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순환을 위한 ESG 펀드 투자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아키텍쳐에 관한 연구

        정예진 ( Yae-jin Jeong ),우나영 ( Na-young Woo ),박조은 ( Joeun Park ),김재현 ( Jae-hyu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떠오르는 ESG 펀드(ETF·ELF)에 투자하는 서비스로 행동하는 소비자가 적극적인 ESG 펀드 기업의 사회적 변화를 주도록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핀테크와 ESG 플랫폼 통합서비스를 제시한다. 행동하는 소비자들은 증권사가 투자/운용하는 ESG 펀드(ETF·ELF)에 투자하고, 증권사는 발생하는 이익 일부를 사회 취약계층에 기부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이미지 제고와 증권사 고객 증가, 펀드 자금 증가, 투자받는 기업들은 ESG 경영을 위한 자금 확보를 통해, 소비자와 증권사 그리고 ESG 경영 기업으로 이루어진 선한 영향력의 사이클을 선순환하는 비즈니스 모델과 아키텍쳐를 제시한다.

      • KCI등재

        독일 바우하우스 창립자, 발터 그로피우스를 통해 살펴본 변혁적 리더십과 문화적 자본

        정예지 ( Ye Jee Jeong ),김성국 ( Seong Kook Kim ) 한독경상학회 2012 經商論叢 Vol.30 No.3

        본 연구는 근대 디자인 운동을 선도한 독일 바우하우스(Bauhaus)의 초대 교장이었던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보여준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의 모습을 현대 조직의 맥락 안에서 적용해보고자 한다. 바우하우스는 단순한 디자인 학교가 아니라 ‘디자인을 통한 사회 개혁의 산실’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발터 그로피우스는 변혁적 리더의 모습을 통해 바우하우스를 창립하고 20세기 디자인의 흐름을 바꾼 창조적 예술가로서 현대 건축의 흐름에 말 그대로 변혁(transformation)을 일으킨 리더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현대 조직에서 변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조직을 둘러싼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변혁이나 혁신, 창의성 등 변화관련 요소의 조직 내 중요성이 커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 변혁적 리더십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변혁적 리더십이 현대 조직의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들은 매우 일관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문화적 자본이 주요 매개 역할을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문화적 자본(cultural capital)이란 구성원에게 공유된 정체성과 의미체계로 조직의 고유한 정신 모형(mental model)을 뜻한다. 바우하우스의 창립자이자 변혁적 리더인 발터 그로피우스의 정신은 바우하우스의 고유한 정체성, 타 미술 사조(trend)와의 차별성 등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바우하우스의 문화적 자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발터 그로피우스의 변혁적 리더십과 문화적 자본의 형성을 현대 조직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즉 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특유의 문화적 자본을 구축하여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하고 국내 5개 기업, 121개 팀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의 문화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문화적 자본은 팀 구성원의 창의성과와 팀 운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문화적 자본이 조직 및 팀에게 주는 함의점과 시사점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Walter Gropius, the founder of Bauhaus in Germany. Bauhaus was a school in Germany that combined crafts and the fine arts. The Bauhaus was founded by transformational architect Walter Gropius in Weimar and it was founded with the idea of creating a ``total`` work of art in which all arts, including architecture would eventually be brought together. The Bauhaus style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urrents in Modernist architecture and modern design. The Bauhaus had a profound cultural influence upon subsequent developments in art, architecture, graphic design, interior design, industrial design, and typography. Inspired by past literatures of Bauhaus and Walter Gropius, this research appli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ultural capital on team effectiveness of Korean firm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cultural capital of team, and this team cultural capital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유아의 차별 경험을 통한 인간이해 가치교육적 함의

        정예리 ( Ye Ri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차별의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문화 가정 유아 363명을 대상으로 차별의 경험이 있는지 직접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성별과 피부색상, 사용언어수준에 따라 차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별에 대한 9가지 영역 중 7개 영역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의 50% 이상이 차별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다문화 가정 유아의 차별은 피부색상과 사용언어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부색이 밝은 계열의 다문화 가정 유아보다는 중간 계열이나 어두운 계열의 유아가 차별을 더욱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사용언어수준이 낮을수록 차별이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를 위한 다문화 경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한 사회적응 훈련 및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우리 주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가정 유아들에 대한 차별은 그들이 우리와는 다른 인간이라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 가정을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인간이해를 위한 가치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discrimination again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363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irectly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gender, skin color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7 sub-categories of discrimination out of 9, more than 50% of th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2)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again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basis of their skin color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iddle or dark skin color experienced more discrimination than the ones with light skin color, and the ones with lower Korean language ability also experienced more discri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nd to conduct social adaptation train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rimination again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general is based on the notion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us. Therefore, in the long term, value education for human understanding is crucially needed so that our society embraces multicultural families wholeheartedly in the belief that we are all the same human beings.

