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oles of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and Memory in Language Skill

        임동선,제니퍼 윈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Background & Objectives: Statistical learning of transitional probabilities is a basic mechanism that may influence language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can predict language performance as well as the role of memory as a potential mediating link between statistical learning and language performance.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20 typically achieving, school-aged children and 20 adults who completed auditory and visual statistical learning tasks and related memory tasks. Participants also completed tasks that assessed acquired language knowledge (grammatical judgment and a standardized language test) and language processing efficiency (rapid naming and non-word repetition). Results: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language performance, illustrating the general learning mechanism underlying both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domains. Statistical learning contributed no significant variance after memory to performance in the language processing tasks. Conversely, statistical learning but not memory performa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erformance in the language knowledge tasks. The results illustrate the important roles of both memory and statistical learning in language performanc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tatistical learning appears to be more directly associated with language tasks that emphasize complex semantic and grammatical knowledge learned over time rather than language tasks that emphasize access and retrieval of less complex linguistic information. Additionally, statistical learning operates similarly across modalities, and memor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real time learning.

      • KCI등재

        학령기 이중언어 아동의 두 언어 능숙도와 부모의 L1/L2 사용률 간의 관계

        임동선,김신영,한지윤,강다은,이수경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9 No.-

        The first language or mother tongue (L1) paves the way for acquiring a second language (L2) as well as developing self-identity i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hildren (CLD).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elated issues of language environment and CLD children’s L1 and L2 abil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ental use of L1 and L2 and how it affects to CLD’s L1 and L2 in a various situation. Fifteen parents of CLD children using a variety of L1 backgrounds and English as L2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all went to international schools in Korea. Using the parent’s language environment report (PLEQ; Hong, 2018), L1 and L2 usage were measured by daily activity and communication type. Parents also evaluated their children’s L1 and L2 skills in four are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 reports of the children’s L1 and L2 skills in the parent’s PLEQ,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he native-like-L1 group, the nonnative-like-L1 group, the native-like-L2 group, and the nonnative-like-L2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of the native-like-L1 group used more L1 than parents of a nonnative-like-L1 group in affectionate communication. Parents in the native-like-L2 group also used more L1 than parents of the nonnative-like-L2 group in academic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implicated that the use of L1 in affectionate communication and academic communication may positively affect their perception of children’s L1 and L2 skills. 문화적으로 그리고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아동에게, 모국어는 부모가 사용하는 언어로서 정체성 형성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발달 과정에서 제1언어(L1)와 제2언어(L2)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특히 L1의 발달은 L2의 발달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부모의 L1 및 L2 사용이 CLD 아동의 L1 및 L2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모보고 형식의 언어환경 설문지(Parental Language Environmental Questionnaire, PLEQ)를 통해 자녀와의 일상생활에서 부모의 언어사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제학교에 재학중이면서 학교에서 영어를 L2로 사용하고 있고 서로 다른 모국어 배경을 갖고 있는 CLD 아동 15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PLEQ를 통해 일상생활 활동 및 의사소통 유형별 L1과 L2 사용률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L1 및 L2 능숙도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가지 영역에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평가를 기반으로, 아동들의 L1과 L2 능숙도를 네 가지 영역이 모두 능숙한 집단(L1/L2-유창)과 그렇지 않은 집단(L1/L2-비유창)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착형 의사소통 유형에서 L1-유창 집단 부모의 L1 사용률이 L1-비유창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학습 상황에서 L2-유창 집단 부모의 L1 사용률이 L2-비유창 집단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애착형 의사소통 및 학습 상황에서의 부모의 L1 사용이 각각 아동의 L1 능력 및 L2 능력과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가정 내 사용 언어에 따른 언어 능력 종단분석: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임동선,김선영,김성진,김소은,양윤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내 사용 언어에 따라 한국어만 사용하는 집단과 한국어와 어머니의 모국어를 혼용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자녀의 언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자녀의 초5 언어 능력이 국가정체성, 다문화수용성,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중2의 언어 능력을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2-5차년도(초5-중2) 학생 및 학부모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원분산분석과 구조 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 자녀의 한국어 실력에 있어 중1의 쓰기 능력 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어머니의 모국어 능력은 한국어와 어머니의 모국어 혼용 집단이 매년 유의하게 높았다. 한국어 사용 집단의 한국어 능력(초5, 중2)은 자아탄력성에 의해 매개되었고, 한국어와 어머니의 모국어 혼용 집단의 어머니의 모국어 능력(초5, 중2)은 이중문화수용태도에 의해 매개되었다. 또한, 한국어와 어머니의 모국어 혼용 집단에서는 자아탄력성이 초5의 한국어 능력과 중2의 한국어와 어머니 모국어 능력을 모두 매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 가정에서 어머니의 모국어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자녀의 한국어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초5 어머니의 모국어 능력과 중2 어머니의 모국어 능력을 매개한다는 점과 자아탄력성이 초5의 한국어 능력과 중2의 한국어 그리고 모국어 능력까지 매개한다는 점에서 이중언어 환경이 아동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이며, 자아탄력성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X-ray를 이용한 아크매핑 분석 및 발화원 판정

