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리스트레스트 하프 PC형 중공슬래브의 전단성능 평가

        장혜진,김상대,주영규,김상모,Jang,Hye-Jin,Kim,Sang-Dae,Ju,Young-Kyu,Kim,Sang-Mo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4

        고층 건물의 층고 절감과 자중 저감을 위해 중공슬래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중공슬래브는 콘크리트 물량저감으로 장스팬을 구현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켜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중공슬래브의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하프 PC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공슬래브와 프리스트레스트 하프 PC 시스템을 결합한 새로운 바닥구조의 전단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4개의 실험체를 통한 실험 결과로부터 프리스트레스트 하프 PC형 중공슬래브는 일반 슬래브에 비해 낮은 전단성능을 보였으며, 슬래브에 PS강연선을 삽입하거나 더 많은 전단연결재를 설치할 경우 내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행 구조설계기준을 통해 프리스트레스트 하프 PC형 중공 슬래브를 설계할 시에는 저감계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같이 저감계수는 0.6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obtain a lower story height and reduce the weight of a building structure, the void slabs are proposed. Since it can make a long span and a decrease of <TEX>$CO_2$</TEX> emission by reducing the self weight of the slabs, it gives a lot of advantages. To improve the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of void slabs, the new system is developed by combination with the prestressed half PC slabs system. In this study, it is subject to estimate the shear capacity through the proposal concerning shear design and the test result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new two way void slabs system with prestressed half PC in practice. A total of 4 full scale specimens were producted. From the results of this test, the shear strength of the void slabs with prestressed half PC had lower capacity than solid slab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o apply the prestressed wire and place more shear keys in slabs made a higher strength. The developed void slabs, therefore, can be designed and evaluated by current design code safety with reduction factor.

      • KCI등재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장혜진,신지영,Jang, Hyejin,Shin Jiyoung 대한음성학회 2006 말소리 Vol.57 No.-

        This paper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n the vowel system of the Daegu dialect in terms of F1 and F2 of the monophthongs. Three different groups of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20 female native speakers of the Daegu dialect(10 in their 20's and 10 in their 40's), and 10 female native speakers of the Seoul dialect as a control group.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Daegu dialect has six vowels. However, younger generation appears to have 7 vowels different from older generat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Daegu dialect has different vowel systems between generations: for 40's have six vowels and 20's have seven vowels. These difference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Seoul dialect.

      • KCI등재후보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으로 치료하여 호전된 강직성 척추염을 동반한 중증 궤양성 대장염 1례

        장혜진,선중기,손덕칭,Jang, Hae-Jin,Sun, Joong-Ki,Sun, Teh-Che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0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6 No.3

        A 33 year-old mal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evere ulcerative and ankylosing spondylitis was treated and observed. Even though he had been treated with western medicine, he still complained of severe diarrhia, hemafecia, abdominal pain, general weakness, mild fever($37.8^{\circ}C$) and lower back pain. On radiologic examination, the lumbar view revealed the sacroliac joint space are irregular with adjacent bony sclerosis on both sides. He was treated with Chengsim Yeunja-Tang. Having been treated for 99 days, severity of ulcerative colitis changed from severe to mild ade, lower back pain reduced from nine to three, and all other symptoms improved.

      • KCI등재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에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 치료의 독성 비교

