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일본 국어이념 정립 - 훔볼트 언어사상의 영향을 중심으로 -

        박정환 한국언어과학회 2012 언어과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Humboldt's thought of language on the idealogy of modern Japanese language. Ueda who completed the idealogy of modern Japanese language said that language is the expression of thought and emotion in the mind of person who uses that language and it inscribes the spirit of a nation. His thought is reflected in Humboldt's thought of language(Weltansicht). In order to draw a moment of identity in the language he accepted Humbodt's thought of language organism. Therefore the ideology of modern Japanese language is completed by Ueda who accepted Humboldt's thought of language.

      • Acid-degradable poly(ethylene glycol)-poly(amino ketal) for enhancing gene transfection efficacy and therapeutic angiogenesis of stem cells

        박정환,방석호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 have the potential to treat ischemic diseases. However, transplanted ADSCs have a low therapeutic efficacy in ischemic tissues due to their poor engraftment and low viabi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cid-degradable poly(ethylene glycol)-poly (amino ketal) (PEG-PAK)-based micelles for efficient intracellular delivery of stromal cell-derived factor-1α (SDF-1α) plasmid DNA. The SDF-1α gene was successfully delivered into human ADSCs (hADSCs) using PEG-PAK micelles. Transfection of SDF-1α increased SDF-1α,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gene expression and decreased apoptotic activity in hADSCs cultured under hypoxic condition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gene transfection using polyethylenimine. Consequently, these cells improved angiogenesis in ischemic hindlimb regions.

      • KCI등재

        삼국 · 통일신라시대 도로축조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

        박정환 중앙문화재연구원 2013 중앙고고연구 Vol.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통일신라시대 도로망의 부분적 복원에 있다. 경남이라는 지역성을 띤 이 유는 도로의 발굴사례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23개 유적 33개 도로(40개 구간)들이 조사 되었다. 도로를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지형과 지질이었다. 지형과 도로단면 형태에 따라 경사가 심 한 구릉 도로(Ⅰ형), 경사가 약한 구릉 도로(Ⅱ형), 평지 도로(Ⅲ형), 저지 도로(Ⅳ형), 수레바퀴흔 만 잔존한 도로(기타)의 5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경사가 약한 구릉 도로(Ⅱ형)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시간성을 반영하며 경사가 약한 구릉 도로는 빈도가 늘어났으나 평지 도로와 저지 도로는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 아마 홍수나 폭우로 인한 도로의 유실, 잦은 개보수의 문제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폭에 따른 분류에서는 도로를 수레바퀴 사이 간격인 윤거 평균값 1.95m와 측구 평균값 0.18/ m(측구폭/노폭), 도수분포, 척도인 고구려척과 당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레 한대가 다닐 수 있는 소로, 수레 한·두 대가 다닐 수 있는 중로, 수레 두 대가 교행할 수 있는 대로로 나눴다. 시간 에 따라 소로(35%→30.8%), 중로(15%→38.5%), 대로(35%→23.1%)의 변화상을 보이는데, 중로 가 배 이상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도로를 쓰임에 따라 간선도로 12개소, 지방도 8개소, 특정 생산시설과 관련된 도로 4개소 등 7가 지로 세분하였다. 이 중 수도와 지역거점, 거점과 거점을 연결하는 간선도로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 였다. 시간성을 반영하며 간선도로가 배 이상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신라의 삼국 통일로 중 앙집권화가 강화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더불어 이를 종합해 간선도로는 중·대로가 가장 많고 지방도는 소로가 많음을 밝혀냈다. 또한 총 14곳 18개 도로가 집중된 울산지역을 분석해 타 지역보다 도로망이 발달한 이유를 강과 바다가 만나 문물의 수출입에 유리한 점, 경주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 자원이 풍부한 점 등 세 가지 로 추론하였으며, 당시 경주↔울산간 간선도로는 경주↔외동↔울산축선임을 알아내었다. 이와 더불어 대구·경북지역 24개 도로를 경남지역(33개소)과 비교해 삼국시대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소형 지방도의 비중이 높고, 통일신라시대 대구·경북지역에서는 경사가 약한 구릉에 소형의 지방 도를 가장 많이 조성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구·경북지역 도로들은 금호강, 동천쪽으로 난 길들이 11개소나 조사됐는데, 이는 낙동강수계와 연결되는 육상↔수상 복합교통망의 존재를 상정 할 수 있는 발굴결과라 하겠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road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Unified Silla Era. This article's purpose is to clear the difference and concomitant feature of the road of 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ed Silla Era. The road is constructed to carry goods and service in the remote past. The genuine road is made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it has strong continuiti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Although archaeological studying of ancient road is very important in business exchanges, cultural interchanges, military objectives, researchers have neglected studying of ancient road on account of the lack of resources. In any case, when a road was built, the most things were geographical features. People made suitable road topographically. I have classified the 5 road types in landform, 3 road types in width, 7 road types in use. I also find out that principal road size was middle or big, region road size was small. Even the width average of the ree Kingdoms road is 13.99m, the principal road is 4~7.75m. The Three Kingdoms road is two or three times wider than principal road. It shows that small road of the Three Kingdoms(The Three Kingdoms road have divided into three types : main street, middle road, narrow path) is equal in width of principal road. It means that principal road width was designed a size of small road of the Three Kingdoms road. The width of wagon wheel on principal road gets 1.95m as average. It shows that principal road wagon can load more goods. Any research on the ancient roads, it is about to start. The division problem of the Three Kingdoms and debate of the Three Kingdoms scale is very important. The researchers of the Three Kingdoms and ancient roads should take a profound interest in it.

