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와 분류

        이종성,곽영숙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2

        연구목적: 기존 가출청소년 보호시설에 거주하거나 입소하는 청소년에 대한 자아능력과 가출원인에 내재하는 정신병리 조사를 통하여 가출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해냄으로써, 청소년 가출에 대한 예방 대책 수립은 물론, 궁극적으로 가출청소년을 개개인의 다양한 문제에 따라 적합한 보호시설로 의뢰할 수 있도록 보호시설을 다양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청소년 보호시설에 수용 중인 만 12세에서 21세까지의 남녀 청소년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호시설 전문 상담원의 상담 기록 및 대상자 자신의 기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행동증상목록표(CBCL), 미네소타 다면적인성검사(MMPI), 벤더-게슈탈트검사(BGT), 한국웩슬러지능검사(K-WAIS),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등을 실시하여 가출청소년들의 자아능력 평가와 함께 가출의 원인에 기여하는 내재된 정신병리를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대상인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임상소견은 다음과 같다. 대상 청소년의 나이는 15세가 가장 많았고, 중기 청소년기에 있는 청소년들이었으며 학교는 중학교 때 중단하고 가정생활은 중간 정도이며, 부모 학력은 고졸인 청소년이 가장 많았다. 가출과 관련된 특징은 첫 가출이 중학교 때 가장 많았고, 가출횟수는 10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재가출자였다. 약물을 한 경우는 10%정도였고 술을 한 경우는 80%정도였다. 37%에서 법을 어긴 경험이 있고 돈을 받고 성행위를 한 경우가 약 10%에서 있었다. K-YSR 결과 95명(83%), SCL-90-R 결과 42명(36%), MMPI 결과 70명(69.3%)에서 임상수준을 보였다. 지능검사 결과 22명(22%)에서 정신지체 수준을 보였다. BGT에서 35명(39.4%)이 뇌기능장애 소견을 보였다. 결론: 시설의 가출청소년들은 가출이라는 행동 밑에 다양하고도 심각한 정신건강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그 문제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었다. 주의력결핍장애를 포함한 행동장애군, 불안/우울 등의 정서장애군,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신체화장애군, 심한 정신병리의 가능성이 있는 정신병위험군 등이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에 대한 정신의학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른 특성화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Object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adolescents in runaway shelters by evaluating their psychopathology. And the ultimate purpose is to offer basic data for preventing adolescents' runaway and for diversifying runaway shelters suitable for the problem of individual adolescent. Method : 128 adolescents who stay in the runaway shelters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eustionnaires including basic sociodemographic data, Child Behavior Check List(CBCL),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and Symptom Check List-90-Revised(SCL-90-R).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K-WAIS)[or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KEDI-WISC)] and Bender-Gestalt test(BGT) were also done by clinical psychologists. Results : The most common age of the subjects were 15-year-old, and they dropped out their schools in the middle school most commonly. Mostly they were from middle class family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level were high school graduates. The first runaway episode was most common in the middle school period, and their runaways were repeated.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runaways were more than 10 times. About 10% of them abused drugs and about 80% of them abused alcohol. One third of them had experiences of illegal problems and 10% of them engaged in sexual activity for money. 95 adolescents(83%) in CBCL, 42 adolescents(36%) in SCL-90-R, and 70 adolescents(69.3%) in MMPI showed clinical significance. In intelligence test, 22 adolescents(22%) were mentally retarded. In BGT, 35 adolescents(39.4%) manifested brain dysfunction signs. Conclusion : Runaway adolescents in the shelters have variable and severe psychopathology. Their psychopathology is classified as follows ; The behavior disorder group, the mood disorder group with anxiety/depression, the somatic disorder group with somatic symptoms, and the psychosis group with possibility of severe psychopatholog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psychiatric problems of runaway adolescents, and specific therapeutic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ir problems are required.

