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動亂 이후의 한국 改新敎建築 禮拜空間 平面特性에 관한 硏究

        임광성,박현철,김남응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riation characters of the Protestant worship space after the Korean war which classified by evaluation of its period, type, denomination, and scal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stwar Korean Protestant worship space can be classified as 8 different shapes-rectangular, square, cross, trapezoid, circular, fan-type, elliptical, and irregular shape. (2) A rectangular type was traditional plan until 1968 before Je-Am church plan was introduced with a circular shape to furtherance diversification of the space plan. (3) The Presbyterian church dominated in adoption of a rectangular shape and the Methodist for a square type. This is an evident to make assumption that the Methodist is less conservative and open-minded to new forms. (4) Frequently as well, square, fan-type, and circular form is adopted in a small scale church. This phenomenon was not intended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altar and nave, but rather related to exuviate from conventional form, pursuit symbolism, and imitation of an aptitude of a large scale church. (5) Application of the multi-media facilities and popularizations are the transformation factors of the worship ceremonies-provoke a conversion of a new church planning concept in the future.

      • KCI등재

        LNG 저장 탱크 지중연속법 품질시험

        김영환,조철현,임성진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3 No.2

        지중식 LNG 저장 탱크의 지중연속벽(슬러리 벽체)의 시공 품질 및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파괴 진단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중 연속벽의 9군데 측점을 선정하여 각각의 측점에서 탄성파 충격-공진법으로 벽체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GPR을 사용하여 철근의 배치 간격을 조사하였다. 또한, 음속과 반발경도를 측정하여 압축강도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로 벽체의 두께는 150㎝ 이상으로 설계값을 만족하고 있으며, 철근의 배근 간격도 설계값과 잘 일치하였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값은 기준값보다 훨씬 크게 나타나서 전체적으로 구조물의 시공 품질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Nondestructive testing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structural integrity and construction quality of the slurry wall of the underground LNG storage tank. 9 test points were selected, and the wall thickness, rebar spacing,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lurry wall were evaluated by stress wave impact-resonance method, GPR, sonic velocity, and rebound testing, respectively. As results, the wall thickness, rebar spacing and estimated comnpressive strength satisfy the design criteria.

      • SCOPUS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다발성신경섬유종에 병발한 여러가지 질환 3예

        임정철,임경일,강삼석,이제혁,우정현 대한신경외과학회 198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9 No.1

        Variable manifestations of neurofibromatosis are properly defined as a hereditary, harmatomatous disorder, probably of neural crest origin, involving not only neuroectoderm and mesoderm but also endoderm, with the potential of appearing in any organ system of the body.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3 cases of nuerofibromatosis, one case associated with glioblastoma multiforme in left frontal lobe, another case associated with multiple neurofibromas in thoracic region and cauda equina, the third case associated with retroperitoneal neurofibroma and dural ectasia.

      • KCI등재

        P.F.C. 인공 슬관절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보존유무에 따른 비교

        전철홍(Churl Hong Chun),김정우(Jeong Woo Kim),김현준(Hyun Jun Kim),임철민(Chul Min Lim),김광미(Kwang M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함에 있어, 후방십자인대 보존 여부에 따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비교하파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 환자 193명(223예) 중 P.F.C. 형의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6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퇴행성 관절염 환자 168명(188예)을 후방십자인대 보존군 96예, 대치군은 92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Knee Society 슬관절 점수와 HSS 평가지수 및 굴곡 구축, 방사선학적 정렬은 두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호전되었지만 양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반면에 평균 후속 굴곡각은 술 전 보존군 114.7도, 대치군 119.3도였으나, 추시상 각각 121.2도와 131.3도로 증가되어, 술 후 평균 후속 굴곡각은 대치군에서 더 증가되었다(p<0.05) 결론: 보존군과 대치군 사이에 술 후 슬관절 점수등의 임상적인 결과 및 방사선적 결과에 차이는 없었으나, 후속 굴곡각은 대치군에서 보존군보다 더 향상되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functional results of posterior cruciate-retaining (PCR) and posterior substituting (PS) replacement in patients undergo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TKA) for osteo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PCR and PS primary P.F.C.<SUP>®</SUP> TKA. One hundred and sixty eight patients (188 cases), who had a primary diagnosis of osteoarthritis, and an intact functioning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regardless of the level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reservation. One hundred and eighty eight cases had a minimum 6-year follow-up, which included 96 and 92 cases in the PCR and PS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e Knee Society Score,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rating scores, average flexion contracture and radiologic alignment improved significantl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mean postoperative flexion angles in the PCR and PS knees increased from 114.7° to 121.2° and 119.3° to 131.3°,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CR and PS TKA in the follow-up knee scores. However, the level of postoperative improvement in further flexion was better in the PS group.

