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립지 온실 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IPCC 선정방법별 특성 연구

        정성훈,황현욱,김명균,엔짜오쩡,느지오카 안토니 무투아,티네가 조셉 냐모코,김영주,Jung, Sung Hoon,Hwang, Hyeon Uk,Kim, Myung Gyun,Yan, Cao Zheng,Nzioka, Antony Mutua,Tinega, Joseph Nyamoko,Kim, Young Ju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6 資源 리싸이클링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매립 처리시설를 대상으로 1996 IPCC G/L에 제시된 Tier 1 방법과 GPG 2000의 Tier 2 방법, 2006 IPCC G/L의 Tier 2 방법을 이용하여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각 방법론 별로 적용상의 장단점 및 배출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산정된 배출량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1996 IPCC G/L Tier 1의 배출량은 2000 ~ 2013년 기간 동안 평균 약 2,760 ton/yr로 산정되었고, GPG 2000 Tier 2의 배출량은 평균 약 1,500 ton/yr, 2006 IPCC G/L Tier 2의 배출량은 평균 약 880ton/yr로 가장 낮게 산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IPCC 1996 Guideline Tier 1, Good Practice Guidance 2000 Tier 2 and IPCC 2006 Guideline First Order Decay methods from landfill disposal facilit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evaluating the pros and cons of each method based on assumptions and default factors was considered for each metho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computed using IPCC 1996 Guideline Tier 1 method (2,760 ton/yr) was higher than the estimation of GPG 2000 Tier 2 and IPCC 2006 Guideline First Order Decay Model which showed 1500 and 880 ton/yr respectively between 2000 and 2013.

      • KCI등재

        유전자알고리즘의 성능향상을 위한 선택적 돌연변이

        정성훈,Jung, Sung-H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7 No.2

        유전자알고리즘의 조숙수렴현상(premature convergence phenomenon)은 유전자알고리즘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성능향상에 크게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알고리즘의 조숙수렴현상을 완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돌연변이 방법을 제안한다. 선택적 돌연변이에서는 유전자알고리즘 개체의 등급에 따라서 염색체의 특정영역에 비트를 추가적으로 돌연변이 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서 등급이 낮은 개체는 표현형 상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등급이 높은 개체는 작은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결국 좋은 개체는 그 주변을 세부적으로 탐색하며 좋지 못한 개체는 새로운 영역을 탐색할 기회가 높아지게 되어 조숙수렴현상을 완화하면서 성능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성능향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4개의 대표적 함수 최적화 문제에 적용해서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유전자알고리즘보다 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Since the premature convergence phenomenon of genetic algorithms (GAs) degrades the performances of GAs significantly, solving this problem provides a lot of effects to the performances of GA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lective mutation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s of GAs by alleviating this phenomenon. In the selective mutation, individuals are additionally mutated at the specific region according to their ranks. From this selective mutation, individuals with low ranks are changed a lot and those with high ranks are changed small in the phenotype. Finally, some good individuals search around them in detail and the other individuals have more chances to search new areas. This results in enhancing the performances of GAs through alleviating of the premature convergence phenomenon. We measured the performances of our method with four typical function optimization problems. It was found from experiments that our proposed method considerably improved the performances of GAs.

      • KCI등재

        Pseudo MOSFET 기술에 의한 양성자 조사 SOl 웨이퍼의 캐리어 수명 분석

        정성훈,이용현,이재성,권영규,배영호,Jung, Sung-Hoon,Lee, Yong-Hyun,Lee, Jae-Sung,Kwon, Young-Kyu,Bae, Young-Ho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2 No.9

        Protons are irradiated into SOl wafers under total dose of 100 krad, 500 krad, 1 Mrad and 2 Mrad to analyze the irradiation effect. The electrical properties are analyzed by pseudo MOSFET technology after proton irradiation. The wafers are annealed to stabilize generated defects in a nitrogen atmosphere at $300^{\circ}C$ for 1 hour because proton irradiation induces a lot of unstable defects in the surface silicon film. Both negative and positive turn-on voltages are shifted to negative direction after the irradiation. The more proton total dose, the more turn on voltage shifts. It means that positive oxide trap charge is generated in the buried oxide(BOX). The minority carrier lifetime which is analyzed by the drain current transient characteristics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proton total dose. The proton irradiation makes crystal defects in the silicon film, and consequently, the crystal defects reduce the carrier lifetime and mobility. As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pseudo MOSFET is a useful technology for the analysis of irradiated SOI wafer.