        장혜진 ( Jang Hye Jin ),유희석 ( Yu Hui Seog ),전미선 ( Jeon Mi Seon ),장기홍 ( Jang Gi Hong ),이정필 ( Lee Jeong Pil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5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치료로써 동시항암화학방사선 치료 방법에 따른 부작용을 비교하여 가장 적절한 protocol을 찾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stage Ib-Ⅲ)으로 진단 받은 후, 수술하지 않고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두 가지 종류의 protocol에 따라 Cisplatin+5-FU로 3주 간격으로 치료받은 군 (monthly protocol)과 Cisplatin을 방사선 치료가 시행되는 6주간 매주 사용한 군 (weekly protocol)과 방사선 치료만을 받은 환자에서의 부작용을 후향적으로 분석한다. 자료 분석은 chi-square test, t-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단독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2년 생존율은 75.0% (39/52명)였고,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monthly 치료군의 2년 생존율은 83.3% (20/24명), weekly 치료군은 88.5% (23/26명) 이었다. 치료 종료 2년 후의 단독 방사선 치료군에서의 재발률은 30.8% (16/52명),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중 monthly 치료군은 25.0% (6/24명), weekly 치료군은 23.1% (6/26명) 였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 치료군에서 치료 기간 중 나타난 3/4 등급 이상의 급성 부작용은 오심 및 구토 (20.8% vs. 3.08%)와 백혈구 감소증 (29.1% vs. 15.4%)이 monthly 치료군에서 weekly 치료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고 (p<0.05), 계획된 치료를 모두 시행 받은 환자가 weekly 치료군에서 더 많았다 (70.9% vs. 84.6%). 결론 : 본 연구에서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가 단독 방사선 치료와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고, 부작용 비교에서 monthly 치료군 보다 weekly 치료군에서 위장관계 부작용이 적어 결과적으로 치료의 순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이외의 부작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s the idea where the chemotherapeutic agent acts as a radiosensitizer thus producing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in loco-region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patients.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24 patients who underwent CCRT (cisplatin 70 mg/m^2 on day 1, 29; 5-FU: 100 mg/m^2 on day 2-5 and 30-33×4 cycles), 26 patients who underwent weekly CCRT (cisplatin: 40 mg/m^2 ×6 weeks) and 62 patients who had underwent radiation therapy alone for loco-region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at Ajou University Hospital. Toxicit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Gynecologic Oncology Group toxicity criteri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hi-squre test. Results : 2 year overall survival rate of patients only treated with RT was 75.0% (39/52). When this was compaired to CCRT, 83.3% (20/24) with monthly CCRT and 88.5% (23/26) with weekly CCRT of 2 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attained. Recurrence rates were measured 2 years after each therapy done, they were 30.8% (16/52) with RT, 25.0% (6/24) with weekly CCRT, and 23.1% (6/26) monthly CCRT. During CCRT, grade 3 and 4 acute complication rates of nausea/vomiting (20.8% vs. 3.8%) and leukocytopenia (29.1% vs. 15.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nthly group compared to weekly group (p<0.05). Weekly group had more patients who completed planned therapy group compared to weekly group (p<0.05). Weekly group had more patients who completed planned therapy compaired to monthly group (70.9% vs. 84.6%). Conclusion : CCRT improved overall survival rates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 but in some cases increased acute toxicity, and it is suggested that CCRT may be advantageous compared to radiation therapy for loco-region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Weekly CCRT does not seem to afford distinct advantages in terms of acute toxicities over monthly CCRT, except for possible better patient compliance. Due to small size sample and short duration of follow up, further study of a large group of patients and the long survival rate is necessary.

      • KCI등재

        국어 분절음에 대한 음성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 1980년대 이후 실험음성학 연구를 중심으로 -

        장혜진 ( Jang Hye-jin ) 한말연구학회 2020 한말연구 Vol.- No.58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phonetic research on Korean segment and presents the rec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phonetic research on segment, focusing on the results of experimental phonetic researches conducted over the past 40 years. The phonetic studies of consonants were mainly on the acoustic properties and perceptual cues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ree-way distinction in stop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icative /s/,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affricates, the length of the nasals, and the allophones of the liquid. The phonetic studies of vowels were mainly based on the description of formants(F1, F2), and a number of analyzes were conducted on vowels in regional dialect showing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from the Seoul dialect. The recent trends of phonetic research on Korean segments were the expansion of regions and targets for dialectal segment research, sociophonetic studies considering social factors, and research using large-scale speech corpus. It is suggested that the phonetic research on dialect segment is concentrated on specific regions and topics, and the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to more diverse regions 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needs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recent tren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Korean segments from a sociophonetic perspective, out of the phonetic research on segments have been limited to some regions, specific age groups or gender. Lastly, by looking at the vitalization of phonetic research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large-scale speech corpus like Seoul Corpus, it was expected to build a corpus considering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o expand research using the corpus.

      • KCI등재

        탈원근법의 역사와 시각성 연구(2)

        장혜진(Jang Hye z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2

        본 논문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에 나타나는 대상 해체와 왜곡의 형식적인 문제가 특별한 시각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려고 한다. 예술적 공간은 2차원의 캔버스에서 3차원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유동하는 사물의 운동성을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관찰한다. 대표적인 예술가인 지가 베르토프와 엘 리시츠키의 작품과 이론을 통해 시각성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본다. 우선 두 예술가 모두 ‘눈’을 매개로 손과 렌즈를 중첩하여 사물을 관찰했다. ‘본다는 것’은 사물에 대한 투사의 시각을 가리키는 것이며, 대상의 비가시적인 부분까지 표현하는 것이다. 특히 움직이는 눈의 역동성은 대상을 직관으로 관찰함으로서 사물의 운동성을 극대화 시킨다고 할 수 있다. 지가 베르토프는 영화-눈, 간격 이론, 파이 효과 등을 통해 이미지의 극대화된 운동성을 표현한다. 영화 촬영을 음계의 움직임처럼 리듬과 역동적인 면으로 나타내면, 스스로의 응시를 대상화 시키려고 한다. ‘영화-눈’의 관찰자는 그룹으로, 생산자들로, 소비에트의 단일한 시각으로 환원된다. 여기서 원근법은 신체의 눈에서 마음의 눈을 분리하여 물질화시킴으로서 신체의 눈과 역전시킨다. 엘 리시츠키는 프로운 회화를 건축으로 발전시켜 프로운 라움을 창조한다. ‘예술과 범기하학’에서 공간을 네 개의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비합리적 공간과 상상의 공간에서 관자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인다. 시각성을 시공으로 확대하면서 시각의 역동성을 프로운 라움을 통해 증명해 보인다. 이와 같은 시각성에 기인한 사물의 해체와 왜곡의 추상적 문제를 통해 1920년대 소비에트의 시각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KCI등재

