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어른 광대뼈의 계측과 광대얼굴 및 광대관자구멍의 형태

        김희진(KIM Hee Jm),백두진(P AIK Doo Jm),최병영(CHOI Byung Young),정민석(CHUNG Mm Seok),한승호(HAN Seung Ho),황영일(HWANG Young II),손현준(SOHN Hyung Jun),정락희(CHUNG Rak Hee),고기석(KOH fu Seo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0 No.2

        얼굴모양에 많은 영향을 주는 광대뼈에 대한 재정인류학적 특정을 밝히기 위해 한국인 머리뼈 192예를 대상으로 광대뼈를 계측하고 비계측적인 특성들을 조사하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광대활사이폭 (bizygomatic breadth)은 평균 134 8mm (남자) 126 6mm (여자) 이었다. 2. 양쪽 Jugale사이폭 (bijugal breadth)은 117 3mm(남자), 110 1mm(여자) 이었으며 중간눈확폭 (mid -orbital breadth)은 53 5mm (남자), 52 2mm (여자)이었다 또한 위턱뼈사이폭(bimaxillary breadth)은 98 9mm (남자), 94 8mm (여자) 이었다. 3. 귀구멍점과 눈확바깥점 사이거리 (oder-tiefe)는 71 1mm(남자) 69 Omm (여자) 이었고 귀구멍점과 광대뼈사이거리 (ohrjochbeinlange)는 54 2mm( 남자 ),53 1mm(여자) 이었다 4. 광대뼈아래길이 (infenor zygomatic length)는 32 2mm (남자) 29 6mm(여자), 광대뼈최대길이(maxi-mum zygomatic length)는 54 5mm (남자), 50 5mm(여자) 이었다. 5. 광대뼈높이는 49 6mm (남자), 45 8mm (여자) 이었다. 6. 광대얼굴구맹과 광대관자구멍의 평균 개수는 각각 1 7 0 8개로 이 구멍들의 크기는 작은 것 (03mm_10mm)이 가장 많았다 7. 광대얼굴구멍과 광대관자구멍의 위치를 광대활의 위변과 눈확의 아래면을 이은선을 기준으로 아래부위 연경선위, 위부위(위 중간, 아래로 세분)로 나누어 본 결과, 광대얼굴구멍은 연결선아래 (몽통)에 있는 유형이 가장 많았고 광대관자구명은 연결선의 경계 부위와 이마돌기에 있던 경우가 가장 않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태반조직 배양에서 β₂-Adrenergic Agonist가 Progestero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황태식,안재영,김성도,이숙환,김종민,양성우,엄수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7

        조기진통 억제제로 쓰이는 β₂-adrenergic agonist인 terbutaline이 progesterone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임신 38주 이후에 분만된 태반을 조직배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태반조직 배양에서 β₂-adrenergic agonist 는 progesterone 분비를 증가 시켰다. 2. 2-adrenergic agonist 의 농도가 높을수록 doserelate 하게 progesterone의 분비도 증가했다. 이상과 같으 β₂-adrenergic agonist는 태반에서 분비되는 progesterone 양을 증가시켜 자궁평활근에서 흥분한계치(excitation threshold)를 감소시키고 gap junction의 형성도 억제시켜 자극의 감소와 함께 자극이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Using a placental monolayer preparation, we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β₂-adrenergic agonist on progesterone prod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uman placenta, β₂-adrenergic agonists may enhance progesterone production. 2. The response to β₂-adrenergic agonist was dose relate; Increased placental progesterone production may decreased the excitation threshold in uterine smooth muscle and may inhibit the propagation of stimuli with the restriction of stimuli by blocking the gap juction formation.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의 지상아 1 예

        황상의,손정미,유연주,강은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1

        The fetus papyraceus is a rare complication in multiple pregnancy. If one fetus of multiple pregnancy died in uterus remote from term and other fetus did not, the dead fetus with placenta is compressed between the uterine wall and the membrane of living fetu and then the dead fetus becomes a fetus papyraceus. We had experienced a case of fetus papyraceus in twin pregnancy.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concerned literatures.

