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장세진,고상백,강동묵,김성아,강명근,이철갑,정진주,조정진,손미아,채창호,김정원,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국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umer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have reported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and work disability. Every society has its own culture and occupational climate particular to their organizations, and hence experiences different occupational stres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therefore needs to be developed to estimate it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s considered to be unique and specific occupational stressors in Korean employees. Subjects an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total of 12,631 employees from a nationwide sample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ere administered. The KOSS was developed for 2 years (2002-2004). In the first year, we collected 255 items from the most popular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such as JCQ, ERI, NIOSH and OSI, and 44 items derived from the a qualitative study (depth interview). Forty-three items of KOSS, in the second year, were retained for use in the final version of the KOSS by using Delphi and factor analysis. Items were scored using conventional 1-2-3-4 Likert scor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Results: We developed eight subscales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process: physical environment (3 items), job demand (8 items), insufficient job control (5 items), interpersonal conflict (4 items), job insecurity (6 items), organizational system (7 items), lack of reward (6 items), and occupational climate (4 items). Together they explained 50.0%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alpha scores were ranged from 0.51 to 0.82. Twenty-four items of the short form of the KOSS (KOSS-SF) were also developed to estimate job stress in the work setting. Because the levels of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gender dependent, gender-specific standard norms for both the 43-item full version and the 24-item short form using a quartile for the subscales of KOSS were presen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SS might b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Korean employees. Further and more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cal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한,장성실,김성아,문재동,채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消化器癌의 症候와 治療에 관한 文獻的 考察

        김현아,임성우,윤상협,이원철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8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6 No.2

        근래 들어 악성종양의 발병률은 점점 상승하고 있으며 소화기암은 전체 악성종양중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질병으로 한의학계에서도 치료를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소화기암의 증후와 치료에 관하여 ??膈, 反胃, 積聚, 臟毒을 위주로 明ㆍ淸代까지의 歷代 文獻을 통해 考票한 결과 이는 복강내 악성종양과 증후에 있어서 유사성을 나타내며 치료는 초기에는 祛邪法을, 중기에는 攻補兼施를, 후기에는 扶正法을 위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문헌에서는 이에 대한 처방구성을 다양하게 언급하여 향후 소화기암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思料된다. In these days, the outbreak rate of a malignant tumor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frequency of digestive organ's cancer is so high that the remedy is being studied in the Oriental Medicine Worid. I made a consideration the Erlgyuk(?膈), the Panwue(反胃), the Juckchui(績聚), the Jangdok(臟毒), on the symptom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cancer, with the successsive literatures of the Myung and Chung Dynasty. In consequence, these are similar to the symtom of malignant tumor in abdominal cabity, and the the treatment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by each period. The Geosa-method(祛邪決) is used in the early stage, and in the middle the Gongbokyumsi-me��攻補兼施), and in the latter stage the Pujung-method(扶正法) is used. The successiv literatures shows the prescription of gastrointestinal cancer in variety. Therefore, I thinf the various prescription will be applied to gastrointestinal cancer on forward.

      • 고양이의 만성 췌장염 치료 증례

        김현아,윤기영,박정호,이왕희,송근호,박성준 忠南大學校 獸醫科大學 附設 動物醫科學硏究所 2011 動物醫科學硏究誌 Vol.18 No.1

        A 5-year-old Russian blue cat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history of anorexia, lethargy, weight loss(6.5 to 4.8 kg) 2 weeks ago. Abdominal ultrasonography showed the following : increase of echogenicity of liver, irregular shape of gall bladder, hyperechoic region around duodenum. Pancreatitis, cholangitis, hepatic lipidosis was diagnosed by the ultrasonography. Anti- inflammatory therapy, antibiotic therapy was administered. Abdominal ultrasonography is a efficient available diagnostic tool but serum fPL test reveals the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ty result for feline pancreatitis. SNAP fPL test is newly released that can check pancreatitis within 10 minutes by same princple of Spec fPL test used in Gastrointestinal Laboratory of Texas A & M Univerrsity.

