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나타난 긍정정서 탐구

        탁정화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building positive emotion in pre-serviced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For this study, 10 student-teachers participated to write their own reflective journals, and engage in active discussion three times during their practicum peri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orting, categorizing, and prioritizing depending on the core themes and contents. The representative words of sub-categorized contents were selected from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uilding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d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es 'intimacy with children', 'meaning the teaching as a teach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teacher’,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emotional connection with children'. Second,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effect involves ‘savoring positive experience’, ‘rethinking the teaching’, ‘changing the educational designer’ role’, and ‘broadening and building positive emo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대한 균형잡힌 접근을 도모하기 위하여 긍 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긍정정서를 탐구하는 것이다.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적극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적극면담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 습기간 동안 경험한 긍정정서의 유발요인과 작용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예비유아교사는 유 아의 존재론적 특성으로 인해 긍정정서를 경험하였으며, 유아-실습교사-예비유아교사가 상호 교류하는 관계적 특성 및 가르침에 대한 만족, 교사로서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 공간 전이를 통한 해방된 경험 속에서 긍정정서가 유발되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 육실습에서 긍정정서의 작용을 탐구한 결과에 따르면, 긍정정서는 교육실습경험에 대하여 의 미있는 향유경험을 제공하고, 교사됨에 대한 가치부여,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는 교육디자 이너로서의 변신, 축적된 긍정경험으로 부정경험 완충하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대한 긍정적 역할을 회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 으며, 부정정서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접근에서 벗어나 실습경험에 함축된 긍정정서에 주목 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매개효과

        탁정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mindset, fixed mindse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verified through parallel multiple matchmaking effect whether various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mediated the impact of growth mind set and fixed mind se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Participants were 23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y completed online self-report survey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parallel multi-media model verification method (Model 4) of the PROCESS macro in Hayes (2013). The growth mind se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and the fixed mind set was low.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hown in the order of hope, optimism, resilience and self-efficac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found to be average. The growth mind 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tatic at a significant level with positive psychology capital,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fixed mindset was malleable at a significant level with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ccording to a study of the parallel multiplayer effects of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 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 se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found to be complex at a significant level of self-efficacy, optimism and hope.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has been shown to be complex at a level where self-efficacy, optimism and hope are significan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마인드셋, 주관적 경력성공, 긍정심리자본를 살펴보고,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심리자본의 다양한 변인이 매개하는지를 병렬다중매개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유아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Model 4번)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은 높은 수준이었으며 고정마인드셋은 낮은 수준이었다.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희망, 낙관성, 회복력, 자기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경력성공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은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경력성공과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고정마인드셋은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경력성공과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낙관성, 희망, 회복력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성장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는 자기효능감, 낙관성, 희망이 유의한 수준에서 다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는 자기효능감, 낙관성, 희망이 유의한 수준에서 다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강점척도 개발 및 타당화

        탁정화,황해익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children’s strengths according to their teachers’evaluations. The scale was developed after generating constructs of 5-year-old children’s strengths that are appropriate for Korean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as well as observable in early child education settings. Afte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data and content validity by experts, 630 children were recruited for the main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ation of the final draft explained 68.94% of all of the variables. The nineteen elements are: self-esteem, self-regulation, vitality and positivity, flexibility, aesthetic sensibility, relationship, creativity, learning motivation, physical exercise, art, music, logic and math, exploration of nature, language, body and health, play, courtesy, cleaning, organizing and frugality, and safe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arly Childhood Strength Scales with regard to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본 연구는 교사평정방법으로 유아강점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강점에 대한 선행연구고찰, 경험표집법, 포커스그룹 인터뷰, 유아그림분석을 바탕으로 유아강점 구성요인을 설정한 뒤, 델파이조사를 통해 최종도출된 유아강점척도의 예비시안을 수정․보완한 뒤, 630명 유아를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강점척도는 106문항의 19가지 하위영역이 도출되었고 전체 변량의 약 68.94%를 설명하였다. 19가지로 도출된 유아강점 하위영역은 자존감, 자기조절, 활력 및 긍정성, 탄력성, 심미감, 관계성, 창의성, 학습동기, 운동, 미술, 음악, 논리수학, 자연탐구, 언어, 신체건강, 놀이, 예절, 정리정돈 및 절약, 안전이다. 또한, 유아강점척도의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 문항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성타당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탁정화,이미란,이혜원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그릿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지각하는 그릿경험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기적 목표에 대한 성취와 관련되는 그릿이라는 개념은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이루고자 꾸준히 노력하는 정도,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분야에 얼마나 오래도록 관심을 갖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 3-4학년 5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한 뒤,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아이디어를 분류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은 7가지 범주와 30개의 진술문으로 도출되었다. 7가지 범주로는 리더로서 목표추구과정, 지속적 문제해결과정인 학술제준비, 긍정적 관계유지과정, 전공공부충실성, 조별활동의 협력적 수용과정, 실습과 모의수업경험, 개인생활경험의 조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할 수 있었으며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경험척도를 평정할 수 있는 척도개발 및 프로그램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행복플로리시의 차이 연구

        탁정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차이를 살펴본 뒤, 자아존중감 집단 수준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유아교사 4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학력, 교사경력, 담당연령,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인식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행복플로리시에 차이를 가져온 유아교사의 배경으로는 연령, 학력, 교사경력이었으며 담당연령과 근무기관의 유형에 따른 행복플로리시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행복플로리시의 차이를 살펴보면 행복플로리시 전체와 하위영역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수준은 의미, 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몰입에는 미비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몰입이론에서 본 유아놀이-배움에 대한 소고

        탁정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ssence of pla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henomenon of flow appeared in children’s play in accordance with the points suggested by Csikszentmihalyi.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how flow experience plays a role in children’s life by connecting the value of pla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low. With this, flow experiences were examined in three contexts: physical activity, intellectual activity, and game.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values of play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positive emotion, free-choice, and meta-learning ability.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process of play, which has long been regarded as a stereotypical asp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rediscovering the value of flow within the play-learning relationship. 본 연구는 놀이가 유아교육의 고유성이자 본질임을 재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가정에 터하여 Csikszentmihalyi가 주장한 몰입관점으로, 유아놀이와 교사의 놀이지원에 나타나는 몰입현상의 의미와 가치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놀이가 가진 가치를 몰입의 특성과 연결지음으로써 놀이 속 몰입경험이 유아의 생활에 미치는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유아놀이-배움을 신체활동, 지적활동, 게임의 3가지 맥락에서 몰입특성과 연결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놀이몰입의 교육적 가치를 긍정정서, 자유선택, 메타학습능력으로 범주화하여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놀이-배움의 관계에서 내면적으로 작동하는 몰입의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오랫동안 유아교육의 정체성으로 간주되었던 놀이의 역동적 과정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