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학기술부의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에 대한 공ㆍ사립유치원 교원의 인식 연구

        황해익,김병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verify recognition of the teaching staff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on the policy to plan for the advanc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200 staffs working in the kindergartens which are located in Busan, Ulsan, Kyoung-Nam province. The 194 copies of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se, 191 cop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measuring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made by author's preliminary study and it is a questionnaire about recognition of the teaching staff, which has been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policy and assessment to develop early childhood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the PASW 18.0 program.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teaching staff's recognition on plan for the advanc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of policy showed in the order of facility expansion, subsidy of tuition fee, discovery and support of capable teachers, improved treatment for private kindergarten's staffs. Based on these factors this study was discussed in terms of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teaching staff's recognition on plan for the advanc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원의 인식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공·사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원 200명으로 선정하였고, 배부된 설문지는 총 194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191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과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 평가에 대한 유치원 교원 인식 설문지로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제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의 정책분야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원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에 대한 공·사립유치원 교원의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의 필요성에 대한 공·사립 교원의 인식은 ‘공립유치원 확충 및 적정규모 육성’, ‘유아학비 지원 단계적 확대’, ‘우수 교사 발굴·지원 및 사립유치원 교원 처우개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공·사립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의 매개효과

        황해익,강현미,탁정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fter a mediation model of positive thoughts was set up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COVA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model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ositive though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umor and happi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mediation structure of the positive though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humor and happines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understand their humor style.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머와 긍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삶에 대한 행복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유머는 Martin과 동료들(2003)의 HSQ를 번안한 이재선과 조아미(2006)의 척도를, 긍정성은 Ingram과 Wisnicki(1988)의 ATQ-P를 타당화한 이주영과 김지혜(2002)의 척도를, 행복감은 Argyle(2001/2005)의 행복감 척도를 번안한 권석만(2008)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유머, 긍정성, 행복감의 각 변인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긍정성, 유머의 순으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긍정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유머와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사고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이 회복탄력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황해익,채혜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격강점, 회복탄력성, 소진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이 회복탄력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와 G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회복탄력성,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회수한 자료의 분석은 상관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회복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소진, 회복탄력성과 소진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이 회복탄력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의 성격강점 중 낙관성이 회복탄력성에 가장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활력이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의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소진을 줄이기 위한 유아교사 성격강점을 활용한 교사 교육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 이미지 연구

        황해익,탁정화,김미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ildren's recognition of the elements that are a necessary part of establishing a desirable image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80 children 4~5 years old who attended Eco-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10 teachers involved in image drawing. This research is based on analysis of the pictures painted by children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image of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someone with a natural and unaffected face and who wears comfortable clothing. Second, the emotional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of someone who is happy at the moment, anxious about their children, and emotionally honest. Third, the images that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n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a lovely mom, a friend who plays lightheartedly with children, and a farmer who cares for lives. The imag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 is the of someone who has a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it suggests a standard qualification and role of Eco-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s desirable guidance for Eco-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 형성 및 생태유아교사 역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미지 그림그리기 대상은 부산지역의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을 실천하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80명이며 교사면담 대상은 이미지 그림그리기에 참여한 유아들의 교사 10명이다. 유아들이 그린 그림, 유아들의 개별면담, 교사들의 개별면담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외모 이미지는 꾸밈없는 편안한 옷차림, 화장기 없는 얼굴, 우리전통 지킴이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정서 이미지는 행복한 교사, 염려하고 걱정하는 교사, 감정이 솔직한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가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역할 이미지는 포근한 우리 엄마, 신명나는 놀이 친구, 생명을 돌보는 농부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인식한 생태유아교사의 이미지는 유아들과의 관계를 통해 드러난 이미지로 생태유아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 되돌아보는 기준을 제공함과 동시에 교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영아보육프로그램】자료 개발 연구

        황해익,임재택,김정신,송연숙,이경화,김남희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1998 영유아보육연구 Vol.4 No.-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aterials for (The Infant Educare Program) (Dept. of Health & Welfare, 1996). Infant educare Materials were developed through following procedures: 1) analysis of reference and other educare materials 2) content analysis of (The Infant Educare Program) 3) developing materials and 4)testing and revising materials by professionals. Infant educare Materials that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constituted of 12 kinds in 5 areas - Materials for management of daycare center, the nursery stories for infants, musical materials for infants, play things for infa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parents. First, materials for management of daycare center were considered various conditions whithin daycare centers and were compased of 2 kinds - diary for educare plan and diskettes for documents. Second, the nursery stories for infants were compased of materials for 3 stages-the weaning stage, the toddling stage, and the independent stage. Similarly, musical materials for infants were composed of 3 stages. And play things for infants were composed of 2 kinds - play things to be easily founded and easily making play things. Finally, educational materials for parents were composed of 2 kinds - guide book for parents education and diskettes f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It is needed that persistent attention from professionals in developing and testing materials for infant educare. Also,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황해익,김은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성취를 높이고 적응성을 높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지역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행복감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행복감,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행복감,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총점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노력과 더불어 유아교사들이 적정 수준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를 가지도록 하는 물리적·정서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주의 및 학과만족도에 대한 연구

        황해익,최혜진,김병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selected variab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optimism, to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department in an effor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the happiness and optim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elp them lead a more positive life. The two selected variables were usually considered to be positiv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rks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ave to their own happines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department were above average in general, but many of these teachers also gave pessimistic responses in terms of optimism .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and optimism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between their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When a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confirm which variable would affect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happiness and a low grade variable of optimism (PmB, PvG, PsB) was found to exe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by 12%. Therefore the happiness and optim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boosted to rai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본 연구는 성공적인 학과적응에 중요한 요소인 학과만족도와 정서적 요인인 행복감 및 좋은 일과 나쁜 일에 대해 개인이 귀인하는 방식인 낙관주의 경향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의 학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학과만족도는 대체로 보통 이상의 점수가 나타났지만, 낙관주의는 비관적인 성향의 응답이 많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낙관주의, 행복감과 학과만족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행복감과 낙관주의 하위변인(PmB, PvG, PsB)이 진입되어 12%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낙관주의 경향을 길러줌으로써 학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행복감과 낙관주의 경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