      • KCI등재후보

        구미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김성아,김진석,전혜리,정상재,김상우,이채용,함정오,유재영,최태성,하봉구,조민환,우극현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구미지역 내 대학병원이자 특수건강진단·보건관리대행기관의 산업의학전문의, 보건관리대행 간호사, 사업장 간호사를 중심으로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주요 직업성질환들의 발생현황과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차적으로 산업, 직업, 업무내용 등에 따른 분포나 원인을 기존 자료원(특수건강진단의 직업병 유소견자와 산재요양승인 되는 직업병자)과 비교하여 분석·기술하고 예방 및 관리를 포함한 보건의료기술개발까지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운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미지역의 산업적 특성에 맞는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감시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6대 감시대상 직업성질환(독성 간염, 직업성천식,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직업성 피부질환, 직업성 암, 수지진동증후군)의 실행적 환례정의, 보고양식 및 보고체계 개발, 분석양식 및 결과 배포 형식을 개발하였으며, 그 유병규모를 파악하고, 감시질환의 분포 및 특성, 관련인자 등을 분석·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때, 1년간의 환례분석시 직업병 유소견자 및 직업병 요양자에 대한 자료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으며, 노동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년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결과: 2001. 1. 1일부터 2002.4.30일까지 총 287건이 보고되었으며,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132건(46.0%), 직업성 피부질환 100건(34.8%), 독성간염 34건 (11.8%), 직업성천식 16건 (5.6%), 수지진동증후군 5건 (1.7%) 이었으며 직업성 암은 한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경로별로는 보건관리대행에서 33건 (11.5%), 해당 유해인자별로 실시되는 특수검진 외의 각종 건강진단업무 수행 중 발견된 환례에 대한 보고가 206건(71.7%)이었다. 직종별 분류의 결과는 섬유업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음식업종사자 등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수근관증후군이 42건(33%), 외상과염/내상과염이 39건(30%)로 가장 많았다. 직업성 피부질환은 97건이 접촉성 피부염으로 유기용제류가 59건(59%)으로 가장 많고, 니켈 및 에폭시수지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이 각각 6건과 5건이었다. 독성 간염은 모두 DMF 나 DMAc에 의한 것으로, 근무시작 후부터 간기능이상이 발견되기까지의 근무기간은 대부분이 3개월 이하이며, 1개월 이하인 경우도 10건이나 되었다. 동 기간 중 감시환례에 대해 산재요양 자료와 중복여부를 확인한 결과, 중복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수건강진단에서 직업병유소견자로 판정된 경우는 독성간염에서 3건이 있었으며, 나머지 질환은 중복되는 것은 없었다. 2001도 구미지역의 근로자수와 보고환례건수를 이용하여 연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근로자 10만 명당 연간 발생률은 상지 근골격계질환은 63.6명, 피부질환 48.2명, 독성 간염 17.9명, 천식 7.7명, 수진진동증후군 2.4명이었다. 참여예상인원은 총 46명이었으며, 실제 참여자수는 21명, 평균참여율은 46%, 실제 참여 1이당 평균 보고건수는 산업의학전문의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행간호사는 45,건, 사업장 간호사는 3.3건이었다. 결론: 지역 감시체계는 기존 통계자료들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직업성질환의 발견에 유용한 통계원이며, 특히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한다면 더 성과가 클 것이다. Objectives: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in Kumi (KODS) was used to collect data on occupational diseases. The data was used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diseases, to analyz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find links for thei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Methods: Since January 2001, occupational physicians and nurses in Occupational Health Service (OHS) have reported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ccuaptional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ies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ccupational asthma (OA),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and occupational cancer. For the respective diseases, a reporting sheet and operational diagnostic criteria were developed by the KODS. An analysis of the KODS data, collected over a certain period, was compared with data from the Korea Labor Workers Corporation (KLWC) and the Specific Health Examination (SHE), and the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estimated. Results: Between Jan 2001 and Apr 2002, 287 cases of the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 were reported. Of these, there were 132 (46.0%), 100 (34.8%), 34 (11.8%), 16 (5.6%), and 5 (1.7%), cases of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A, and HAVS, repectively. But, there were no cases of occupational cancer. 33 (11.5%) of the incidence were reported via the OHS, 206 (71.7%) from health checkups, and the other 48(16.8%) from other routes. The synthetic fibers and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ies accounted for the greatest number of reported cases. With resport to occupation, the greatest numbers of incidence were reported from the elementary occupations, textile workers, assemblers, and cooks and food services worker, in that order. Of the MSDUE cases, carpal tunnel syndrome and epicondylitis were the two most common diseases. Most of the occupational dermatoses were due to contact dermatitis, with organic solvents (59%), nickel (6%), and epoxy resin (5%)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se cases. All cases of toxic hepatitis were induced by dimethylformamide or dimethylacetamide, which were reported by a unique monitoring system. During same period, there were no cases claimed by workers to the KLWC, and only three cases from SHE, were identified. Using data from workers' number and surveillance, the annual incidence of MSDUE, dermatoses, hepatitis, OA, and HAVS, per 100,000 workers were 63.6, 48.2, 17.9, 7.7, and 2.4,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n area-based surveillance system can be very effective for the collection of data on work-related diseases, at least in Kumi.