      • KCI등재

        진성 리더십이 심리적 웰빙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예지(Jeong, Yejee),김문주(Kim. Moon-J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정치, 경제, 사회, 문화는 물론 리더십 분야의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진성 리더십과 긍정정서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진성 리더란 자기인식과 자기규제를 통해 리더 스스로에게 진실됨을 유지하는 리더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리더십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을 통제하고도 진성 리더십이 독자적으로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러한 주장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진성 리더십이 팀 에너지라는 긍정정서의 메커니즘을 통해 종업원의 심리적 웰빙과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진성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긍정정서로서의 팀 에너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팀 에너지는 구성원들의 심리적 웰빙과 팀 성과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성 리더십이 팀의 가시적 성과는 물론 구성원들의 심리적 성과 향상에 도움을 주는 리더십이며, 이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긍정정서인 팀 에너지가 주요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성 리더십과 긍정정서로서의 팀 에너지가 조직 및 팀에게 주는 함의점과 시사점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team energy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eam effectiveness. Team effectiveness includes team members’ eudaimonic wellbeing and team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authentic leadership is conceptualized as having two related dimensions: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s. Self-awarenes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leader truly knows himself, and self-regulation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leader tri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present self and ideal self. Authentic leaders become the source of pride and attachment, and the sharing of those emotional feelings with team members boost team energy. This positive energy in turn expands team members' cognitive capability and thereby make it easy to mobilize the necessary resources to attain the team performanc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soft performance(eudaimonic wellbeing of team members) and hard performances(team performance evaluated by team leaders), and this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through team energy, namely team positive emotions. We discuss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 KCI등재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

        정예솔(Jeong, Ye-Sol),홍지영(Hong,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 라남북도 지역의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애착과 이성 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stablished a causal structural mode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dult attachment (insecure and avoida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the power index of variable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pertaining to 362 students from 5 univers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empathy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Second, emotional empathy also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However, emotional empath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Third,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had a partial sequential medium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and a complet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K리그 팀 내 자율성과 피드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 ( Ye Jee Jeong ),홍은아 ( Eun Ah Hong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역량 구축, 임파워먼트, 동기부여, 성과 등의 다양한 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구조적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구조적 특성 중에서도 최근 그중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는 자율성과 피드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며, 한 발 더 나아가 이 과정에서 팀 효능감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함을 주장한다. 연구대상은 국내 K리그 축구팀 6개의 프로선수들이며 이 선수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64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 처리방법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율성과 피드백은 팀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효능감은 팀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효능감은 본 연구의 주장대로 자율성 및 피드백과 팀 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때 자율성과 팀 성과의 관계는 팀 효능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피드백과 팀 성과와의 관계는 팀 효능감에 의해 부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성과 피드백 및 팀 효능감이 조직 및 팀에게 주는 함의점과 시사점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tructural characteristic’ which influences on several variables including building capacity of members, empowerment and motivation impacts on team performance. Of particular not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autonomy, feedback and team performance. We hypothesized the effects of autonomy and feedback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 as mediation mechanisms. This mediation mechanism dovetail with the research of positive cognition and this hypothesis calls attention to players’ positive cognitive strength of belief. A total of 164 players from 6 teams in K-Leagu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we used SPSS WIN 19.0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onomy and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Second, team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Third, the team 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team performance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and team performance. Thus, this research found out the differential process, namely ``black box`` between team structure and team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s key role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The new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verifi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of sport management. We discussed on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 KCI등재

        거주 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힘의 비교

        정예리(Jeong Ye-Ri),이숙희(Lee Sook-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3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적 힘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5세 다문화가정 유아 80명과 일반가정 유아 80명, 총 160명을 대상으로 언어발달 검사와 사회적 힘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보다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도시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와 농촌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동일하게 조사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적 힘이 일반가정 유아의 사회적 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 또한 도시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와 농촌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아동은 언어발달과 사회적 관계 능력에 있어서 일반 가정 아동들에 비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위한 언어지도 교육 및 또래 내에서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power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ose of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in regard to their residential areas. To that end, the language development scale and social power scale were conducted to total 160 5-year-old young children of 80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80 from ordinary families. Among the 80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ordinary families, 40 were living in urban areas and the other 40 were living in rural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development level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This tendency equally applied to bot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urban area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Second, the social power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also found to be weak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This tendency again equally applied to bot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urban area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Therefor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em to have more problems with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 ability than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demanded to make more efforts to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eer relationship training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