        러시아 시각예술의 진화 연구

        장혜진(Jang, Hye Z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4

        본 연구는 러시아 고대 회화인 이콘(성상화)과 루복, 그리고 현대의 로스타 창문과 만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러시아 시각예술 체계에 대해 연구하려고 한다. 우선 러시아의 종교화인 이콘과 대중화인 루복의 역사와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 그 형식적인 유사성과 도상적인 의미를 살펴본다. 또한 로스타 창문에서 코믹이라고 부르는 만화까지 각각의 매체가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고, 이콘이 가지는 이콘성의 소비에트적 의미를 고찰한다. 혁명기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은 이콘성의 차용을 통해 인간과 사회 혹은 인간과 인간의 묘사를 통한 예술성을 강조한다. 이콘이 혁명 후 이데올로기적인 당위성과 명목으로 정치적으로 이용되어 권력자에게 신성의 이미지를 심어준다면, 루복은 혁명을 전후하여 대중에게 친근하고 쉬운 방법으로 널리 퍼짐으로써 대중성과 메시지성을 담보한다. 이와 같이 이콘과 루복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에서 전통적 시각예술의 연속성을 내포한다. 루복은 이콘보다 다양한 주제로 창작되어 오랜 기간 그 명맥이 유지된다. 다양한 주제의 루복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게 동기화되며, 선전, 교화, 독려, 선동할 수 있는 좋은 매체로 작용 한다. 루복은 소비에트 시대 만화 예술, 즉 코믹의 형성에도 영향을 준다. 칸과 틀의 사용, 텍스트의 위치와 인물들의 행동은 러시아 루복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닫힌 공간에서 변화된 장면만을 고착 시키는 방법에서 러시아 만화의 ‘루복성(лубочность)’이 나타난다. 러시아에서 만화와 전통 루복과의 연관성, 특히 현대 만화와의 비교는 러시아 시각예술 체계의 연속과 단절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이와 같은 회화 역사의 고찰을 통해 러시아 시각예술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연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형식적인 유사성으로 다음세대의 시각예술의 진화에 영향은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Russian icon, lubok, the Rosta window, comics, and form of visual art. We can expec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ubok, Rosta window and comics. First of all,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from icon to comics formal evolution of the visual arts in Russia and its iconic characteristics. It discusses these issues by focusing on the themes contained in the images themselves, as well as the production, relationship of the lubki, the Rosta window, comics. Based on the history of that continuity, it will find out the meaning of rubok and icon on the Soviet visual culture.

      • KCI등재

        사실주의 시대의 서정시 연구: 페뜨(А. Фет)의 미의식과 순수예술

        장혜진 ( Hye Zin Jang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4

        본 논문은 사실주의 시기 시문학의 명맥을 유지한 시인 아파나시 페뜨의 서정시를 분석하며, 전반적인 시세계와 미의식을 고찰한다. 페뜨는 19세기 후반에 다양한 동시대 작가들과 교류하였지만, 1860년대 이후 러시아의 사회적, 사상적인 문단의 흐름에서 벗어나 순수시를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점에 주목하여, 페뜨의 전기의 시와 후기의 시를 고찰하고, 서정시의 주제 변화와 흐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페뜨의 초기 서정시에 주로 나타난 인상주의적인 시상의 특징과 그 시들을 분석하고, 순수예술을 바탕으로 하는 페트의 ‘미’의 개념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20년의 공백 기간 이후 쇼펜하우어 철학의 영향으로 변화된 후기 시의 변화된 주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순수예술 ‘의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lyric poetry of Apanashy Fet, a poet who maintained the pure poetry in the realism period, and examines the overall world of poetr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Fet interacted with various contemporary writers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after the 1860s, he created pure poetry out of the flow of Russian social and ideological context. In this paper, focusing on this point, I would like to examine Fet’s poems in the early and late periods, and analyze the change and flow of the theme of lyric poetr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istic poems and poems that appeared mainly in Fet’s early lyrical poetry, and then consider Fet’s concept of “beauty” based on pure art.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changed themes of later poetry that have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Schopenhauer’s philosophy after the 20-year gap, and through this, I will try to grasp the meaning of ‘pure art’.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장혜진 ( Hye Jin J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다문화교육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사의 다문화역량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내용 측면에서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원주의적 패러다임에 머물고 있으며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와 같은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은 기존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점과 달리 사회의 불평등한 관계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사회변화를 위한 의지를 함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면담을 한 결과,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1)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평등 강조 (2) 다문화가정 유아의 부정적인 경험 간과 (3) 유아의 다문화 관련 인식 및 태도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사의 색맹적 태도에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focusing on two teachers`` attitudes towar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a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tion-observation in two classrooms and semi-constructed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were in common with focusing the children``s equity, overlooking the negative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cking teachers’ interests and attentions of how children recognize different cultures and ethnicity. From the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two teachers had color-blind attitudes. A teacher’s color-blind attitude has a positive affect in treat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qually, but it can negatively create and perpetuate unequal relations among different cultures. We need to critically consider embedded assumptions in a teacher’s color-blind att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to bring more equality and justice in our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