      • SCOPUSSCIEKCI등재

        뇌동맥류 파열의 임상적 고찰 : 특히 뇌혈관 연축과 임상증상 및 수술예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asospasm on Angiogram and Surgical Prognosis

        장현기,임정철,이제혁,우정현 대한신경외과학회 198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9 No.1

        저자들은 1978년 1월부터 1979년 5월까지 전남 의대병원에 입원치료한 44예의 뇌동맥류 파열환자중 뇌혈관촬영에서 뚜렷하게 확인되었던 spasm 22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뇌동맥류파열후 spasm의 발생빈도는 44예중 22예였다 (50%). 2) spasm의 형태는 ① tapering, ②diffuse, ③segmental, ④nodular의 4형으로 분류하였다. 3) 뇌동맥류 발생부위와 spasm의 출현빈도는 특징적인 것은 아니었으나 내경동맥류에서 가장 많았으며, (13예중 9예, 69.2%), 전교통동맥류에서는 12예중 5예(47.2%)로 그 출현빈도가 낮았다. 이는 A₁부위의 발육부전과의 감별이 곤란했던 경우는 spasm에서 제외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 대부분의 예에서 최종지주막하출혈 발작일로부터 3주 이내에 뇌혈관촬영이 시행되었으며, 이중 단 1회출혈만 있었던 31예에서는 13예(41.9%)에서만 spasm이 인정되어 전예에 비하여 spasm의 출현빈도가 약간 낮았다. 또한 뇌혈관촬영시기를 최종발작일로부터 3일이내, 4~9일 10~17일, 18~41일, 6주이상으로 나눌 때 spasm의 출현빈도는 1회 출혈예에서는 10~17일 사이에서 가장 높았던(60%) 반면, 2회이상 출혈에서는 9일이내에 높은 발생율 (69.2%)을 보였다. 5) 연령과 spasm 발현과는 무관하였고 척수액소견과의 관계는 혈성내지 황갈색조 척수액에서 spasm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6) 신경학적 소견에서는 의식장애가 12예, 뇌신경마비가 3예, 편측 운동마비가 3예였는데 spasm으로 인한 뇌국재빈혈과는 특별한 관계가 없는 것 같았다. 7) 두개내수술 20예중 술후 뇌혈관촬영을 9예에서 시행한 결과 술전에 spasm이 있었던 5예중 2예에서는 술후에도 계속 spasm이 지속되었고 수술전에 spasm이 없었던 예중 2예에서 수술후에 spasm이 새로이 발생하였다. 8) Spasm과 술후 예후와의 관계를 보면 spasm이 있었던 5예중 2예에서 사망하였고 spasm이 없었던 8예는 모두 생존하였다. 9) Spasm의 형태와 수술예후와의 관계에서는 spasm이 있었던 15예중 diffuse type이 9예로 가장 많았는데 이중에서 2예의 사망과 1예의 신경학적 장애를 보였고 다른 3가지 형태에서는 전예가 치유되었다. A clinical analysis of vasospasm as seen angiographically after the onset of subarachnoid hemorrhage was carried out in 22 out of 44 cases of 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experienced in our department from January, 1978 to May, 1979.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incidence of vasospasm was 50%. 2) Angiographic filling abnormalities (vasospasm)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into 4 types: tapering, diffuse, segmental and nodular types.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ocation of the arteries with vasospasm in relation to the site of the ruptured aneurysm.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 occurance of spasm was noted in cases of internal carotid aneurysm (69.2%). 4) Discrepancy in the incidence of angiographic spasm between the group with only one subarachnoid hemorrhage (41.9% out of 31 cases) and the other group with more than one hemorrhage (50% out of 44 cases) was demonstrated. While vasospasm occurred frequently within 9 days after the last hemorrhage in cases with more than two hemorrhage, the appearance of vasospasm was frequently seen angiographically between 10 to 17 days after hemorrhage in cases with only on hemorrhage. 5)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the incidence of spasm, and most cases with spasm showed bloody and xanthochromic C.S.F. 6) Neurological findings were as follows: mental disturbance 12 cases, cranial nerve palsy 3 cases, paresis 3 cases, seizure 2 cases and visual disturbance 2 cases. These neurologic deficits may not be related to the spasm. 7) Follow up carotid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9 cases of those treated by direct approach. Among 5 cases with vasospasm in preoperative angiogram, the spasm persited in 2 cases and was not no longer visualized in 3 cases. On the other hand, in 2 cases without preoperative spasm, postoperative spasm was detected. 8) Of 23 cases of ruptured aneurysms treated surgically (including 3 cases of carotid ligation), 2 out of 15 cases with spasm expired and all 8 cases without spasm were cured. 9) The diffuse type (using above classification) had the worst postoperative prognosis: i.e., among 9 cases with that type of spasm, 2 cases expired and on case resulted in a mild neurologic deficit. Other types of spasm had no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postoperative prognosis.

