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iscuit을 활용한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

        황서진,채지선,김지현,박성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3

        In this research, we introduce advantages of Viscuit which is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eveloped in Japan and propose a possibility of using Viscuit to introduce coding. Specifically, we conducted experiments against students using both the manual and the focused study guide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became familiar with coding easily without the knowledge of Japanese. Even though Viscuit is less well-known than languages such as Scratch and LightBot, it is very easy to practice coding using Viscuit because all that users need to do is manipulating pictures simply and it is expected that Viscuit will serve as a useful vehicle by which students can learn how to code.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제작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Viscuit의 장점들을 소개하고, 코딩 입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일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용 안내서와 심화학습서만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쉽게 코딩에 대해 친숙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iscuit은 잘 알려진 Scratch나 LightBot과 같은 언어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지만 아주 간단하게 그림들을 조작하여 쉽게 코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서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코딩 입문 수단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Viscuit을 활용한 코딩 교육에 관한 연구

        황서진(Seojin Hwang),채지선(Jiseon Chae),김지현(Jihyun Kim),박성빈(Seongbin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제작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Viscuit의 장점들을 소개하고, 코딩 입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일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본 연구에서 제작된 사용 안내서와 심화학습서만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쉽게 코딩에 대해 친숙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iscuit은 잘 알려진 Scratch나 LightBot과 같은 언어에 비해 인지도는 낮은 편이지만 아주 간단하게 그림들을 조작하여 쉽게 코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어서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코딩 입문 수단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this research, we introduce advantages of Viscuit which is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eveloped in Japan and propose a possibility of using Viscuit to introduce coding. Specifically, we conducted experiments against students using both the manual and the focused study guide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became familiar with coding easily without the knowledge of Japanese. Even though Viscuit is less well-known than languages such as Scratch and LightBot, it is very easy to practice coding using Viscuit because all that users need to do is manipulating pictures simply and it is expected that Viscuit will serve as a useful vehicle by which students can learn how to code.

      • OpenCV를 활용한 마스크 착용 확인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황서진 ( Seo-jin Hwang ),문혜정 ( Hye-jung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전 세계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바이러스를 확산을 막기 위해서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쓰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사람이 일반 시설에 방문할 때 이를 감지하고 경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마스크 미 착용자로 인한 위험성 방지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Haar 특징기반 다단계 분류자를 이용하여 마스크 인식 프로세스를 설계하였으며, 마스크 착용 확인 시스템은 경 량 컴퓨터인 라즈베리파이 장치 위 에 구현하였다. 또한 확인된 사람의 이미지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해당 마스크 착용 확인 시스템을 중소 매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

      • KCI등재후보

        A시 초·중등 학교폭력담당교사의 업무스트레스와 교권침해경험에 관한 연구 - 사안처리과정, 교사역할, 일상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서진,연우 교육종합연구원 2020 교육종합연구 Vol.1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work stress (School Violence Processing process, teacher role, daily life) and experiences of infringement of teacher author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violence teachers in A city, and to find countermeasures for this. First of all, we produced a stress measure for school violence work based on prior research and derived the investigation process (4 factors, 15 questions), teacher role (3 questions), and daily life (3 questions) through verifica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of 12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stress levels in the order of teacher role (4.0), daily life (3.7) and case investigation process (2.9) and secondary teachers were higher. 72.8% (91 peopl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experienced violations of teachers' rights, and middle school teachers experienced more serious violations of teachers' righ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nel system needs to be reorganized to create conditions where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violence can focus on the role of teachers and policy support to resolve difficulties in the issue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formalize personnel placement and work guidelines for daily life. Third, legal counter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the school violence process. Fourth, restorative lif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revive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school.

      • KCI등재후보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 처리가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진,인선,김세웅,박효숙,김동훈,양병철,공일근,양보석,임기순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6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0 No.1

