at HSCT, hematologic disease,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and allogeneic or HLA-mismatched transplant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allogeneic mismatched transplant remained significant. Conclusion: Overall outcome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very poor. Therefore, the risk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making further treatment decision for HSCT recipient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 SCOPUSKCI등재
      • ESO 기법을 이용한 컴플라이언트 메커니즘 설계

        이원구,박재용,김상락,유진식,한석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A compliant mechanism is a mechanism that produces its motion by the flexibility of some or all of its members when the input forces are applied. Whereas the topology optimization based on homogenization and SIMP parameterization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for compliant mechanism design, an ESO approach has not been considered yet for the optimization of these types of systems. This work presents a modified version of the evolutionary structural optimization (ESO) Procedure for its application in topology optimization of compliant mechanisms, It will be shown that an additive version of this method must be adopted in order to achieve the optimum design, since the traditional ESO method's element removal technique is not efficient in this case. The methodology is based on a mutual energy concept for formulation of flexibility and the ESO method.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 is formulated as an application of compliant mechanism design. The procedure has tested in several numerical applications and benchmark examples to illustrate and validate the approach.

      • SCOPUSKCI등재
      • 선형 시변 시스템의 웨이브렛 망 근사화와 가중치 학습

        이영석,이인수,김명식 金烏工科大學校 1997 論文集 Vol.18 No.-

        This paper discusses approximation modeling of discrete-time linear time-varying system(LTVS). The wavelet transform is considered as a tool for representing and approximating a LTVS. The joint time-frequency properties of wave analysis are appropriate for describing the LTVS. Simulation results are included to illustrat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technique.

      • 그레이브스 병 치료 후 재발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

        이영창,유명희,윤석기,변동원,서교일,김극배 순천향의학연구소 1998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4 No.2

        연구 배경 : 그레이브스 병에 대한 항갑상선제 치료후 적절한 치료 여부 평가 및 재발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예후 판정 인자들이 연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자들 중 TRH(thyrotropin-releasing hormone) 자극 시험이 가장 믿을 만한 검사중에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TRH 자극 검사가 정상으로 나와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로는 이러한 경우에 재발을 예측하는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금번 연구에서는 TRH 자극 시험 후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가 정상적인 반응을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재발 및 관해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항갑상선제제 치료 종료후 TRH 자극 시험을 시행하였던 그레이브스 병 환자 총 84명 중, 정상적인 TSH 반응을 보이면서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진단 시와 치료 종료 시에 T3(triiodothyronine), T4(thyroxine), T3/T4 비, TSH, TRAb, Anti-TPO Ab(anti-thyroperoxidase antibody)를 측정하였으며, 치료 종료 2개월후에는 TRH 자극 검사를 하여 TSH 증가폭(△TSH) 및 유리 T_(3) 증가폭(△FT_(3))을 구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SPSS software를 이용하여 Student's paired t-test, chi-square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시행하였고, 유의 수준 0.05 이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1) 총 32명의 환자 중 재발한 환자(Group Ⅰ)는 22명(69%) 이었으며, 재발한 환자(Group Ⅱ)는 10명(31%) 이었다. 2) 진단 초기 총T3 치는 Ⅰ 군에서 342.0±126.2ng/dl, Ⅱ 군에서 493.0 ±142.2 ng/dl로 Ⅱ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3) Anti-TPO Ab는 Ⅰ군에서 2.9±4.4, Ⅱ군에서 22.3±22.3 U/mL로 나타나 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4) 양군에서 치료 종료후 재발시 대부분의 환자가 1년 이내에 재발하였다. 5) TRH 자극· 검사후 유리 T3 증가폭 및 TSH 증가폭은 양군간에 차이가 업ㅅ었다(1.5±0.9 vs 1.2±1.0 pmol/L, 12.54±7.56 vs 11.23±4.21 mU/L, p>0.05) 결론 : TRH 자극 검사후 정상적인 TSH 반응을 보인 환자에서 재발 및 관해여부를 치료 초기 T3 및 치료 종료시 Anti-TPO Ab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들 측정치가 증가해 있을수록 재발의 가능성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약 중단후 초기 12개원의 추적기간 동안 관해가 유지되면 그 이후엔 재발의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 들었으며, 이 후 좀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적인 추적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Many studies were undertaken to find parameters that could predict the clinical course of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fter withdrawal of antithyroid drugs. In many parameters, TRH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stimulation test and T3 suppression test we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reliable for predicting remission. But recently, some studies showed that the measurement of free T3 and FT3 are to be a more accurate than other thyroid function test. In this study, we measured T_(3), T_(4), T_(3)/T_(4), 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RAb (TSH receptor antibody), FT3 and other known useful parameters to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lapse of Graves disease after antithyroid medication. Patients and methods : Among the 84 Graves' disease patients who had done the TRH stimulation test after withdrawal of antithyroid medication, we examined 32 patients who showed normal TSH response and followed up more than one year. T_(3), T_(4), T_(3)/T_(4), TSH and TRAb levels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the end of therapy. Serum TSH and FT_(3) levels were measured after TRH stimulation, after two months of withdrawal of medication. Statist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SPSS software in combination with Student's Paired t-test, chi-square test, Wlicoxon signed-ranks test. p-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Results 1. In the 32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10 patients(31%) relapsed(Group Ⅰ) and 22 Patients(69%) remained in remission(Group Ⅱ). 2. Initial serum T3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Ⅰ than group Ⅱ(342.0 ±126.2 vs. 493.0±142.2 ng/dl, p<0.05). 3. Anti-TPO Ab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Ⅰ than group Ⅱ(22.3±22.3 vs 2.9±4.4 U/mL, p<0.05). 4. In group Ⅰ and Ⅱ most patients showed relapse within 1 year after antithyroid medication. 5. After TRH stimulation test, serum FT_(3), and TSH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I and Ⅱ(p>0.05). 6. Serum T_(4), T_(3)/T_(4), TSH, TRAb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roup Ⅰ and Ⅱ.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increased relapse rate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hose initial serum T3 and anti-TPO Ab levels were high, so these parameters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relapse of Graves' disease. In the case of more than 12 months remission period after withdrawal of antithyroid medication, no relapse wsa observed in this study, but study should be done in the large population of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 불확실한 파라미터와 유연한 관절을 갖는 로보트 매니퓰레이터를 위한 견실한 비선형 제어