      • 동측 반맹을 호소하는 후두엽-두정엽 뇌출혈 환자에 대한 복합 한의치험 1례

        정성훈,배인후,김근영,조기호,문상관,권승원,이한결,정우상,Seong Hoon, Jeong,In Hu, Bae,Geun Young, Kim,Ki-Ho, Cho,Sang-Kwan, Moon,Seungwon, Kwon,Han-Kyul, Lee,Woo-Sang, Jung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 2022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Vol.23 No.1

        ■Background Overall prevalence of visual field loss after stroke was estimated at 31%, ranged from 5.5- 57%. Among them, homonymous hemianopia is the most common symptom of post-stroke visual field loss and leads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rapeutic effect. However, standard treat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Case report A 48-year-old male with right side homonymous hemianopia by a left occipital-parietal lobe hemorrhage was treated with Qu-Ji-Du-Huang-Wan,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for 20 days. We used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automated perimetry and visual analog scale for evaluating symptoms. Following treatment, confrontation visual field exam and the subjective discomfort was improved. ■Conclusions The present case report suggests that combined Korean medicine treatment might be an effective treatment of post-stroke homonymous hemianopia. A number of follow 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만성 간질환자에서의 임신

        정성훈 ( Sung Hoon Jung ) 대한간학회 2011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7 No.2(S)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iver disease have resulted in higher conception rates and more successful pregnancy outcomes. So it is important for physicians caring for such patients in complex clinical situation, pregnancy, to understand how to approach complications and tailor medications. Chronic HBV infection is usually mild in pregnancy, but may flare after delivery. Antiviral treatment near or during pregnancy must be individualized. Currently, lamivudine, tenofovir and telbivudine can be used during pregnancy. The role of antiviral therapy in 3rd trimester to minimize risk of vertical transmission remains indefinite. In general, the HCV infection does not affect the clinical course of pregnancy despite of limited reports of prematurity and low birth weight. At present, there are no recommendations for the treatment and measures to prevent vertical transmission. The course of autoimmune hepatitis in pregnancy is highly variable and stable immunosuppression with steroids and /or azathioprine should be maintained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period. Patients with Wilson`s disease must be adequately treated before pregnancy and continue on therapy throughout pregnancy. Most patients with advanced cirrhosis are infertile, but successful pregnancy is achievable in case of mild compensated disease with careful monitoring. Successful pregnancie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have been reported but remains high risk. Closer monitoring, especially of immunosuppression is needed. Unfortunately, the optimal management of pregnancy with chronic liver disease is undefined to date.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to overcome this weakness.

      • KCI등재후보

        매체와 코드로서의 사랑, 그리고 사랑 이후의 도시

        정성훈(Sung-Hoon Ju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4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2

        이 논문은 근대화 시대에 사랑의 탄생지였던 도시가 ‘사랑 이후의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는 진단을 내림으로써, 그에 따르는 ‘사랑 이후’에 관한 여러 물음들에 대한 답변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사랑 혹은 연애가 도대체 어떤 관계를 뜻하는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필자는 사랑을 ‘친밀성의 코드화’를 이룬 ‘상징적으로 일반화된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간주하는 니클라스루만의 이론에 따라 사랑의 의미론이 변화해온 과정을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근대화 혹은 도시화가 왜 사랑과 깊은 연관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 근대 사회의 성립과 근대적 자아 형성에서 연애의 기능은 무엇인지 밝힐 것이다. 이 논문의 후반부는 정이현의 소설을 비롯한 최근 한국의 소설, 음악, 영화, 그리고 청춘의 현실에 관한 문헌들을 기초로 사랑 이후의 도시로 변화하는 서울을 진단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진단은 근대 사회 혹은 근대인의 기초가 흔들리고 있다는 문제의식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In this paper, I diagnose a change of urban life. It is the turn from the city of love to the post-love city. Through the age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place which lovers met had been city. Nowadays radical individualism and the risk of exclusion are bringing about a turn to the post-love city. This diagnosis premises the concept of love. I regard love as a symbolic generalized communication media. This media has been coded for intimate relations. By Niklas Luhmann, the passionate love causes the coding of love and the romantic love causes the distinct differentiation of this symbolic media. Love as a coded media has formed the self-narrative of individual. In the Korean popular literature, music and cinema after 1990"s, young women and young men do not pursuit loving. Love is being pushed out for the individual life or the social inclusion. This change implies the crisis of modernity.