      • KCI등재SCOPUS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이용실태, 부모양육방식, 개인의 정신병리

        전성일,류정환,김영미,정홍경,조아라,이정호,최영민,이기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 오늘날 컴퓨터게임은 청소년기의 보편적 놀이도구가 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게임에 몰두하는 이유와 개인특성에 관한 정신과적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중학교 2년 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컴퓨터게임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연관된 개인정신병리와 부모의 양육방식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이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중학 2년생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신병리의 측정을 위하여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을 사용하였고, 부모자녀 결합형태 조사(PBI)를 통하여 부모양육태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1) 비록 과도한 시간을 들여 컴퓨터게임을 하더라도, 컴퓨터게임과 연관된 특정 정신병리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콤퓨터게임은 청소년기에 있을 수 있는 일상적인 놀이문화이다. 또 한대 부분의 청소년은 컴퓨터게임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인신하고 있었다. 2) 남학생은 게임빈도, 게임시간, 게임방에서 보내는 시간, 게임을 한 번 할 때 지속하는 시간 등에서 여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3) 청소년의 신체증상호소, 타인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편감, 우울증, 불안증의 정신병리는 컴퓨터 오락으로 인한 부작용과 의미 있는 관계를 보였다. 4) 게임빈도와 FBI상의 어머니 과보호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5) 게임을 하는 이유로는 공부, 학교 생활 등의 복잡한 것을 잊고 몰두하기 위해가 가장 많았고, 가장 심리적으로 부담이 되어 피하고 싶은 것으로는 학업문제였다. 6) 청소년은 게임방을 주로 친구들과 어울리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 기능을 다하기에는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결론 : 게임으로 인한 부모, 교사와의 다툼, 잦은 지각/결석,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많은 경우에는 청소년 자체의 정신별리를 의심해 보아야 하며, 게임의 빈도가 의미 있게 높은 청소년의 경우에는 둥반되는 정서상의 문제와 함께 부모양육태도도 함께 세심하게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s : This study was designed or studying of current Korean adolescents computer game playing habits and exploring associations with parental rearing patterns and individual psychopathology. Methods : One hundred twenty our adolescents(age 13-15) who reside in urban area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taining Questionnaires designed by authors, Symptom Checklist-90-Revision of Korean Version(SCL-90-R) and Parental Bonding Instrument(PBI). Results : 1)Computer game playing appears to be one of the social and leisure phenomena in these days. Although Adolescents spend a lot of times on computer game, Many of them perceive not problematic. 2)Compared with females, Male play computer games more regularly, more longer, spent more times in gamebang. 3)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subscale in SCL-90-R and detrimental effects of computer game. 4)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ame frequency and maternal overprotection. 5)The main reasons for playing are "for an avoidance of stressful life events" , academic burden was the most troublesome issues in korean adolescents. 6)Many adolescents use gamebang as a social place, but they thought that gamebang is not good places to have a good time. Conclusion : This papers shows that computer game playing is a popular social leisure activity in Korean adolescents. And, Most of korean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are suffered from pressure of academic achievements. They use computer game mainly by means of relieving academic pressures. In a heavy game users who have many conflicts with parents, teacher and who has frequent truancy and social withdrawal show significant anxiety. Maternal overprotection was observed in heavy game users. Authors recommended that clinicians should be careful in examining heavy computer game behaviors. Both underlying affective state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including family situations should be vicariously examined. KEY WORDS : Computer game · Gamebang · Game habits · Psychopathology · Parental rearing pattern.

      • KCI등재SCOPUS

        소아ㆍ청소년 정신분열병 환자의 또래 관계에 관한 고찰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신성웅,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논문은 사춘기를 전후하여 발병하는 정신분열병의 또래 관계에 관해 사례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한 논문이다. 정신분열병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발병 전 대인관계 양상과 적응정도가 중요하며, 교사가 평가한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가 정신분열병의 발병 및 경과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식들을 대상으로 한 고위험군 연구(high-risk study)와 장기간 추적 연구(long-term follow-up study)들을 통해 정신분열병 발병에 관여하는 전후기 아동기 성격적 행동적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정신분열병에 발병하고 난 후 나타나는 대인관계 양상과 병태생리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사회화(socialization)의 관점에서 통합하려는 시도를 소개하였다. 끝으로 사춘기에 발병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 양상을 사례별로 정리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중심 단어 : 정신분열병ㆍ또래 관계ㆍ사회화. We focused on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ich usually occurs around puberty. Reviewing cases with schizophrenia and the literature extensively, we had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 1) the most robust predictors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schizophrenia are premorbi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functions. 2) Especially teachers' reports about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 during school life are usefu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chizophrenia in adolescents. We described characteristic and behavioral childhood features which ar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based on high-risk studies and long term follow-up studies. Also, pathological profil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thology in adulthood were presented. We tried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interpersonal and social weaknesses of schizophrenics applying 'primary and secondary socialization' concept. Finally, five cases of adolescent schizophrenics were described briefly and proposal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risk factors was introduced. KEY WORDS : SchizophreniaㆍRisk factorㆍInterpersonal relationshipㆍSocialization.