        임동선,홍헌표,심영보,신상민,엄재복 한국화재감식학회 2023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14 No.4

        Analyzing electrical singularities using X-ray analysis equipment of fire investigation vehicles arrived to the fire site can be useful as it can quickly determine the source of ignition through arc mapping analysis at the si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using X-ray, melted material such as PVC is melted so that it cannot be disassembled, or fire ignited by LED elements with high risk of damage to the original, In the case of multi-socket, it is useful for determining the firing point, where tracking occurs at the connection part which is connected by the power lines. And secondary short-circuit marks are formed by flames. When evidence is collected and requested to an appraisal agency,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evidence can be further increased by attaching the X-ray nondestructive test result before disassembly.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physical evidence that is the basis for identification for a comprehensive conclusion at the fire scen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tect electrical singularities immediately using the X-ray of the fire investigation analysis vehicle at the fire site and to link the analysis in the analysis room.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음운루프, 시․공간 잡기장, 일화적 완충기, 억제기능과 문법 능력 간의 관계

        임동선,한지윤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loops, visuospatial sketchpad, episodic buffers, and grammar skills in children with a language delay (LD). Forty-seven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TD) and 21 LD children conducted four working memory tasks and grammaticality judgment tasks. Through two-way mixed ANOVA and t-tests, the results revealed that L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on all working memory tasks. In addition, grammar skills in TD children were predicted by episodic buffers and visuospatial sketchpad, whereas a phonological loop was the only predictor of grammar skills in LD children. The study suggests that language intervention should include information organizing skills in order to improve processing efficiency. We also recommend minimizing distractors for better intervention outcomes. 본 연구는 효과적인 언어 중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아동의 정보 처리 특성을 논의하고자 Baddeley의 4요인 작업기억 모델을 바탕으로 아동의 음운루프, 시․공간 잡기장, 중앙집행기의 일화적 완충기, 억제기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만 4-6세 일반 아동 47명, 언어발달지체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각 하위요소를 측정하는 과제를 실시하고 이원혼합분산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비언어성 일화적 완충기와 시․공간 잡기장 과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성 작업기억 과제에서 일반 아동보다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별 문법 능력 예측요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 집단은 일화적 완충기와 시․공간 잡기장,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음운루프가 문법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은 효율적으로 정보를 조직하여 기억과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기억 기제에 결함이 있으며 비언어정보 처리 기제는 상대적으로 보존되어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에 중재는 아동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정보 조직 전략을 교수하고 방해 자극을 최소화할 때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Efficient robot tracking system using single-image-based object detection and position estimation

        임동선,김종혁,Kim Hyuntai 한국통신학회 2024 ICT Express Vol.10 No.1

        This study proposes a mother-slave robot tracking system that identifies the target, predicts its location, and tracks it based on a single image. The proposed system utilize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for object detection, to identify the target robot.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robots are then calcula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which offers a more efficient and cost-effective solution than traditional method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evaluated, resulting in an accuracy of 99.59% for object detection, and an average distance error of 2.04% for the estimated location.

      • KCI등재

        책읽기 부모교육이 부모의 전략, 아동의 발화,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및 전이 효과

        임동선,김신영,한지윤,박원정,송은,이상언,김윤희,윤소망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 부모의 전략과 아동의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43-80개월의 일반아동 및 어휘발달지체 아동 각 8명과 그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주1회 5주 간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의 자발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이후 책읽기활동에서 부모의 전략 사용, 아동의 발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측면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 본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유놀이 상황으로의 전이 효과는 일부 종속변수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전략들을 다른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book reading training in reading and free play settings examining parental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 16 mother-child dyad (eight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development, eight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The parents received five sessions of an interactive reading program once a week.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spontaneous speech samples collected from parent-child reading and free pl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of each group significantly used more reading strategies in the post-test. In addition, turn-taking, reading time, and topic maintenanc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ree play at the post-test, the parental use of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ies increas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he number of utterances also increased in the other group which suggested the transfer effect of parent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