      • KCI등재

        태반부결절 및 모반 8 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황상의,김혜숙,손정미,유연주,강은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lacental site nodules and plaques. A clinocopathological study was made on a series of 8 cases of placental site nodules and plaques retrospectively,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igang Hospital from 1992 to 1996.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The lesions occurred on patients 25 to 39 years of age, and were discovered in an endometrial curettage specimen performed because of menorrhagia or vaginal bleeding. 2. The interval from the most recent known pregnancy to the time of presentation ranged from 1 month to 13 month(average 3.8 months) in this study in which this information was available. 3. Urine pregnancy tests were negative in all 8 cases. 4. Three of patients in this category had undergone normal vaginal delivery, four had undergone cesarean section and one had undergone D&C before presentation. 5. Microscopic examination disclosed single or multiple, mostly well-circumscribed, oval, or plaquelike, variably cellular nodules that were characteristically extensively hylinized. The lesional cells typically had abundant cytoplasm that was amphophilic, eosinophilic, or occasionally vacuolated, and irregular, often degenerative-appearing nuclei; mitotic figures were absent or rare. Chronic endometritis of variable degree evidenced by plasma cells was noted. Clinically, placental site nodule or plaque is confused with retained placenta, placental site trophoblastic tumor. The lesions may cause vaginal bleeding.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경관 임신의 1예

        황세영(SY Hwang),김경태(KT Kim),공원보(WB Kong),문재민(JM Mo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9

        조기 진단하여 자궁경관내에 있는 임신 9주대의 태아와 양막을 육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 고,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증된 자궁경관임신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면서, 문헌 고찰을 하였다. A case of cervical pregnancy which is in 30 years old multiparous woman is presented and review briefly with literatures.

      • KCI등재

        선행 제왕절개후 질식분만: 성공률 예측을 위한

        하현미,문정주,황연희,양정미,김은규,이덕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목적: 본 연구는 선행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임부들의 질식분만 성공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점수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1996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질식분만을 시도한 선행제왕절개 임부 321명을 대상으로 질식분만 성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적으로 70.1%의 질식분만 성공률을 보였으며 산모의 신장, 현임신시 태아 체중, 질식분만기왕력, 선행제왕절개의 이유, 입원시 자궁경관개대정도, 아두 고정유무가 질식분만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였다. 고안된 점수제에 의하면 1점이하의 성공률은 27.5%, 4점이상의 성공률은 95.1%를 보였으며 점수가 증가할수록 성공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점수제는 향후 의사와 임부들의 분만방법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o develop a scoring system to predict the likelihood of vaginal birth in patients undergoing a trial of labor after previous cesarean delivery. Methods: Variables influencing successful vaginal delivery rate were studied in 321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trial of labor after previous cesarean delivery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8. Results: Totally, It resulted in a rate of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delivery of 70.1%. Six variables [maternal height, current fetal weight, prior vaginal delivery, indication for prior cesarean delivery, cervix dilatation in admission, head fixation] significantly affected a rate of successful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Rate of successful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delivery was 27.5% in patients scoring less than or equal to 1, 95.1% in patients scoring greater than or equal to 4. Increasing score was associated with increasing vaginal delivery success rate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coring system will be helpful for perspective patients and doctors deciding mode of delivery.

      • KCI등재

        부인과 감염증에서 Cefbuperazone (Tomiporan) 의 임상적 효과

        이정우,김종덕,김승일,황수경,이희섭,류철희,하정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9

        1992년 7월 28일부터 8월 31일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감염증으로 통원 및 입원치료한 환자 30명에게 cefbuperazone을 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환자는 30대 부인이 가장 많았고 골반염이 12예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2. 세균배양시 분리된 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결과 cefbuperazone에 88.9%의 감수성을 보였다. 3. 세균학적 효과판정시 85.2%의 소멸률을 보였다. 4. 임상효과의 판정은 90%의 유효율을 보였다. 5. 종합효과 판정에서는 우수가 33.3%, 유효가 56.7%이었으며 무효가 10%이었다. 6. 투약중 특이할만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cefbuperazone은 산부인과 영역의 여러 감염질환의 치료에 유효한 제제로 사료된다. A clinical non-comparative open trial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cefbuperazone(Tomiporan ) in gynecologic infections was carried out in 30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 or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2 to August 1992.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ges ranged from 20 years 62 years with a mean of 33.8 years,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as the most frequent gynecologic indication in this study. 2. Cefbuperazone was sensitive to 88.9% of isolated organisms. 3. In bacteriologic response, the eradication rate was 85.2%. 4. The clinical efficacy rate of cefbuperazone was 90% in this study. 5. In global assessment, the excellent result was 33.3%, and the good was 56.7%. 6. There were no remarkable adverse effects in this study group.

      • KCI등재

        원발성 후복막 장액암 1 예

        이우영,조숙,고승권,황성욱,김준미,박지현,원영석,이정례,지용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저자들은 세계적으로 드물며, 우리 나라에서도 보고된 예가 없는 후복막에 발생한 원발성 장액성 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retroperitoneal serous carcinoma is extremely rare tumor. It is histologically identical to ovarian serous papillary carcinoma but without any evidence of ovaries, pancreas, gallbladder, appendix or abdominal origin. Histogenesis of this neoplasm remains uncertain. Ectopic ovarian tissue or coelomic metaplasia of retroperitoneal mesothelium has been proposed as its origin. W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retroperitoneal serous carcinoma in an 53-year-old woman. Therefore, we presen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