      • KCI등재후보

        텔레비전 브라운관 생산업체 남자 근거리 검사작업자에서 시력, 눈물분비기능의 변화

        김성아,천병렬,김상우,정상재,이광자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장기간의 근거리검사작업이 굴절력 및 눈물분비량의 감소를 초래하는지를 관찰하고자 3년간추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구미소재 일개 TV브라운관 제조공작의 미세한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작업에 종사하는 남자 근로자 396명 중 정시안, 눈물분비기능이 정상, 40세 미만이며 3년간 추적가능했던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력, 색신 검사 외에 자동굴절력검사, 누액분비검사, 안증상, 근무기간, 실제 검사작업을 수행하는 시간, 일상생활중 TV시청 및 VDT사용시간,작업환경에 대한 불편감, 안경착용여부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중 누액분비검사는 쉬르머 I검사로써 1996년과 1998년에만 실시되었으며, 시력및 누액분비기능의 변화가 안증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보기 위한 설문조사는 1999년에 시행되었다. 결과 : 32개월간의 구면굴절력의 변화량은 좌우안모두 0.18D(diopter)였으며, 년간 변화량은 0.068D/yr로서 근시화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20개월간의 눈물의 변화량은 좌안이 6.57 mm/s min, 우안이 6.40 mm/5 min만큼 감소하였다. 30세 이하 연령군과 2년 미만 근무군에서 0.5 D 이상 감소한 빈도가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조명, 소음,공기에 대한 주관적인 상태와 작업시간외 영상화면사용시간에 따른 차이도 없었다 안불편감의 호소율은 52.3 %이었고 굴절력의 변화, 나안시력의 변화, 눈물분비변화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연령, 근무기간과도 관계가 없었고, 조명, 공기, 소음에 대한주관적인 상태에 따른 차이도 없었으나 작업시간외영상화면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에서 4시간 미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구면굴절력, 나안시력 및 눈물분비 변화량, 20개월 후의 눈물분비상태, 나이,근무기간, 불량한 조명, 일상생활중 VDT 혹은 TV시청을 독립변수로 하고 안불편감여부를 종속변수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한 변수는 작업시간외 영상화면의 사용시간으로 4시간 이상인 군이 4시간 미만인 군이 비해 비차비가 10.5(95% 신뢰구간 1. S~73.9)이었다. 결론 : 근거리 검사작업자에서 굴절력 및 눈물분비의 저하가 관찰되었으며, 그 방향은 근시화 및 건성안의 진행방향이었으나, 눈물분비의 저하는 유의한 정도는 아니었고, 근거리검사작업으로 인한 부가적인 근시화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근거리작업자의 안건강관리측면에서 시력뿐만 아니라, 눈물분비기능, 눈물층의 상태 등을 포함한 안건강프로그램이 필요하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field-based longitudi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ar-work on lacrimation and visual function, particularly refractive power. Methods : Our study tracked sixty five male workers for about three years by means of ophthalmologic examinations and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including eye symptoms and subjective work environmental factors. Ophthalmic examinations included visual acuity, Shirmer I test, and autorefractometry. In the first year,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ges less than 40 years, no history of ophthalmic diseases, emmetropia (-1.0 ≤spherical refractive power〈 1.0) and normal lacrimation. Results : Over a period of 32 months, spherical equivalents were decreased as much as 0.18D (diopter) for LE(left eye) and 0.18D for RE (right eye). Lacrimation by Shirmer's I test during 20 months were decreased as much as 6.57 mm/5min for LE, and 6.40 mm/5min for RE. Although more myopic-changed workers demonstrated young age (〈30 years) and short work duration (〈2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ce to this correlation. Additionally, subjective work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oor illumination, noise, uncomfortable air and daily use of VDT and/or TV were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However, as for eye discomfort, which was reconstructed from several dry eye symptoms, the daily use of VBT and/or TV was a significant variable. According to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erning the effects of refractive power, lacrimation, work duration, poor illumination, and daily use of VDT and/or TV on eye discomfort, only daily use of VDT and/or TV greater than 4 hours displayed OR of 10.5. Conclusions : Myopic changes due to near work were not observed, however lacrimal function was changed in wo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lacrimation, tear film and refraction as well as visual acuity in order to establish an eye care program among near-work performing employees.