      • RISS 인기논문 KCI등재SCOPUS

        소아기 우울증 : AN OVERVIEW AND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CHILDREN IN DEPRESSION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학적 측면

        강경미 대한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회 199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5 No.1

        요 약 소아기 우울증은 1980년 DSM-III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기까지 많은 임상보고에도 불구하고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었다. 이는 과거 정신분석학적 영향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 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소아의 발달학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이기도 하였다. 즉 소아 는 시간과 정도(time & degree)에 대한 감각이 다르고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출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정상적으로 정서가 얕고 불안하다. 뿐만 아니라 학령기전 까지는 현실판 단력이 부족하고 자기중신적 이어서 논리적 사고과정을 통해서는 심리적 고통으로 부터 벗 어날 수 없기 때문에 부인(denial)을 주된 방어 기전으로 사용하여 우울증상은 대체로 일시 적 이 기가 쉽다. 그러나 전차 나이가 들어 후기 아동기 되면 내적 경험에 대하여 숙고하는 능력이 생기고 정서조절면에서도 상호작용에 의한 의존상태에서 벗어나서 개인 내적인 조절 단계로 이행하므로 성인의 우울증과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이게 된다. 지금까지,소아기 우울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이것이 성인기 우울증과 상관관계가 있는 지의 여부, 그리고 이것이 성격형성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점으로 남아 있으나, 소아기 우울증이 상당히 오랜 기간후에도 지속되었다는 일부 보고를 고려한다 면 이에 대한 조기 인식은 예방이라는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소아기 우울증의 개관과 발달적 관점에서 소아기의 우울증상을 살펴 봄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KCI등재SCOPUS

        청소년 정신과 환자 중 외톨이 혹은 왕따 특성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예비 연구

        손정우,김은정,홍성도,이시형,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과 환자 중 외톨이 혹은 왕따 특성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예비연구이다. 청소년 정신과 환자 25명에게 외톨이 설문지, 왕따 설문지 등 8개 설문지를 시행하였고, 일반적인 친구 관계를 질문하였다. 외톨이 설문지 및 왕따 설문지의 점수를 근거로 15명의 외톨이-왕따 집단과 10명의 비외톨이 집단으로 나눈 뒤 일반적 친구 관계와 8개 설문지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5명의 외톨이-왕따 환자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때 SCL-90-R의 우울 차원 점수, 불안 차원 점수, 편집 차원 점수, SCL-90-R의 4가지 차원의 총합, 사회 불안 설문지 점수 등에서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명의 외톨이-왕따 환자의 사례 분석 결과, 병원을 찾은 청소년 정신과 환자는 언어 발달 및 인지 발달의 지연 등 발달에서의 문제가 동반되는 경우에 외톨이-왕따를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중심 단어 : 외톨이ㆍ왕따ㆍ청소년ㆍ발달. This study w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eer group neglect or rejection. We divided the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n=25) into neglect-reject group(n=15) and non-neglect group(n= 10). Each patient answered 8 scales and several questions about gener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both the score of each 8 scales and answer about qusetions were examined. Lastly, records of 5 cases from neglect-reject group were analyzed. The depression dimension score of SCL-90-R, anxiety dimension score of SCL-90-R, paranoid dimension score of SCL-90-R,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 groups. On the result of case analysis about 5 patients of neglect-reject group, the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had a tendency to be rejected or neglected in case of having developmental problems(for example, language development or cognitive impairment). KEY WORDS : Peer neglectㆍPeer rejectionㆍAdolescentㆍDevelopment.

