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 심박동수의 계산도표

        고승권(SK Koh),박문일(MI Park),이재억(JA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4

        산과 영역에서 분만전에 태아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한다는 것은 임신부의 산전검사에서 거 의 필수적인 과정이며, 또한 현대산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그동안 이러한 목적으로 `전자태아심박동 자궁수축감시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외국에서는 특히 태아심박동변이 도의 추출에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한 객관 적인 판정을 하는 논문들이 발표되어 있는 바,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세계 최초로 이러한 기기의 상품화에도 성공한 바있다. 그런데 이렇게 연구된 `태아심박동 분석자료`는 그 특성 이 외국의 증례어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이를 구내에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약간의 무리가 따를 것으로 생각된다. 즉 국내환경에서 는 국내의 임산부 및 태아의 자료로서 `태아심박동의 표준화`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본교실에서 개발된 컴퓨터를 이용한 태아심박동분석시스템을 이 용하여 수집된 3,206예를 대상으로 기본태아심박동수, 기록손실도, 태동, 변이도, 태아심박동 중가수 등의 제 변수에 대한 주수별 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우선 1차적으로 기본태아심박동 수에 대한 표준계산도표를 제시하였다. 각 변수에서 주수별 분석은 각각의 임신주수(임신 20-임신 45주)별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만삭전 (N=1,754), 만삭(N=1,394), 만삭후 (N=58)의 임 신주수별로 나누어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태아 심박동수는 (bpm / 20 min) 는 만삭전은 144.86, 만삭은 143.05, 만삭후는 140.02 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2. 기록손실도는 만삭전은 8.28% 만삭은 6.1%, 만삭후는 5.63%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인다. 3. 태동수 (No. / 20 min) 는 만삭전 9.54 만삭은 8.49, 만삭후는 6.86으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인다. 4. 변이도(amplitude, bpm / 20 min)는 만삭전은 19.28, 만삭은 19.81, 만삭후는 18.81로서 만 삭임신에서 가장 높다. 5. 태아 심박동 증가횟수는 증가폭 (bpm) 과 지속시간( sec)에 따라 4가지 조합으로 분류하 여 분석하였던 바, 모든 조합에서 만삭시 태아심박동증가 횟수가 가장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얻었던 바, 기본태아심박동수의 표준적인 기준곡선이 얻어졌으며 임신 주수별 NST의 결과 분석 등에서 판독의 보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러한 컴퓨터 를 응용한 자료가 기본이 된다면, 육안적으로도 더욱 정확한 검사판독 결과를 얻을 수 있으 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자료는 태아심박분석 소프트웨어의 작성에서 중요한 data base로 활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더욱 많은 자료로서 정상 및 비정상 임신에서의 기준 곡선을 분류하면 각 질환별 해당환자에서 각변수의 백분위수 (percentile)를 측정하는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Nonstress test(NST) using electronic fetal heart rate monitor has become popular method of assessing fetal well-being. Most results of NST were interpreted with visual methods. However, this visual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 FHR record is unacceptably inconsistent, varying between different observers on the same occasion or even between the same oberves on different occasions. Fetal heart rate(FHR) records should be presented as measurements derived from numerical analysis. Such analysis requires computerized sysetems. Among each varialbes of FHR data, baseline FHR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analysis of NST. However, there were only few reports concerning normal distribution of baseline FHR data according to each gestaional weeks. Using HYFM-1 software which already developed for comupterized analysis of FHR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3,206 normal preterm (N=1,754), term (N=1,394) and postterm(N=58) pregnancies were entered to this study for nomogram of baseline FHR. Each variables including signal loss rate, base line FHR number of fetal movements, variability,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were analysed for 20 minutes of first NST. With increasing gestational weeks, the mean baseline FHR was decreased (144.86bpm at preterm, 143.05 bpm at term and 140.02 bpm at postterm pregnancies). With increasing gestiational weeks, the mean signal loss rate (8.28% at preterm 6.1% at term and 5.63% at postterm pregnancies )and number of fetal movement (9.54 at preterm, 8.49 at term and 6.86 at postterm pregnances )were also decreased. However, the variability(19.28 bpm at preterm 19.81 bpm at term, and 18.81 bpm at postterm pregnancies)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revealed the highest value at term pregnancies. In this study we could extract nomogram of baseline FHR according to each gestiational weeks using on line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This result would be helpful in the visual analysis of NST in each gestational week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also useful in the computerzied FHR analysis system, epecially in the field of automated analysis as a background data base of FHR.