      • 개 비장 질환의 미세세침흡입술을 통한 세포병리학 검사 4례

        김현아,윤기영,최호정,정성목,이영원,조성환,박성준 忠南大學校 獸醫科大學 附設 動物醫科學硏究所 2011 動物醫科學硏究誌 Vol.18 No.1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diagnostic significance of cytopathological diagnosis of canine splenic disorders, cytopathological examination throgh fine-needle aspiration(FNA)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ere retrospectived. Splenic neoplasm, hemolymphatic neoplasm, hyperplasia, extramedullary hematopoiesis and splenitis were diagnosed canine splenic disorders through cy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patient should be identified what coagulation profile are normal before aspiration, because complication such as hemorrhage could happen. The 4 cases were identified symmetric, asymmetric splenomegaly on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then were performed ultrasound-guided FNA. The 4 cases were diagnosed hemangiosarcoma(2), hyperplasia(1) and extramedullary hematopoiesis(1) by clinical signs, hematological examination, and cytopathological examination. Cytopathological examination through FNA was cost-effective, no gneral anesthesia, no complication, and non-invasive method of diagnosis for canine splenic disorders.

      • KCI등재

        제대혈중 납농도와 신생아 신경행동평가

        김정아,김성아,이채용,정상재,천병렬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1

        목적: 제대혈중 납농도가 신생아 행동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미지역 1개 종합병원 신생아실에서 정상 분만한 신생아 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납농도는 신생아의 제대혈에서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행동평가는 생후 1일째와 생후 1개월째에 브레즐톤 신생아 행동평가(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 이하 NBAS)를 이용하여 시해하였다. 산모의 교육정도, 산모의 흡연유무, 산모의 간접흡연 유무, 남편의 흡연유무, 직업에 대한 생후1개월째 외래방문 시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면담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평균 제대혈중 납농도는 3.88±0.70 μg/dl으로 의학적으로 중독증상을 일으키거나 행동에 장애를 줄 수 있는 농도에 미치지 않는 낮은 농도였다. 중앙값(4 μg/dl)을 근거로 두 군으로 나누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후 1일째의 NBAS는 영역군집별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생후 1개월째의 NBAS는 4 μg/dl미만인 군이 4 μg/dl 이상인 군에 비해 운동성 영역과 상태조직력 영역의 군집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생후 1일째의 NBAS 중 항목별로 세분하여 비교한 결과, 4 μg/dl 미만인 군이 4 μg/dl 이상인 군보다 상태조직력 영역중 최고흥분도달상태점수만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생후 1개월째의 NBAS는 사회성-상호작용 영역 중 생물성시각적 자극, 무생물성시각적 자극, 무생물성청각적 자극에서, 운동계 영역 중 활동수준에서, 상태조직력 영역중 최고흥분도달상태와 상태가변성에서 4 μg/dl 미만인 군의 점수가 4 μg/dl 이상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검사시기에 따른 두 군간의 변화의 정도 차이를 생후 1일째의 신경행동평가 점수를 공변량으로 조정한 후 평가한 결과, 납농도에 따른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들은 사회성-상호작용 영역에서는 생물성시각적 자극, 무생물성시각적 자극, 무생물성청각적 자극이었다. 운동계 영역 중에서는 활동수준이, 상태조직력 영역에서는 최고흥분도달상태와 상태가변성이었다(p<0.05). 