      • KCI등재SCOPUS

        입원한 기분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 비교를 중심으로

        임명호,조수철,백기청,이경규,김현우,홍강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서의 우울증 및 조울증의 우울삽화에 대한 임상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3년 3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까지 ○○대학교 어린이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하였던 34명의 우울증 환아와 17명의 조울증 우울삽화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 기록을 통해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진단적 분류, 입원시 주 증상 및 문제점, 증상의 빈도, 주산기 모 병력과 아동기 발달력, 공존정신 질환 및 신경 심리학적 검사 가족의 임상적 특성, 가족 정신병리 및 가족 병력, 치료반응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우울증에서 남자의 비율이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조울증 우울삽화에서는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2) 평균 발병 연령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14.1세, 우울중에서 12.8세로 우울증에서 일찍 발병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입원 횟수에 있어서는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우울증에 비해서 많았다. 3)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에서 식물증상의 호소가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자살사고 증상은 우울증에서, 공격적인 증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았고,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망상은 우울증에서 환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이 나타났다. 4) 두 집단 모두에서 불안장애가 가장 많이 동반되었으며, 신체형 장애, 정신지체, 인격장애 등이 동반되었다. 5)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 높은 가족력을 보였고, 특히 우울증은 아동 학대력과 가족의 부적절한 양육과 관련성을 보였다. 성인에서 조울증과 우울증이 분명한 임상적 차이를 갖고있는 것처럼 소아에서도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은 발병연령, 신체증상 및 식물증상을 비롯한 임상증상의 차이, 공존질환 등에서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나타내었다. 중심 단어 : 주요 우울증ㆍ우울 삽화ㆍ임상 특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episode about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in child and adolesc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major depression patients and 17 bipolar disorder patients hospitalized at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 ○○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1st March 1993 to 31st October 1999.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agnostic classification, chief problems and symptoms at admission, frequency of symptoms, maternal pregnancy problem history, childhood developmental history, coexisting psychiatric disorders, family psychopathology and family history and therapeutic response through their chart. 1) The ratio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while they are similar in manic episode, bipolar disorder. 2) Average onset age of bipolar disorder was 14 years 1 month and it was 12 years 8 months in the case of major depression As a result, average onset age of major depression is lower than that of bipolar disorder. 3) The patients complained of vegetative symptoms than somatic symptoms in both bipolar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Also, the cases of major depression developed more suicide idea symptom while the case of bipolar disorder developed more aggressive symptoms. In the respect of psychotic symptoms, delusion was more frequently shown in major depression, but halucination was more often shown in bipolar disorder. 4) Anxiety disorder coexisted most frequently in two groups. And there coexisted symptoms such as somartoform disorder, mental retardation and personality disorder in both cases. 5) The influence of family loading was remarkable in both cases. Above all, the development of major depression had to do with child abuse history and inappropriate care of family. It is apparent that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in child and adolescent through the study, just as in adult cases. Therefore the difference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disorders is founded in coexisting disorders and clinical symptoms including onset age, somatic symptoms and vegetative symptoms. KEY WORDS : Major depressive disorderㆍDepressive episodeㆍClini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SCOPUS