        이희영,류석환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1994 科學技術硏究 Vol.1 No.-

        In this paper, a robust controller design problem for robot manipulators with parameter uncertainty and flexible joints is considered. The system dynamics of the robot manipulator is expressed as a nonlinear singularly perturbed system. Based on the singular perturbation theory, a robust slow control law is developed such that the control law stabilizes the slow subsystem for allowable parameter uncertainty. Based on this slow control law, a corrective control law is synthesized using the integral manifold theor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controller, computer simulation is performed for a robot

      • SCIESCOPUSKCI등재
      • 무 種子의 發芽와 生育에 미치는 産性비의 影響

        이재석,최명자,정재식,이영선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7 응용과학연구논문집 Vol.6 No.1

        황산과 질산을 3:1용량비율(V/V)로 혼합한 인공산성비(pH 2.0∼pH 4.0)처리가 무(Raphanus sativus L.) 종자의 발아, 유근과 배축의 생장, 세근, 근모의 발생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대조구(pH 6.3)에 비하여 pH 3.0과 pH 4.0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pH 2.0은 발아가 지연되고 불균일하였으며, pH 1.0은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2. 유근과 배축의 생장은 대조구(pH 6.3)에 비하여 pH 3.0과 pH 4.0은 차이가 없었으나, pH 2.0은 극히 불량하였으며 산성비는 배축보다 유근의 신장을 더 저해시켰다. 3. pH 2.0의 산성비는 치상후 3일째부터 유근과 배축이 서서히 굽어지고 세근과 근모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4. pH 2.0의 산성비는 6일째부터 유근이 누렇게 되고 자엽이 연녹색으로 변색되었으며 엽록소가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5. 산성이 강한 용액일수록 자엽, 배축, 유근 등의 조직이 일찍 물러지고 괴사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The effects of acid rain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radical and hypocotyl of radish are studied. The inhibition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f pH3.0 and pH4.0 on seed germination was not significant as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pH6.3), while that pH2.0 reduced both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speed significantly. No seed germination was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pH1.0. Growth of radical and hypocotyl of the seedlings treated with pH3.0 and pH4.0 was not inhibited when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pH 6.3). Growth of radical and hypocotyl of the seedlings treated with pH2.0 was severly inhibited which resulted in gradual abnormal hypocotyl bending. Forthmore, no fine roots and root hairs were formed on these seedlings. Simulated acid rain of pH2.0 cused radicle chlorosis, and decolorization of cotylendons to pale green which might has been due to lack of chlorophyll syn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