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양주리(Yang Jur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이 논문의 목적은 K-pop 그룹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이룬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전파와 확산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이들의 영향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교욕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에 았다. 방탄소년단이 한국어 확산에 끼친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한국어교욕 연구에 있어 방탄소년단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방탄소년단은 서구 팝 음악과는 다른 음악적 특성과 퍼포먼스로 세계인들의 이목을 끌었고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그들의 연습 과정과 일상생활까지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팬덤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팬데믹으로 인해 활동이 제한적이고 팬들과 만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방탄소년단이 세계적 인기를 구가하며 정상의 자리를 굳건히 지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소설 미디어가 있었다. 방탄소년단과 소통하기 위해 팬들은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한국어를 배우는 팬들이 늘어나면서 세계적으로 한국어의 인기도 올라갔다. 한국어교욕 현장에서도 방탄소년단의 노래와 영상은 좋은 교욕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높아져 가는 한국어 열기와 수요에 부응하여 방탄소년단의 소속사에서는 한국어 전문 기관과 협약해 직접 한국어 콘텐츠를 제작해 선보였다. 제작된 콘텐츠는 세계에 흩어져 있는 팬들에게 한국어 학습 매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해외 대학에서도 한국어교욕 학습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음악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방탄소년단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류에 맞춰 한국어 확산을 위한 연구와 노력도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방탄소년단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및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접근통로로써 소셜 미디어의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TS, who achieved worldwide success as a K-pop group, on the spread of Korean language, and to find a way to develop Korean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ir influence. Given that BTS has had a huge impact on Korea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BT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T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people around the world with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that are different from Western pop music, and they have continued to share their practice process and daily lives through social media, spreading their fandom all over the world. Even when their activities are limit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meet their fans due to the pandemic, the power of social media became the reason why BTS is able to gain worldwide popularity and maintains its position at the top.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BTS, their fans began to learn Korean, and the more fans learn Korean, the more popular Korean language is around the worl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TS songs and videos are used as good educa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he growing enthusiasm and demand for the Korean language, BTS management company signed an agreement with a Korean language institution to directly produce Korean learning contents. They are used as a Korean language learning medium for fans scattered around the world, and they are also used as a learning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abroad. Music experts predict that the popularity of BT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erefore, in line with these currents, it is necessary to speed up our research and efforts to spread the Korean language. In the light of this, the writer propose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contents using BTS contents, and suggest ways to utilize social media as an access channel for learners to learn Korean anytime, anywhere.
한글문화 자강활동과 한글독립투쟁의 발자취 : 한글학회외 성립과 발전을 중심으로
이대로 한국어정보학회 2011 한국어정보학 Vol.13 No.1
19세기말( 1890년대 ) 20세기(1990년)말에 걸친 지난 100년간 초창기의 한글자강활동, 일제강점기의 한글문화독립투쟁, 광복이후 한글문화 운동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초장기의 문화자강활동을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며 광복이후 문명퇴치와 기계화 운동에 대하여도 간략 기술하였다. 이 시기 가장 특기 할만한 사건은 한글학회(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통칭 조선어학회 사건이다. 한글문화 독립투쟁사는 물론이고 국권회복의 독립 투쟁사에서도 빛나는 성과이며 오늘날 한글문화 운동의 금자탑을 이룬 밑바탕이 되었다. 21 세기의 한글은 지난 시기 축적된 한글 문화 역량을 바탕으로 한글문화세계의 창조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말은 한글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자주적 언어문화, 보편적 한글 정보문화, 새로운 한글문화 산업의 전개를 통하여 문화 강국을 지향하고 국격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이를 국제적으로 확대하여 보편성을 확보하여 인류 문화발전에도 이바지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편윤희(Pyon Yoon H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서 학습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자를 바르게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당한 방법과 수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학문 목적’과 ‘취업 목적’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의 수요자들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된 수요자를 대상으로 교육은 하고 있는데, 과거의 분류에 의해서 교사의 재량으로 교육하는 형편이다. 수요자에 맞는 교육 체계가 부족한 형편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대한민국의 각 관청에서 시행하고 있다. 또 각 관청은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각자의 기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고 한국어 교육을 실시할 때에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국내 학습자’와 ‘국외 학습자’로 분류하였다. ‘국내 한국어 학습자’는 ‘결혼이민자’, ‘중도입국 자녀’, ‘다문화 자녀’로 구분하였다. ‘국외 한국어 학습자’는 ‘국내에 입국한 유학생’, ‘교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외국인’,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입국하는 난민’, ‘국외 해외동포 자녀’까지 포함시켰다. 