        핵이식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복제를 이루기 위해서 인위적인 활성화 처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전기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난자를 chemical agent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활성화 처리를 하였을 때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체외에서 40~44시간 동안 배양된 난자를 전기자극(E)으로 활성화 처리한 후 Thimerasol + Dithiothreitol(Thi+DTT), 6-Dimethylaminopurine(6-DMAP) 및 Cycloheximide(CH)를 사용하여 추가 활성화 처리를 하였다. 활성화 방법(E, E+Thi+DTT, E+6-DMAP 및 E+CH)에 따른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을 조사한 결과, chemical agent에 의해 추가 활성화된 단위발생란이 전기자극만으로 처리된 구의 단위발생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21.5~28.1% vs. 18.0%, P<0.05). 특히, E+Thi+DTT를 이용하였을 때 발달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28.1%, P<0.05). 활성화 처리별 전핵 형성율을 조사한 결과, chemical agent에 의해 추가 활성화 처리된 구에서 하나의 극체(1PN) 형성률은 처리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59.9~64.7%), 2PN 형성율은 추가 활성화 처리구에서 전기자극만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7.2~9.7% vs. 4.3%, P<0.05).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전기자극 후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는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까지의 발달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Artificial activation of oocytes is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ful cloning by nuclear transf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different combination of activation agents such as electric pulse (E), thimerosal (Thi) + dithiothreitol (DTT), 6-dimethylaminopurine (6-DMAP) or cycloheximide (CH) on the developmental ability of porcine embryos derived from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PA embryos activated with chemica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compared to the embryos activated with E alone (21.5~28.1% vs. 18.0%, respectively). Of chemicals, Thi + DTT supported higher development to the blastoryst stage (28.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1 pronucleus (PN) formation rate (59.9~64.7%), but 2PN form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 embryos with additional activation using chemicals (7.2~9.7%).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hemical activation after electric pulse can increase the development of porcine PA embryos.

      • KCI등재후보

        활성화 및 배양조건이 돼지 단위발생란의 발달 및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인선,서진,정희태,임기순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6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0 No.1

        본 연구는 활성화처리 방법 및 배양 조건이 돼지 단위발생란의 체외발달 및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도축장 유래 난소로부터 채취된 미성숙 난자를 42~44시간 동안 성숙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Apoptosis는 TUNEL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숙배양된 난자들을 electric pulse(1.2 kV/cm for 30μsec 2회, E), E + 6-dimethylaminopurine(6-DMAP) 또는 E + cycloheximide(CH) 방법으로 활성화 처리하여 PZM-3를 이용하여 5% CO2, 38.5℃에서 배양하였다. 실험 2에서는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활성화처리된 난자들을 각각 PZM-3 또는 NCSU-23 배양액 내에서 배양하였다. 각 배양액 내의 난자들은 각각 20% O2 조건으로 나뉘어 배양하였다. E + 6-DMAP(36.5%) 또는 E + CH 구(32.5%)에서 E 구(27.7%)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배반포 형성율을 보였다(P<0.05). 처리별 apoptosis 발생율은 각각 5.3%(E), 7.7%(6-DMAP) 및 7.1%(CH)였다. 실험 2에서는 PZM-3 구의 배반포 형성율이 NCSU-23 구에 비하여 산소분압조건과 관계없이 다소 높았다(28.2{sim}29.7% vs. 22.6~24.4%). PZM-3 및 20% O2 조건하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apoptosis 발생 비율을 나타냈다(9.2%, P<0.05). 그러므로 돼지 단위발생란을 chemical agent를 이용한 추가 활성화처리 후 PZM-3, 20% O2, 조건으로 배양하면 더 나은 배반포 발생율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poptosis and in vitro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preimplantation porcine embryos. In vitro matured oocytes for 42~44h were used. Apoptotic cell death was analyzed by using a terminal deoxynucleatidyl transferase mediated deoxyuridine 5-triphosphate nick-end tabling (TUNEL) assay. In experiment 1, oocytes were activated with two electric pulses (CH) of 1.2 kV/cm for 30μsec (E), E + 6-dimethylaminopurine (6-DMAP) or E + cycloheximide (CH) and cultured in PZM-3 under 5% CO2 in air at 38.5℃. In experiment 2, oocytes were activated by E and cultured in PZM-3 or NCSU-23 under a gas atmosphere of 20% O2 (5% CO2, in air) or 5% O2 (5% CO2, 5% O2 90% N2) at 38.5℃. Oocytes activated with E+6-DMAP or E+CH showed higher blastocyst rates (36.3% and 32.5%) compared to E alone (27.7%). The frequency of apoptosis according to treatments were 5.3%, 7.7% and 7.1% respectively. Oocytes activated with E alone showed lower (P<0.05) frequency of apoptosis compared to other groups. In experiment 2, parthenotes cultured in PZM-3 showed slightly higher blastocyte rates (28.2% and 29.7%) compared to NCSU-23 (22.6% and 24.4%) regardless of atmosphere. Blastocysts generated in PZM-3 showed lower (P<0.05) apoptosis rate under 20% O2 (9.2% vs 16.9%), whereas those in NCSU-23 had slightly lower apoptosis rate under 5% O2 (14.0% vs 18.4%). This result represents that activation method and culture condition could affect the frequency of apoptosis as well as in vitro developmental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