결론: 신생아의 평균 제대혈중 납농도의 평균이 3.88 μg/dl으로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제대혈중 납농도가 4 μg/dl 미만인 군과 4 μg/dl 이상인 군의 생후 1일째와 생후 1개월 후의 신경행동학적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더니 생물성시각적 자극, 무생물성시각적 자극, 무생물성청각적 자극, 활동수준, 최고흥분도달상태, 그리고 상태가변성의 항목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납의 저농도 노출이 신생아의 신경행동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umbilical cord blood lead level lower than 10 μg/dl and neonatal neurobehavioral performance. Methods: Umbilical cord blood lead level, as an indicator for prenatal exposure to lead, and Brazelton neonatal behavioral assessment scale (NBAS), as an indicator for effect, were determined in 86 neonates in Gumi, Kyungpook, Korea. The blood levels were measured by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Development was assessed by NBAS at birth in 86 neonates and at I month in 55 neonates. Results: The mean cord blood lead levels of the 86 and 55 neonates were 3.90±0.7I μg/dI (range 2.24 - 5.39 μg/dl) and 3.88±0.70 μg/dl (range 2.24∼5.03 μg/dl), respectively. We used the median value of 4 μg/dl to divide into low- and high- lead level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ak of excitement at birth, and in the animate visual, inanimate visual, inanimate auditory, activity level, peak of excitement, and liability of states at one month, between the two groups. For cluster scores, motor system and state organization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adjusting th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 of intial difference, differences of th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at one month were analysed with ANCOVA. The results of ANCOVA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enatal low-level lead exposure, even lower than 10 μg/dl, might affect the neonatal neurobehavioral development.

      • KCI등재

        SF-36에 의한 직장남성의 건강수준과 의료이용과의 관련성

        김성아,박기수,장미경,감신 대한산업의학회 200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8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health status measured by SF-36 and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health status measured by SF-36 in male worker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786 male workers. Results: In bivariate analysis, physical functioning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workers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and job type. The bodily pain score and general health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ers' economic level and job type. The vitality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ers'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and job type. The social functioning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ers' age, marital status, economic level, and job type. The role limitation emotio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ers' age, marital status, and job type. The mental health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rkers' marital status, economic level, and job type (p<0.05). The SF-36 scores increased with higher workers' self-rated health status (p<0.05). The self-rated current health status of the workers was good when their economic status was high, their previous year health status was good and their SF-36 score was high (p<0.05). The rates of morbidity incidence and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for 1 year were lower when workers' SF-36 score was high (p<0.05). Conclu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findings, SF-36 is suitable to measure health status and predict the medical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