      • KCI등재

        난소종양 및 Residual Ovary Syndrome에 대한 임상병리학적 고찰

        고승권(SK Koh),조창현(CH Cho),노의선(YS Rho),남주현(CH Nam),정좌구(JK Chung),권순욱(SW Kw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1976년 1월 1일부터 1985년 12월 31일까지 본 한림대학부속 한강성심병원에서 체험하였던 411예의 난소종양에 대하여 임상병리학적 고찰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종양을 크게 비종양성 난소낭종, 양성 난소종양 및 악성 난소종양으로 대분하였을 때, 전 난소종양중 비종양성 난소낭의 빈도는 34.3% 이었으며 이중 단순낭이 30.5%, 황체낭이 28.4%의 순이었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에서 48.9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30.6세이었다. 2. 양성 난소종양은 전 난소종양의 58.2%이었으며 그중 낭성 기형종이 61.1%로 가장 많았다. 연령분포는 역시 20대에서 41.4%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32.6세이었다. 3. 악성 난소종양은 전 난소종양의 7.5%이었으며 점액성 낭선선암이 41.9%, 장액성 낭선선암이 22.6%를 차지하였다. 연령분포는 20대가 29.0%, 40대가 19.4%의 순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7.3세이었다. 4. 난소 종양환자에서의 분만경력을 살펴보면 분만경험이 없었던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평균 분만횟수는 비종양성 난소낭에서 1.5, 양성 난소종양에서 1.8, 그리고 악성 난소종양은 역시 1.8이었다. 5. 난소종양의 수술방법으로는 비종양성 난소낭종 및 양성 난소종양환자의 74.2%에서 낭종적출술 또는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4.7%에서 전자궁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0%에서 전자궁 및 양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각각 시행하였으며 수술방법에 따른 각각의 평균연령은 27.5세, 39.3세, 48.8세이었다. 6. 악성 난소종양환자중 41.9%에서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9.4%에서 전자궁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19.4%에서 전자궁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 35.5%에서 전자궁 및 양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시행하였고, 각각의 평균연령은 31.9세, 40.0세, 43.2세이었다.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20세이전의 미혼여성이며 임상분류상 제 1기 난소암 이거나, Borderline malignancy인 경우 및 과거에 전자궁적출술 및 일측 자궁부속기절제술을 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7. 동 기간에 일측 및 양측 난소를 남기고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하였던 917예이었으며, 과거에 남긴 난소에서 종양이 발생하였던 "residual ovary syndrome"이 4예로서 그 빈도는 0.43%이었다. A clinico-Pathological study was made on a series of 411 cases of ovarian tumors, which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gang Sacted Heart Hospital,Hallym Universit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1976 to December 31, 198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mong 411 cases, the incidence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benign ovarian tumors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were 34.3%(141 cases), 58.2%(239 cases) and 7.5%(31 cases) respectively. 2. Among the non-neoplastic ovarian cysts, simple cyst(30.5%, 43 cases) ranked first, followed by corpus luteum cyst(28.4%, 40 cases), and lutein cyst(22.0%, 31 cases). The highest incidence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showed in 3rd decade group(48.9%). The mean age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was 30.6 years. 3. In benign ovarian tumors, cystic teratoma(61.1%, 146 cases) was most common, followed by mucinous cystadenoma(23.4%, 56 cases) and serous cystadenoma(12.1%, 29 cases) in order of frequency. The highest frequency of benign ovarian tumors was found in 3rd decade group(41.4%). The average age of genign ovarian tumors was 32.6years. 4. As to the frequency of malignant ovarian tumors, mucinous cystadenocarcinoma was found in 41.9%(13 cases), serous cystadenocarcinoma in 22.6%(7 cases). The highest incidence of malignant ovarian tumors including borderline malignancy was observed in 3rd decade group(29.0%). The age of malignant ovarian tumors averaged at 37.3 years. 5. In the frequency of parity, nulliparous was most common(35.0%). The mean parity of non-neoplastic ovarian cysts, benign ovarian tumors, and malignant tumors were 1.5, 1.8 and 1.8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