      • KCI등재

        순천지역 교육선교와 매산학교 - 선교부와 지역교회의 교제를 중심으로 -

        박정환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3

        이 글은 순천지역 교육선교에 상당한 역할을 감당해 온 매산학교의 역사에서 중요한 세 시기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 글의 연구 목적은 세 시기에 해당되는 1913년 은성 학교의 개교, 1921년 매산학교의 개교, 1937년 매산학교의 폐교와 연관된 상황을 통해 서, 순천지역의 교회와 남장로교 선교회는 어떻게 만났고 어떤 관계 맺기를 하였는지 살피는 데 있다. 1913년에 개교한 은성학교는 ‘순천지역 교육선교’를 넘어서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남장로교 선교회는 일찍부터 자생적 신앙공동체로 성장해 온 순천읍교회의 요구와 필요 가 무엇인지 알고자 했고, 현지인 신앙공동체 역시 선교회의 선교기지(스테이션) 설치에 공감하면서 협력했다. 그 협력은 1909년의 만남과 1910년의 순천선교기지 설립을 결 정하면서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은성학교는 1915년 일제의 사립학교규칙 개정으로 인 하여 성경과목을 가르칠 수 없어 1916년에 폐교하였다. 이 시기에 선교회는 신학문 및 직업교육에 의한 기독교적 가치관을 전달하였고, 지역교회는 근화에 한 배움과 열망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선교회와 지역교회는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교제하였고, 무 엇보다 은성학교가 ‘성경을 가르치는 학교’라는 인식을 지역에 뿌리내리게 하였다. 1921년 매산학교의 개교는 3.1운동 이후 한국에 한 일제의 문화 정치적 상황에서 이뤄졌다. 한편으로는 지역의 기독교계 인사들이 사립학교를 설립하는 데 힘을 모은 결 과이기도 했다. 선교부는 재정상의 이유로 보통과만 개설하려고 하였지만, 특별히 순천 읍교회 이기풍 목사와 몇몇 교인들이 고등과 설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 시기 지역교회 와 선교부는 협력하여 매산학교를 소생시켰으며, 교회와 학교가 결국 지역선교의 토를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고등과를 설치하고 기독교적 일꾼을 길러내고자 협력하였다. 그런데 매산학교는 1937년 가을 신사참배 거부로 자진 폐교하였다. 당시 신사참배 문제로 미션학교가 문을 닫게 되는 상황을 안타까워하는 기독교계 인사들이 적지 않았 다. 지역의 비기독교인들은 미션학교가 없어지는 것을 한국 해방의 마지막 희망이 사라 지는 것으로 여기기도 했다. 이러한 때에 남장로교 선교회는 신사참배 문제를 ‘유일신교 와 다신교 사이의 문제’이자 ‘신사참배 문제를 양보하는 것은 모든 기독교 선교의 목적과 프로그램을 망쳐버린다’고 보았다. 결국 매산학교는 자진 폐교하였고, 순천지역 교회들 의 모임인 순천노회는 신사참배를 결정하면서 남장로교 선교회와 다른 입장을 표명하였 다. 이후 선교부와 지역교회의 교제(koinonia)가 단절되었다. 그러나 매산학교의 폐교는 당시 한국인의 열망이었던 근화 그 이상으로 한국기독교 의 미래지형을 바꾼 사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사에서 기독교 신앙이 과연 무엇 인지? 기독교신앙과 그 의미를 새로운 차원에서 던져준 사건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매산학교의 폐교는 비록 과거의 일이었지만, 앞으로도 순천지역 교육선교의 온전성을 풍부하게 해 주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This essay is centered on three important periods in the history of Maesan School which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the Suncheon area educational mis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quire about how to establish and rel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es in Suncheon and the Presbyterian Missionary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done through the context of the opening of the Eunseong School in 1913, the establishment of the Maesan School in 1921, and the closure of the Maesan School in 1937. Eunseong School, which was opened in 1913, has meaning beyond the ‘Suncheon Area Educational Mission’. The Presbyterian Missionary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wanted to know the needs of Suncheon-Eup Church (Current Suncheon Central Church), which had grown into a Protestant self-sustainable faith community early on. The Society also wanted to know the needs of community members who cooperated while agreeing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issionary Station in