      • SCOPUSKCI등재

        신이식후 당뇨병의 발병원인에 있어서 인슐린 분비능과 저항성의 역할

        남재현,이현철,안철우,문장일,김순일,박기일,송영득,임승길,김경래,허갑범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 : 신이식후 발생하는 당뇨병의 유병률은 정상 인구에서의 당뇨병 유병률보다 훨씬 높다. 이에 대한 원인적 요소로 면역억제제, 유전적 영향, 스트레스 및 이뇨제의 사용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기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특히 인슐린저항성과 인슐린결핍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 요인인지에 대해서도 아직 밝혀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신이식후 당뇨병의 병리기전과 가능한 위험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114명의 환자(평균 연령 39세, 23∼55세 사이)를 대상으로 이식 전 1주일과 이식 후 9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인슐린(0.1U/㎏)을 정맥 투여한 후 혈당감소 속도를 통하여 인슐린저항성을 측정하였으며, 75g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하여 인슐린분비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식 후에 시행한 경구당부하검사의 결과를 통하여 WHO 기준에 따라 이식환자들을, 정상(normal glucose tolerance, NGT),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그리고 당뇨병(posr-renal transplantation diabetes mellitus, PTDM)군으로 나누었다. 방사능면역분석법으로 인슐린과 프로인슐린을 측정하였다. 결과 : 세 군 사이에 스테로이드와 cyclosporin A의 복용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공복 및 경구당부하 2시간 혈당, 프로인슐린/인슐린 비 등은 세 군 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인슐린저항성은 이식 후에 모든 군에서 개선되었으나, 이식 후 IGT 및 PTDM군에서는 저항성이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있었으며 이는 체중 증가군에서 더욱 의미가 있었다. 또한 인슐린분비능은 이식 전에 IGT및 PTDM군에서 감소되어 있었으며 이식 후에도 인슐린분비능은 더욱 감소되었으며 역시 IGT및 PTDM군에서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이식 후 프로인슐린/인슐린 비는 NGT군에 비해 PTDM구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허리-둔부 둘레비는 이식 후 IGT와 PTDM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 이는 체중증가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이식 전에 인슐린분비능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가 이식 후에 신 이식 후 당뇨병이 의미있게 높았으며 이는 이식 후에 인슐린저항성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면역억제제에 의한 인슐린 분비능이 더욱 나빠졌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식 전과 후 모두 PTDM군 당뇨병 환자는 체중 증가군과 비체중 증가 군에서 NGT군보다 인슐린 분비능력은 의미있게 저하되어 있었으나 체중 증가군에서는 인슐린저항성에 의해 당뇨병의 유병률이 높았다. 따라서 이식 전에 베타세포의 기능 이상을 나타내는 공복 및 식후 2시간 혈당과 프로인슐린 수치는 이식 후 당뇨병의 발병 여부에 대한 예측인자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인슐린 분비장애가 신 이식후 당뇨병의 발병에 주요한 인자로 사료된다. Background : Our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athogenesis and possible risk factors for post-renal transplantation diabetes mellitus (PTDM). Methods : We recruited 114 patient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and performed the 75g oral glucose to lerance tests (OGTT) and the short insulin to lerance tests 1 week before and 9 ~ 12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respectively. Results :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OGTT after transplantation by WHO criteria : 1) 36 (31.6%) subject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 2) 51 (45.7%) subject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 and 3) 27 (23.7%) subjects with post-renal transplantation diabetes mellitus. Dosages of steroid and cyclosporin-A (CsA) were equivalent among the 3 groups. Before transplantation, the fasting and 2-h plasma glucose, and proinsulin/ insulin (PI/I)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GT and PTDM groups than in the NGT group, but insulin sensitivity index (ISI) was not different among 3 groups. In addition, the area under the curve (AUC)-insulin on OGT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TDM group than in the NGT group. After transplantation, however, ISI was increased in all groups. Furthermore, the ISI and PI/I ratio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the PTDM group than in the NGT group after transplant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revealed that fasting and 2-h plasma glucose levels, as wellas proinsulin/insulin ratio before transplantation, which may all be indicators of cell dysfunction, could be the predictors for the development of PTDM and β-cell dysfunction rather than insulin resistance was proved to be the main factor for the pathogenesis of PTDM (J Kor Diabetes Asso 485~496, 2000).

