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의 사용 언어, 문맥, 언어 능숙도에 따른 기본 주파수 변화

        윤소망,목소라,정선,한지,임동선 한국음성학회 2019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mean fundamental frequency (F0) changes depending on language, task, or language proficiency for Korean-English bilinguals. A total of forty-eight Korean-English speakers (28 balanced bilinguals and 20 Korean dominant biling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loud two types of tasks in English and Korean.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language × task two-way repeated ANOVAs were conducted within the balanced bilingual group first, and then group × language two-way mixed ANOV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s in both bilingual groups changed their mean F0 depending on the language they used and the tasks (p<.05), whereas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males in either group under any conditions. The mean fundamental frequency in the Korean reading task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English reading task for females in both balanced and Korean dominant bilingual groups. Thus, changes in mean F0 depending on language and context may reflect gender-specific characteristics, and females seem to be more sensitive to the socio-cultural standards that are imposed on them.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 발달 아동의 지속주의 능력과 시선추적연구를 통한 빠른우연학습의 관계

        윤소망,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4

        배경 및 목적: 기존의 빠른우연학습 과제는 어휘에 대한 노출이 끝난 이후의 수행을 측정하므로 실시간으로 아동이 새로운 어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빠른우연학습 과제 시 아동의 눈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살펴보고 지속주의력과 빠른우연학습 능력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7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빠른우연학습 과제 및 지속주의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일반아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에 비해 빠른우연학습 과제의 어휘학습 평가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또한, 빠른우연학습 시집단 간 시선고정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속주의 과제에서는 청각적 지속주의 과제 양식에서만 집단 간 정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각적 수행정확도와 빠른우연학습 과제의 비단어 습득 점수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빠른우연학습 시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실시간 주의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간 지속주의력은 청각적 양식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빠른우연학습 과제의 수행도 청각적 지속주의력과 연관이 있음이 나타났다. 그러므로본연구의결과는단순언어장애아동의빠른우연학습능력에서의결함이주의력과연관이있을가능성을제시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 역량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소영,권승아,김민지,김한빛,이혜린,한나경,윤소망,정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디지털 역량 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ADDIE 모형에 근거해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가 향후 교육현장에서 디지털 매체와 테크놀로지를 수업설계, 교수ㆍ학습과 놀이지원 등에 원활하게 적용하고 발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을 디지털 기기의 교수적 활용, 디지털 정보 활용,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플랫폼 활용, 디지털 페다고지로 설정하고, 각 역량별로 하위역량을 설정하였다. 또한 학습자 분석을 위해 A대학 유아교육학과 2, 3학년에 재학 중인 106명의 학생을 조사하였고,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전문가 7인의 두 차례 검토를 거쳐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수업 주제와 방법,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출하였다. 최종 교육 프로그램은 총 5주간 10시간에 걸쳐 총 4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교육의 효과성 및 학습자의 내면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37개 문항으로 구성된 디지털 역량 측정도구로 교육 전과 후로 2회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교육 종료 후 학습자의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교육 후 모든 디지털 역량 및 하위역량에서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찰일지 분석 결과 교육 프로그램 이수 후 디지털 역량과 관련해 학습자 내면의 긍정적 변화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디지털 매체와 최신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교육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제와 경험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역량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적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the digit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ADDIE model and help them apply digital media and technologies smoothly to their lesson designs, teaching and learning, and play suppo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make use of them in an emergent manner.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pieces of literature and set the digit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he instructional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s, the utilization of digital information, digital content creation and platform utilization, and digital pedagogy before defining the subcompetences of each competence. For the analysis of learners, the researchers surveyed 106 sophomores and junio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Korea. In the educational program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researchers identifie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lesson topics and methods, and the specific content of a lesson based on two reviews by seven experts. The final educational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a total of ten hours over five weeks. They took an evaluation test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ogram with a digital competence inventory of 37 items to determine its effectiveness and the internal changes of the learners, whose self-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after the program end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effects of education in all the types of digital competence and their subcompetences after receiving the train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earners’ self-reflection journal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ir digit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receive digital competence training based on current realities and experience so that they can provid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digital media and the latest technolog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such an educational alternative.

      • KCI등재

        책읽기 부모교육이 부모의 전략, 아동의 발화,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및 전이 효과

        임동선,김신영,한지,박원정,송은,이상언,김윤희,윤소망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 부모의 전략과 아동의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43-80개월의 일반아동 및 어휘발달지체 아동 각 8명과 그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주1회 5주 간 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부모-자녀 간 책읽기 및 자유놀이 상황에서의 자발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이후 책읽기활동에서 부모의 전략 사용, 아동의 발화,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측면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 본상호작용적 책읽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미치는 직접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유놀이 상황으로의 전이 효과는 일부 종속변수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시하는 전략들을 다른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book reading training in reading and free play settings examining parental use of reading strategies, child utterance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 16 mother-child dyad (eight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development, eight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The parents received five sessions of an interactive reading program once a week.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spontaneous speech samples collected from parent-child reading and free pl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of each group significantly used more reading strategies in the post-test. In addition, turn-taking, reading time, and topic maintenanc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free play at the post-test, the parental use of language facilitation strategies increas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nd the number of utterances also increased in the other group which suggested the transfer effect of parent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