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왕석순(Wang Seok-Soon)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이 21세기의 보다 전망있는 교과로 거듭나기 위하여, 지향해야 할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함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교육내용의 변화를 고찰, 분석하였다. 둘째, 외국의 교육과정 문서를 수집, 분석하여, 동시대의 가정과교육 방향 정립을 위한 지표의 하나로 활용하였다. 세째, 가정과교육이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의 교육에서 중요한 교과로 다루어져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교육의 본질적 측면의 요구, 사회 및 가정생활 변화에 따른 요구, 인간발달적 측면의 요구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이상의 고찰과 논의의 결과, 첫째, 가정과 교육은 기존의 의․식․주 등의 가정적 자원인 대상에 대한 교육에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주체에 대한 교육, 즉 인간육성의 교육으로 그 무게 중심이 옮겨져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과교육은 보통교육에서 교양교육과 직업교육으로 이원화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러한 이원화를 전제로 할 때 보통교육에서는 인간육성이라는 측면이 강화되어 개인 및 가족이 생활을 통하여 부딪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는 “살아가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생태학적인 패러다임의 적극적 도입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의 복지향상을 위한 가족복지 및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을 강화하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의 3가지 방향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tudy the new cours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take in order to be reborn as a more competitive subject matter in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the nature/objectiv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anges in teaching content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Home economics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data. Second, overseas national curriculum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identify and set up the route that the contemporary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follow. Third, the reasons (nee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why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treated as an important realm in the 21st century characterized by a knowledge-based society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intrinsic nature of education, changes in social and home life, and human development. Such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shift its focus from home resources such as food, clothing, and housing to humans themselves in order to reinforce human-centered education. Second,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dichotomized into general an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common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is premise, human-centered education can be strengthened in the general education where learners must be able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resolve daily life issues and ultimately sustain human life. Third, by actively introducing the ecological paradigm, the curricula should stress the needs for a link to family welfare and communities to enhance individual and family welfar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관 연구

        서재복(Seo Jae-Bok) 교육종합연구원 2003 교육종합연구 Vol.1 No.-

        현대사회는 지식기반 사회로 접어들면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교육관을 조사․분석하여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 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초등교사들의 진로교육관을 높이기 위한 연수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며, 연구학교, 시범학교 운영 등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학습자료를 개발 보급하여 진로교육의 활성화 내지는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 및 대책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공급자 중심의 진로교육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진로의식의 함양과 진로지도 방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그리고 교사양성기관에서의 진로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moving toward a knowledge based society and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is being more emphasized than ever. Therefore teacher s awareness of career education becomes significant for the student s care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more efficient care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y surveying the current tren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s awareness of career education, their attitude toward it, and their view of career guidance. First of all, training opportunit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be expanded to raise their view of career education, because each teacher takes in charge of the whole curriculum by himself. To activate or improve care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by running schools for research and model schools.

      • KCI등재

        한국 근대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서재복(Seo Jae-Bok) 교육종합연구원 2003 교육종합연구 Vol.1 No.-

        한국 근대 초등교육사의 역사적 논의는 한국 근대 교육사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식될 수있다. 우리 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오류는 대부분 교육적 사관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변화는 내적인 의지와 외적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서 한국 초등교육의 발전 방안을 위한 모색으로서 우리 사상사 속에 내재되어 있는 초등교육이념을 밝히고자 했다. 한국 근대 초등교육은 서구 교육이념과 우리 민족의 내적인 열망과 정부의 자주적인 의지를 바탕으로 근대적 초등교육으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초등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념과 교육의 목적을 통해 국가 발전뿐만 아니라 지 덕 체를 갖춘 전인교육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의 교육은 많은 문제점은 그릇된 교육적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교육적 신념의 정립을 통해 새로운 교육입국의 기틀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elementary education in modern Korea. This study to explain thoughts of element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Sil-hak thoughts((實學思想), Dong-hak thoughts(東學思想), and Kae-hwa thoughts(開化思想).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Practicalism is known to importance element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education opportunity s equality, equalitarianism. Second, Dong-hak s humanism and equalitarianism was contain ideology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human respect and child respect. Third, Kae-hwa thought has ready systemic found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known that elementary education of Korea companied with our thought. Therefore, the solution of elementary education s problem get achieved upright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 of education s establishment.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기관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발전과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이미선,조아영,정인아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전북지역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평생교육기관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관계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발전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구성원의 합의를 통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 개념을 정의하고 필요성을 재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운영 현황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민주시민교육을 홍보하고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전 세대에 걸쳐 평생동안 이루어지는 교육이어야 한다. 넷째, 민주시민교육의 주제와 내용이 적합한지 타당성 검사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민주시민교육이 체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화된 조직체계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적 구조 전환 -‘고등평생교육체계’의 관점에서-