Suncheon. The cooperation was shaped by the meeting of 1909 and in deci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uncheon Mission Station in 1910. However, Eunseong School was closed in 1916 because it could not teach Bible subjects due to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rules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15. During this time, the Missionary Society communicated Christian values through a new science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local church believers showed learning and aspirations of modernization. In this way, the Missionary Society and the local church communicated with deep trust. Above all the Eunseong School was rooted in the perception that it is a ‘Bible teaching school’ in the Suncheon area. Opened in 1921, the establishment of the Maesan School was made under the Japanese cultur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after the 3.1 move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a result of the efforts of local Christian figures to establish a private school. The Missionary Society wanted to open only the primary school for financial reasons, but a minister of the Suncheon-Eup Church, Lee Gee-Pung and some members strongly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grade school. The local churches and the Missionary Society in this period joined forces to revive the Maesan School and cooperated to establish a high-grade school. This would raise Christian workers while sharing the recognition that the churches and schools should eventually lay the foundation for regional missions. However, Maesan School voluntarily closed its doors as a refusal to go to the shrine in the autumn of 1937. Few Christian figures lamented that the mission school was closed due to the issue of visiting the shrine at that time. Local residents of the region also regarded the disappearance of Mission School as the disappearance of the last hope of Korean liberation. At this time, the Presbyterian Missionary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saw the issue of shrine visits as “a problem between monotheism and polytheism,” and “conceding on the issue of shrine visits ruins all Christian mission objectives and programs.” In the end, Maesan School was voluntarily closed, and the Suncheon presbytery, a group of churches in the Suncheon area, decided to visit the shrine and expressed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Missionary Society. Since then, the Koinonia between the Missionary Society and the local churches has been cut off. 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losure of Maesan School changed the future terrain of Korean Christianity more than the modernization which was the desire of the Korean people at that time. What is Christian faith in history? It is an event that the Christian faith and its meaning have been thrown into a new dimension. Although the closure of the Maesan School happened in the past, it will serve as a factor that enriches the whole educational mission of the Suncheon area.