      • KCI등재

        만성 틱 장애 뚜렛씨 장애의 임상 특성

        신성웅,임명호,현태영,성양숙,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뚜렛씨 장애는 근육틱과 음성틱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이다. 만성 틱장애는 근육틱 혹은 음성틱 중 하나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 4월 1일부터 1999년 4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만성 틱 장애 아동과 뚜렛씨 장애 아동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학습장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틱장애(n=13)와 뚜렛씨 장애 환자(n=29)의 평균 발병연령은 각각7.3±2.5, 7.2±2.2.세, 입원시 연령은 평균 11.7±2.7, 11.5±2.6세, 입원기간은 5.7±5.4, 11.0±8.7주였고두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학습장애의 경우 발병연령(4.2±1.9세)이 두 장애보다 빠르고 의료기관을 찾는 시기(9.8±3.2세)도 빨랐다. 출생 계절은 틱장애 환자들에서 6월에서 9월 사이가 가장 적었지만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남녀의 성비율은 각각 10 : 3, 26 : 3, 11 : 5였고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가 출생할 때의 아버지와 어머니 연령은 세 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각각 24.1%, 46.2%, 56.3%였다. 발병전 유발 요인이 확인된 경우는 만성틱장애와 뚜렛씨 장애에서 11.1%와 35.7%로서 의리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학습장애(56.3%)에 비해서는 적었다. 셋째,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환자의 지능지수는 각각 언어성 지능 92.3±10.7, 94.7±14.9, 94.3±13.8이었고, 동작성 지능은 93.0±20.5, 97.5±13.0, 95.0±16.9이었으며, 전체 지능은 91.9±20.1, 95.8±14.5, 93.9±15.1로서 세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기질적 뇌장애 소견은 CT/MRI등에서 0%, 27.3%, 6.3%, 뇌파 이상은 8.3%, 17.2%, 12.5%에서 나타났고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넷째, 항도파민 약물에 대한 반응은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환자에서 각각 84.6%, 77.0%가 부분관해를 보였고 완전 관해된 경우는 한 명도 없었으며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공동 유병현황을 조사한 결과 주의력결핍 · 과잉운동장애가 학습장애에서 의리 있게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 결과 입원한 환자의 경우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학습장애를 가진 환자와 많은 부분에서 파이를 보였으나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구분해야 하는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중심 단어 : 뚜렛씨 장애 · 틱장애 · 진단 분류 ㆍ 임상적 특성. Tourette's disorder is a disease which manifests one or more motor tics and vocal tics for more than a year. Chronic motor tic or vocal tic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only one kind of tics for more than a year. W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s or Tourette's disorders who had admitted from May 1, 1998 to May 1, 1999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ward. In addition,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sorders. The pat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control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set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s(n=13, 7.3±2.5 years) , and Tourette's disorder(n=39, 7.2±2.2 years), but with learning disability (4.2±1.9 years). Also,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showed similar age at admission (11.7±2.7 versus 11.5±2.6 years), duration of admission (5.7±5.4 versus 11.0±8.7 weeks), mothers' ages at child birth(27.3±2.9 versus 28.3 ±6.7 years old), and fathers' age at child birth (32.2±3.2 versus 33.3±5.2 years old). We observed that those who had learning disabilities were alike in those aspects, except for age at visit to clinic (9.8±3.2 years old).