        양병찬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3

        오늘날 대학은 급격한 변화의 파고 앞에 서있다. 그 개혁 방향으로서 대학 평생교육의 전략적 위치는 어떻게 모색되고 있는가. 그간 급속한 고등교육 양적 팽창에 따른 후유증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국민의 전 생애에 걸친 ‘개방형 고등교육 체제’를 통한 성인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경로의 구축 및 제도적 연계화가 시급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단순히 대학 입장에서 ‘새로운 고객’을 찾아 입학 정원을 채우는 문제라기보다는 국가 차원의 고등평생교육 체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고등평생교육체제라는 개념 속에서 한국 대학 평생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그 체제의 구조 전환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 한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고등평생교육체제로의 대학 구조의 변화이다. 둘째, 고등평생교육체제라는 변화 구조에서 중요한 것은 성인친화형 평생교육대학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미래의 고등교육은 학령기 연령뿐만 아니라 전생애적 주기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대외적으로는 지역사회와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고등교육의 구조적 개편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 실태와 개선방안

        이길재,서범종,박선주,이수경,나민주 교육종합연구원 2017 교육종합연구 Vol.15 No.4

        지방교육행정기관에 대한 조직 분석․진단은 2013년 총액인건비제 도입과 함께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자율적 조직 관리에 대한 책무성 강화를 목적으로 제도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는 최근 3년 간(2015년-2017년) 시행된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의 연도별 특징, 강조점, 조직 분석․진단 방법, 결과 분석을 통해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2013년 조직 분석․진단 체계와 지표가 개발된 이후 3년 동안 비교적 유사한 방식으로 조직 분석․진단이 진행되었으나 지표는 지속적으로 수정․보완되었다. 특히, 기관 운영에 관한 시도교육청의 자체 노력을 강조하는 2017년의 경우 조직 분석․진단의 방법과 결과가 기존과는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 관련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1) 조직 분석․진단의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2) 조직 분석을 실시한 후 의무적으로 조직진단을 실시할 것이 아니라 원하는 시도교육청이 있을 시 자율적으로 조직진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3) 조직 분석 및 조직진단과 유사한 제도를 통폐합시켜 시도교육청의 업무를 경감시켜 줄 필요가 있다. 4) 시도교육청의 자율적인 조직운영 효율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지방교육행정기관 통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주류문화의 비판적 논점과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중심으로 -

        노상우(Ro Sang Woo),황혜연(Whang Hey Yeon),이진복(Lee,Jin Bok)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다문화사회가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류 문화중심의 동화주의적 시각, 포스트 식민주의 성격의 문제, 신자유주의적 세계시민주의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국내외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주류문화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되고 있는 소수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주창하는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통해 타자존중의 교육원리를 제시하고 그것의 다문화 교육의 철학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대화적 교육방식과 책임의 교육원리, 그리고 타자 지향적 다문화교사상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그동안 축적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 a situation where a multicultural society is becoming more common, a philosophical approa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raising critical issues about the assimilationist perspective centered on mainstream culture i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problem of postcolonialism, and the limitations of neoliberal global citizenship. The second was to present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respect for others through Levinas’philosophy of others, advocating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minority cultures excluded and alienated from mainstream culture, and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nally as a concrete practical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respect for other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al education metho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teachers’ model oriented toward others were presented.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newly revie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탐색 - 중학교 문서분석과 교사인식을 중심으로 -