한국어 학습자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 확충과 교사 양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단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국가별 언어와 문화 특징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The subject of our study i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the learner to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orrectly the learner, teacher have to know the suitable way and approach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whe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that various government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 Also they do in each other by a himself criteria. So when they conduct to overlap and repeat for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Korean teachers. In this study, the Korean students were classified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domestic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marriage immigrants, immigration midway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Korea, the culture, the work. This study include a refugees in Korea and Korea diaspora children at overseas. Korean students classify proposed to be achieved by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Korean language classify, that just two, ‘student’ and ‘working’. This subject insist ‘Korean students’ and ‘Foreigner student’ from studying purpose. The former purpose to get Korea citizenship, the latter just foreign language for self-purpose. ‘Korean students’ is ‘marriage immigrants’, ‘multicultural children’. ‘Foreigner student’ is ‘student studying abroad’, ‘foreign workers’, ‘culture student’, etc.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심으로-
강려나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non-native Korean teachers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analysis of studies by year, type, subject, and method revealed the following tasks and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First, th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both incumbent and new teachers with extensive experience to consider the career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fessionalism index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nducting research on incumbent teachers in Korea and prospective teachers abroad, with a focus on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area of activity. In addition, the discussions needs to extend to how to target non-native Korean teachers who are teaching Korean at various institutions. Third, non-native Korean teachers were found to be mainly concentrated in China and Thailand, but it is necessary to expand various studie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teacher's context to overcome regional bias. In addition, research according to ethnic characteristics in various regions, such as China and Russia, is needed. Fourth, research on non-native Korean teachers needs to establish validity and reliability by applying research methods from adjacent disciplines beyond the framework of typical research methods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from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perspectives. Finally, research on teacher language and teacher policy should be a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divers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research topics.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 학문 분야에서 수행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도 및 유형별, 대상별, 방법별, 주제별 분석 결과 후속 연구의 과제와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경력 특징과 요인을 고려하여 오랜 경력이 있는 현직 교사와 신입 교사 대상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활동 지역에 따라 국내에서는 현직 교사, 국외에서는 예비 교사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어 교육의 전문성 지표의 가능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외, 여러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논의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는 중국과 태국에 집중되었는데 지역적인 편중을 극복하고 교사 맥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지역에서의 민족적 특징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는 전형적인 연구 방법의 틀을 벗어나 인접 학문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 다양한 연구 방법과 시각으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어 교사 연구 주제의 다양성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 언어와 교사 정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져야 한다.
나은영(Nha, Eun-yo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한국어 교재의 발전 과정은 최초의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고 나서 약 2세기가 지나면서 역사적으로나 한국어 교육학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국어 교육학이 점차 학문적인 분야로 정착되어 가는 것이 사실이고, 특히 한국어 교재의 연구사에 대해서는 국어학사와 같이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재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당시의 정치 문화와 사회적 요소는 물론 교재의 내용과 형식에서 강조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편찬의 역사적 변천과 실제 교재형식이나 내용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특히 시기별로 나누어서 한국어 교재와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사에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 시기와 한국어 교육학적인 시기가 어떻게 연계했는가를 보았다. 이에 따라 각기 구분한 시기별 교재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보고,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시기 구분과 각 시기에 한국어 교재의 내용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재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한국어 교재가 기준 삼아야 할 방향은 향후 과제로 삼으려 한다. ‘교재는 교육의 모든 것이다’라는 말처럼 교재에는 교육내용, 교육목표, 교육 방법 등이 총체적으로 들어있다. 따라서 교재의 중요성은 한국어 교육에 두말할 나위 없이중요하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periods from the 18th century until the pres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divided into six perirods diachronically and shows variou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Major theme in the study i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nged in their formats during the six periods. A lot of contents and schemata in the testbooks teaching styles, student task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are discussed. This study suggests the diverse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researchers need more detail studies and efforts for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textbook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and levels in addition.