      • KCI등재

        비점오염원의 유수지 유입 방지를 위한 슬래그 활용 방안

        박정환,김진한,정종태,전세진,박한봉 한국습지학회 2010 한국습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오염이 심한 유수지를 지속적으로 양호한 수질로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 행되었다. 유수지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려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입 차단이 필요하다. 본 연 구에서는 이의 방안으로 다공성 슬래그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다공성 슬래그 넷트를 유수지에 설치하는 경우의 수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오염물질의 제거 정도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접촉 시간과 인 제거 효율 간에는 높 은 상관관계(r2=0.9765)를 나타내어 접촉시간이 처리효율에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인과 부유 물질은 조제 시료, 생물학적 처리수, 하수 모두 다공성 슬래그 충전상을 통과하면서 높은 효율로 제거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유수지 수중 내부와 외부 호안에 다공성 슬래그 충전 상의 설치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기 제주도 개신교 형성사: 이기풍 선교사 이전 현지인 신앙공동체를 중심으로

        박정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Generally, Protestants say that Christian history of Jeju-do began by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in 1908. However, it had already become a mission field by the Catholic Church in 1899 before Rev. Lee arrived. Furthermore, the faith community of Protestant Church had been in activity in Jeju-do at that time.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which had started in 1904. Then PCK sent Rev. Lee to the island, where he worked with the native islanders. According to records, before mission of PCK, there were two faith communities in Jeju-do. “Ihori Community” started in 1904 was founded by an evangelizing of Kim Jae Won. This community requested that PCK would send a missionary to Jeju-do. Ihori Community became the base camp of missionary work, and paved a way to establish other churches in Jeju-do. “Kumsungri Community,” the second faith community established in 1907 by Cho Bong Ho, showed deep interests in the modernization and education for Jeju-do. Kumsungri Community put the christian faith alongside the patriotic spirit. Two themes in the church history of Jeju-do can be confirmed through these communities. First, the natives conducted the service meeting and they pulled together with missionary, and then churches of Jeju-do were sprung up. This showed the same patterns as the forming context of early Korean churches. Second, these communities of Protestant Church were started during mission work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Leaders of communities, in fact,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Also, they had the unquenchable thirst for the modernization of Jeju-do and thought that Protestant Church could answer some religious questions the natives had in mind. So far the oral tradition on Kim Jae Won and the existence of the faith community was presented industriously over the academic circles, but this was rare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world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Yet, Memories of Life in Korea by Oliver R. Avison keeps the record on Kim Jae Won straight. The contents of the Memories correspond closely with the oral tradition on Kim. The Memories is an excellent source for restructuring the shape and growth of Jeju-do communities. These two communities were joined in 1908. As a result, the distinct feature of Jeju-do churches was formed. That is, since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two streams in early Jeju-do Protestant Church were consolidated into one. These streams were one : ‘Mission through the Treatments’ and the other : ‘Mission through Guidelines for Modernization.’ There was a goo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ves and Rev. Lee. Like this, the mission of PCK responded enthusiastically the needs of the natives with joining of the two communities. 일반적으로 한국교회의 교인들은 제주도 기독교의 역사가 1908년 이기풍 목사의 선교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제주도는 이기풍 목사가 도착하기 전인 1899년 이미 천주교의 공식적인 선교가 이루어진 곳이었다. 더구나 그 시기에 제주도에는 개신교 현지인 신앙공동체가 활동하고 있었다. 한국장로교회는 신앙공동체의 존재를 알고 있었는데, 이 공동체는 1904년에 시작되었다. 그래서 한국장로교회는 이기풍 목사를 그 섬에 보냈으며, 그는 그곳에서 현지인들과 함께 선교활동을 펼쳤다. 기록에 의하면, 한국장로교회의 선교 이전, 제주도에는 두 신앙공동체가 있었다. “이호리 신앙공동체”는 김재원의 전도에 의해 1904년에 시작되었다. 이 공동체는 선교사를 제주도로 보내달라고 한국장로교회에 요청했다. 그리고 이 공동체는 선교사업의 베이스캠프가 되었으며 제주도에서 여러 교회들이 설립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조봉호에 의해 1907년에 설립된 두 번째 “금성리 신앙공동체”는 제주도를 위한 근대화 및 교육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 공동체는 기독교의 신앙을 애국하는 마음으로 연결시켰다. 이들 공동체를 통해 제주도 기독교 역사에서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현지인들이 예배모임을 가졌고 그들이 선교사를 요청했으며, 그로 인해 제주도 교회들이 성장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한국에서 초기에 교회들이 형성되는 맥락과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는 개신교 신앙공동체들이 천주교의 선교활동이 진행 중일 때 시작되었는데, 사실상, 신앙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천주교와 개신교 사이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지도자들은 제주도의 근대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이 있었으며, 개신교를 통해 현지인들이 품고 있었던 종교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김재원에 대한 구전과 신앙공동체에 대한 존재가 끊임없이 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한국교회사 관련 학계에서는 이 사실을 좀처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런데, 에비슨 선교사의 회고록 Memories of Life in Korea에 김재원에 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다. 회고록의 내용은 김재원에 관한 구전과 거의 일치했다. 에비슨의 회고록이 제주도 신앙공동체의 시작과 성장을 재구성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 셈이다. 이 두 신앙공동체는 1908년에 합류되었다. 그 결과, 초기 제주도 교회의 모습이 형성되었다. 즉 이기풍 목사의 선교활동과 함께, 초기 제주도 개신교의 두 개의 흐름이 하나로 합류되었던 것이다. 이 공동체들의 특성은 한편으로 ‘질병의 치유를 통한 선교’와 다른 한편으로 ‘근대화를 향한 선교’였다. 여기에는 현지인들과 이기풍 목사의 좋은 협력이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장로교회의 초기 제주도 선교는 두 공동체들의 합류를 통해서 현지인들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