        청소년 비행행동 측정도구 개발

        김헌수,김현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한국 청소년의 비행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청소년 비행행동을 조기에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방법 : 서울 및 지방의 소아ㆍ청소년 정신과 외래 방문청소년 4명, 소년원, 분류심사원의 재소청소년 4명과, 중ㆍ고교에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4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면담 내용과 관련문헌 고찰을 근거로 총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본 예비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도구의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와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검사 ~ 재검사 신뢰도, 내적 일관성 정도 및 각 문항과 요인과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31개 문항이 모두 청소년 비행행동 평가를 위한 최종 도구로 확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상황에서의 최종도구의 변별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 총2,177명을 대상으로 본 도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t 검정을 하였다. 결과 : 1) 최종확정된 도구는 총 31개 문항 3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인들의 총설명변량은 52.2%였다. 또한 31개 문항들은 모두 각 요인에 .40이상의 유의한 적재량을 보였다. 2) 3개 요인 중 요인 Ⅰ은 반사회적 비행행동으로 명명하였고 총 17개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인 Ⅱ은 공격적 비행행동으로 총 8개문항, 그리고 요인 Ⅲ은 정신병질적 비행행동으로 총 6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있다. 3) 본 도구의 총 31개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Coefficient Alpha값이 .952였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 요인 Ⅰ이 .950, 요인 Ⅱ가 .866, 그리고 요인 Ⅲ이 721이었다. 4) 본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인별 차이검정 결과 요인 Ⅰ, 요인 Ⅱ, 요인 Ⅲ 및 전체 문항 모두에서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1)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다른 대상자에게 반복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계속적인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필요하다. 2) 이상적인 도구평가기준은 신뢰도와 타당도 뿐만 아니라 단순성, 효율성, 객관성 등까지도 고려되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도구는 지속적인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통하여 보다 완전한 도구가 될 수 있으리라 추론된다. 3) 본 도구를 적용하여 한국청소년의 비행행동 유형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치료적 접근, 비행가능 청소년에 대한 사전 평가 척도까지고 연구 개발할 수 있다고 본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a measuring instrument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delinquent behavior of the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was methodological research for developing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personal interview using open-ended question with 12 adolescents in schools, outpatient basis and the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s, the author developed a pre-questionnaire with 31 items for assessing delinquent behavior among delinquent-prone adolescents.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ere test-retest reliabilit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esting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for testing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and t-test for mean difference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using SAS program. Subject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177 adolescents including 1,206 students and 971 delinquent adolescents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Results : 1)Three stable factors were emerged and these contributed 52.2%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ore. All 31 items loaded above .40 on each factor. 2)Factor I was named as antisocial delinquent behavior(17 items), factor Ⅱ was named as aggressive delinquent behavior (8 items), and factor Ⅲ was named as psychopathic delinquent behavior (6 items). 3)Comparison of these 3 factors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 I (t= -42.91(student),-41.71(delinquent), p= .0001), factor Ⅱ (t= -34.10(student), -35.72(delinquent), p= .0001), factor Ⅲ (t= -14. 24(student), -14.26(delinquent), p=.0000), and total score (t=37.02(student), -36.38(delinquent), p= .0001). 4)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tested by Cronbach's α. Cronbach's α was .952 for total 31 items and .950, .866 and .721 for each 3 factors related to delinquent behavior. Conclusions : The author confirmed that this scale can use for measuring delinquent behavior, and hope to make a contribution to screening test and prevention of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KEY WORDS : Development of scale · Delinquent behavior.

      • KCI등재SCOPUS

        소아청소년정신과 영역의 약물치료

        유한익(Hanik K. Yoo),백경원(Kyoung Won Paik)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8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9 No.2

        Although the scientific evidence is not entirely supportive,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been used widely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ental illnesses as alternatives to typical antipsychotics which have more serious unwanted adverse effects than atypical neuroleptics. On the basis of clinical experiences and research data,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been prescribed for adolescents with schizophrenia, manic or mixed episodes of bipolar disorders, tic disorders, aberrant behaviors in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impulsive or violent behaviors in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Due to their efficacy and relatively more tolerable side effects, the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Howe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short-term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lack of well-designed controlled studies, especially in terms of adverse effects including those involving metabolic processes.

      • KCI등재SCOPUS

        청소년에서 자녀가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문제 행동의 연관성 : 서울시내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문유선,김도훈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2

        역기능적인 부모―자녀 관계는 청소년의 다양한 정신 및 행동 장애와 연관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인에서의 여러 정신 병리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역기능적인 부모―자녀 관계와 그 관계가 정신적 및 신체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임상 집단에서 이루어 졌으나 지역사회 중심의 일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문제 행동과의 연관성을 문제 행동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남자 고등학생 중 정신건강 문제가 없었고 양친과 함께 살고 있는 14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행태 척도와 문제 행동척도 점수를 나타내는 한국판 Youth Self Report를 이용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문제 행동 척도 점수로 나누어 본 문제 행동군과 정상 행동군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 정도가 문제 행동군에서 높았으며, 어머니의 과보호는 남자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알아봄으로 청소년기에 문제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 행동군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로 다양한 청소년기 문제행동이 예방될 수 있음이 시사된다. Objectives : Dysfunc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have been associated with various mental and conduct disorders in adolescence and mental problems in adulthood as well. Most studies have done in clinical settings and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in community settings. This study is done to compare the perceived parenting and problem behaviors between problem behavior group and those of non-problem behavior group in male adolesc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7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do not have any known mental or conduct disorders and live with their real parents. Parental Bonding Instrument and Youth Self Report were administered to evaluate the perceived parenting and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mother overprotection in problem behavior group when comparing to non-problem behavior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other overprotection and problem behavior when adjusting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mother's job, parents' education level, grades, and religion. Conclusion : The parenting such as mother overprotection can be helpful to predict the problem behaviors in male adolescents, and appropriate parenting may prevent various problem behaviors in male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