      • KCI등재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친환경 요소의 비중도 분석: 수도권 신도시내 친환경 인증 아파트단지 사례

        정성훈 ( Sung Hoon Jung ),김정인 ( Jeong In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환경정책연구 Vol.10 No.3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에 있어서 쾌적한 주거환경의 필수조건인 친환경 요소에 대한 정성적(qualitative) 계획요소분류체계를 발전적으로 확장하여 정량적(quantitative) 계량분석이 가능한 비중도 개념으로 구체화하였다. 이 비중도 개념을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에 있어서의 다양한 친환경 요소의 발굴과 그에 따른 객관적 평가지표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첫째, 설문조사는 국내 수도권 신도시내 현지거주자(50명) 및 외부전문가(50명)등 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둘째 사례조사는 수도권 신도시내 74개소의 친환경 인증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친환경 요소의 항목별, 유형별 합산 비중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항목별로는 실내환경 및 생태환경, 유형별로는 탄소저감형 및 탄소흡수형이 큰 비중도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따라 최근 수도권 신도시에서는 생태주거 및 신ㆍ재생에너지 등의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성을 위주로 한 다양한 친환경 요소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가 상당히 보편화 단계에 이르렀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적 투자 효과를 유발하는 탄소저감형 및 탄소흡수형 위주의 친환경 요소의 도입이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에도 불구하고 점차 새로운 주거 트렌드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aper affirms the weight proportion concept as an element, which could be empirically analyz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developmental expansion of qualitative empirical analysis on taxonomy that i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Low-Carbon Green Cities and their eco-friendly elements, such as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The weight proportion concept is proposed as a new measure to identify eco-friendly elements and as an objective assessment indicator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surveys were first given to the residents of Metropolitan Newtown (50 persons) and outside experts (50 persons) for the total of 100 persons. Second, the paper surveyed 74 sites of Eco-Environmental Certified Apartment Housing Complexes. Upon analysis of eco-friendly elements by their type and total weight, the largest weight proportion was expressed in the interior and eco-environmental elements, carbon-decrease types, and carbon-absorpt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paper confirm recent positive sentiments and preference toward a variety of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eco-friendly elements like the eco-housing and new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the paper affirmed the new housing trend towards constructing eco-friendly elements, such as carbon-decrease and carbon-absorption, that induce long-term investments, despite their need for higher investments.

      • KCI등재

        비판적 체계이론의 두 방향으로서 사회 내재적 비판과 이론 내재적 비판

        정성훈(Jung, Sung Ho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70 No.-

        이 논문은 2013년 이후 체계이론과 비판이론을 하나의 이론 프로그램으로 묶어내려는 ‘비판적 체계이론’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비판적 체계이론은 체계이론의 비판 잠재력이라는 문제의식을 넘어서 체계이론적 사회비판 혹은 체계이론을 참조한 규범 이론의 정립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하지만 논문집들에 실린 대부분의 글들은 이러한 목표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체계이론적 사회비판의 불가능성을 설득력 있게 논증하는 글도 있다. 나는 이 논문집들에 실린 글들 중 주목할만한 두 편을 기준으로 비판적 체계이론의 두 방향을 ‘사회 내재적 비판’과 ‘이론 내재적 비판’으로 구별하였다. 사회내재적 비판의 방향에서는 기능적으로 분화된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이중적 비판을 다룬 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보다 더 풍부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토이브너의 사회 헌법 구상과 기능체계 내 조직된/자생적 영역 구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론 내재적 비판의 방향에서는 루만의 이론의 ‘시작’이 체계뿐 아니라 의미, 소통, 관찰자 등일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흥미로운 글을 소개하고 이러한 비판의 급진화는 더 이상 체계이론이 아닐 수도 있음을 밝혔다. 두 방향으로 나누어 검토한 작업의 잠정적 결과는 비판적 체계이론이 아직 하나의 이론 프로그램으로 불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 표제에 따른 작업보다는 두 방향에서의 내재적 비판을 위한 후속 연구의 과제들을 도출하면서 이 논문을 마무리한다. Since the consequential debate between Habermas and Luhmann, Critical theory and Systems theory have long been understood as opposing positions. ‘Critical Systems Theory’ is a new theoretical program that integrates the two sides. However, search results for articles related this theory have not produced titles relevant to its name. Some articles even show the impossibility of a system-theoretical critique of society. The remarkable articles in critical systems theory can be differentiated into two directions. The first group of critical systems theory argues ‘immanent critique in society’, which is well-presented by Uwe Shimank’s article. He attempts a “double talk” critique of a functional differentiated capitalistic society. Another case of immanent critique in society can be found in Gunther Teubner’s idea of transnational societal constitution. The second group within critical systems is ‘immanent critique in theory’, which is well-presented in Moritz Klenks’s article. He argues that the ‘beginning’(Anfang) of Luhmann’s theory may be moved or changed, the four candidates of beginning being system, meaning, communication, and observer. The provisional conclusion of my research on critical systems theory is that it is not yet a theoretica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