조영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8 한국어문화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연구가 어떤 영역을 중심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아 그 연구 결과를 수업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주 제에 부합하는 논문 477편을 선별한 뒤 유형(학위논문/학술지논문)별, 기능·영역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라는 용어를 세분화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학문 목적 학습자라는 용어는 아직까지 그 경계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라 본고에서는 이를 학습 목적과 선행 학습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정립하였다. 더불어 학위 과정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수업의 개설 현황을 부산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별로 알아본 후 그에 따라 도출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세 가지로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방안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bout how and in what areas the research is conducted and ap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actual classes. To this end, a total of 477 papers that corresponded to the subject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ere selected and then divided by type (thesis or journal article, etc.), function, and area. Also, in order to prepare the education methods f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the term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needs to be subdivided for organization. However, since the boundaries and concept of the term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re not clearly defined yet, this study classified it by the degree of learning purpose and prior learning. In addition, the opening status of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degree course was investigated by universities in Busan and then three problems of the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were derived and examine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problems were also suggested.
심지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2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표준한국어》교재 쓰기 영역의 쓰기 활동 유형과 쓰기 유형의 소재를 분석하여 다문화 학생들이 학업 수행을 함에 있어서 유용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쓰기 영역의 소재가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과 부합하지 않는 부분들이 있었다. 작문 유형은 통제 작문의 비중이 크고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중이 보다 적게 제시되어 있었으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기’와 ‘문자메시지’, ‘장래희망’과 같은 소재로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부합하는 소재를 제시하여 쓰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며, 자유 작문의 소재는 일상생활의 소재뿐만 아니라 이슈, 화제, 사회 사건 등의 소재도 다루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rea of the 《Standard Korea n》textbook for school-age students. As a result, there were areas where the subject matter of the writing field did not match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s for the writing type, the proportion of controlled writing was large, and the proportion of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were presented less, and the subject of free writing was limited to such as'diary','text message', and'hope for the future'. Cou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duce writing by suggesting materials that mee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and materials for free writing should deal with not only the subject matter of daily life, but also issues, topics, and social events.
한국어 교재의 구성 및 내용 분석 연구 : 서울대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방희경(Pang, Hee-ky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5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매개체다. 따라서 교수자나 학습자에게 방향성과 효용성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전체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해 구성상의 특징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교재 활용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는 교재의 방향을 찾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주제 중심, 영역 통합적 구성, 구두 언어 중심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먼저 목표 문법의 제시에서 체계성과 연계성의 미비가 한국어 교수학습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영역 통합적 구성에서 획일적, 기계적 활동이 발생, 문법적 내용성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 구체적 방법으로 기본 문법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국어 교재를 통해 한국어의 과학성을 체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orean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di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the problems that arise while usmg them. So this study is gomg to talk about the directions of textbooks that actually help for teach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subject-oriented, area-integrated composition, and verbal language-oriented feature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 Korean language textbooks. First, the author pointed out the lack of systemicity and connectivity in presenting target grammar. The author believe this reas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language. Next, it was noted that the area-integrated composition could result in uniformity of activities and mechanical application. Therefore, the author thought that we should be able to supplement the grammatical content to help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extbooks should be able to play their role.
주현정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0 한국어문화교육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언어문화 교육을 위해 영상매 체를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서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에 내재되어 있는 언어문화에 대 해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 문화와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는 상이하므로 그 문화적 배경 차이로 인해 학습자는 한국어 언어문 화를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언어문화 를 교수하기 위해 언어문화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교수하기 위한 영상매체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상매체는 실제적인 담화 상황을 수반하여 학습자가 한국인의 발화를 직접 적으로 보게 하는 적절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트 콤은 영상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드라마나 영화보다 실제 담화 상황과 거의 흡사하므로 언어문화를 교육하는 데에 효과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트콤을 활용한 언어문화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언어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쌓고 실제 담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영상매체는 작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기준이 까다롭다는 한계점이 있다. 차후 연구에는 한국어 언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 활용법과 수업 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lass model using video media for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To learn Korean,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the language culture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becomes an element that makes it harder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because Korean culture and cultur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Korean language culture has to offer and suggested the use of video media to teach that. Video media is accompanied by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nd can be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dia that allows learners to directly see the spoken words of Korean. Among them, sitcoms are effective in educating language culture because the length of the video is relatively short and contains conversations that are almost the same as the actual conversation than drama or movi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elp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uild background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o lead to actual discourse by suggesting a language culture class model using sitcom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are strict consideration and standards when selecting visual media. Various media usage methods and class model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culture will have to b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