        김대현(Dae Hyun Kim),권다남(Da Nam Kwon)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마을학습 교육과정이 현행 학교계획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교사의 인식을 통해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중학교의 학교교육계획서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계획서에 반영된 마을학습 교육과정은 주로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마을학습 교육과정이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동체 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학교와 마을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구나 동보다는 시 단위 그리고 마을의 시설을 활용한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높은 인식을 보였고, 교육의 제반 영역에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의 업무 부담 가중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과다를 마을학습 교육과정 운영의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중심 마을학습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교과와 연결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고 교사에게 업무 부담을 줄여 주며 개발한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홍보하고, 학교 중심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사역량 강화 연수 및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current school plan, and to explore the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rough teachers' perception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school education plans of middle school and explor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reflected in the school education plan was operated mainly by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local community. Second,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as necessary for community forma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nd that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was necessary. In addition, regarding the content, high awareness was shown on the contents of the city unit and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using the village's facilities, and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appropriate to operate in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area for the operation method and time. And as for the factors hindering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e increased work burden of teachers and excessive learning contents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found to hinder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e mo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First, the diversification and publicity of the local village learning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eacher capacity building training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develop and operate a school-centered village learning curriculum should be activated.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도영(Do Yeong Lee)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G시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 사례를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1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후 서면 자료와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보한 자료들을 토대로 면담 질문을 구성하고 2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마을교육공동체 기반 진로교육은 오랜 시간 형성된 마을공동체 구성원 간의 교류와 신뢰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마을 구성원의 신뢰와 헌신이라는 무형의 자원을 토대로 마을 상권의 주민들이 진로교육의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였고, 마을 내 비영리단체의 인적, 물적 지원과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운영되었다. 꾸준한 협의와 새로운 아이템 발굴을 통해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맞춤화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해당 마을의 어른, 청년, 그리고 청소년들은 공동체성을 경험하고, 동반성장과 마을상생으로 드러났다. 또한, 청년들이 마을에 정착하는 사례들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통해 마을의 잠재력 향상이라는 성과로 드러났다.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향후 실천 방향으로는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에 맞는 보다 안정적인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하고, 특히 교육활동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관련된 지원이 필요하며, 성인을 위한 마을 진로교육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 간, 그리고 마을 교육과정 간의 네트워크 플랫폼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its implementation cases, focusing on the youth career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G cit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first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then organized the second interview questions based on written data and data obtained through the websit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four analysis area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egan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member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infrastructure was established through human and material support based on trust, and participation of members was activated. As a resul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diversified into a personalized,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led to the growth of the entire village in practical and potential aspects, including start-ups in the village. Accordingly, a support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e, and support related to the expertise required in educational activities is needed.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network platform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the village curriculum.

      • KCI등재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양경화,이난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내용분석을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하고 향후 다문화교육 현장에 맞는 실제적인 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살펴보았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다문화교육 현장의 실행과정에서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과 문화다양성 교육 및 다문화 교육 지원체제 3영역으로 통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정책은 보수적 성격이 강하며, [문화다양성 교육] 정책은 수용적 성격이 강하며,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정책은 변화・개혁적 성격이 강하며, 보수적 성격 4건, 수용적 성격 3건, 변화・개혁적 성격 3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 보수적, 수용적 및 변화・개혁적 성격을 갖추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수적 성격에 집중되고, 변화・개혁적 성격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문화교육정책의 실제 학교 교육과정 속에는 타문화 이해, 평등, 상호이해와 존중 등의 명시적 안내만 있을 뿐 구체적인 정책들이 없으며, 다문화 관련 부처의 연결고리 부재로 인해 정책이 중첩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육영역에서 실제적이며 구체적이면서도 변화・개혁적 성격의 다문화교육정책이 구성되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관련 부처의 연결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 currently in operation, and sought practical approaches suitabl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ix key initiative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se six initiativ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egrating them into three areas: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analysi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tegration revealed that the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policy exhibited a conservative natur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displayed an accommodating nature, and the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emonstrated a change and reform-oriented nature. In total, there were four conservative, three accommodating, and three change and reform-oriented initiatives. While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encompassed elements of conservatism, accommodation, and change and reform, it generally emphasized conservatism, and the change and reform aspects often remained more formal than substantive. Additionally, within the actual school curricula, there were explicit guidelines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quality,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but specific policies were lacking. The absence of inter-agency connec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affairs led to issues of policy overlap.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ncrete, and chang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 sector.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systematic inter-agency conn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