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es (24.1% versus 46.2%), recognized precipitating factors (11.1% versus 35.7%) and response to pharmacological treatments (77.8% versus 76.9%)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s and Tourette's disorders were observed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Comorbid patterns of diseases were noted. Intrafamilial conflicts were more common in the pat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an those with chronic tic disorders or Tourette's disorders. Precipitating factors were observed more frequent in chronic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than learning disability. Neurocognitive profiles were investigated, and verbal IQ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 Tourette's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were 92.3±10.7, 94.7±14.9, 94.3±13.8, performance IQs 93.0±20.5, 97.5±13.0, 95.0±16.9 and full-scale IQs 91.9±20.1, 95.8±14.5, 93.9±15.1, respectively, which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o difference was found in structural neurological abnormalities and EEG profiles. The pat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more common Bender-Gestalt test abnormalities. In conclusion, we have not found any affirmative clues for the division of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in clinical perspective. KEY WORDS : Tourette's disorder ㆍ Tic disorder ㆍ Classification ㆍ Clinical study.

      • SCOPUSSCIEKCI등재

        두개인두종을 의심케 하는 안배상부에 발생한 낭포성수막종 : 증례 보고 A Case Report

        박인수,임정철,김호경,강삼석,우정현 대한신경외과학회 198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9 No.2

        An unusual case of meningioma with a large cyst on the sellar region which was misinterpreted to craniopharyngioma was reported. A 6-year-old boy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on May 8, 1980 because of headache, blurred-vision and walking disturbance. On admission, neur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marked diminished visual acuity associated with optic atrophy in both eyes, gait disturbances, incoordination and precocious puberty. Plain skull film showed marked digital markings and seperation of the coronal suture. Right carotid angiography in AP view revealed widening of the U-loop and space occupying lesion on the suprasellar region in lateral view. Neither detection of the tumor feeding artery nor tumor stain was seen. Conray ventriculography revealed marked dilation of the both lateral ventricles and blockage of the foramen of Monro. CT scan disclosed a well defined low density area and small multilobulated cysts in the suprasellar region. The margin of the tumor and low density area were markedly enhanced by contrast media. At operation, the tumor was found to consist of a yellowish brown nodule firmly adherent to the diaphragma sellae and a large cyst. The tumor was partially removed together with the whole cyst wall. The resected nodule was relatively hard and had multiple small cysts in it's cut surfac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The neurological deficits except precocious puberty were much improved on discharge time.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he pathogenesis of cystic change in meningioma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