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자음 체계 습득 과정

        안미리(Mi Lee Ahn),김태경(Tae Kyung Kim)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어 교육 Vol.14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order and the age of mastery of phonemic contrast in consonantal sounds of Korean. For this purpose, we made an observation of the correspondences between the sounds produced by children of 12-36 months and the target sounds produced by adults. The provisional order and the age of contrast acquisition sho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tial production of consonants by the place of articulation is accomplished before 18 month. 2) As for the differential production of consonants by the manner of articulation, the contrast between the nasal and oral sounds is first established in the age of 24-30 months,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stop and the affricate is not accomplished until 36 months. The liquid and the fricative are not produced or rarely produced before 36 months. 3) As for the differential production of consonants by phonation type, the contrast between the tense and the non-tense is established in the 30-36 months, and subsequently the contrast between the plain and the aspirated is established around the age of 36 months.

      • KCI등재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 활동매뉴얼 개발 연구

        인자,박미영,김혜주,이명희,Ahn, In-Ja,Park, Mi-Young,Kim, Hye-Joo,Lee, Myeo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매뉴얼을 개발하여 자원봉사 활동의 전문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기 시도되었다.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와 담당자와 이용자와의 면담, 전문가 간담회 등을 통하여 가장 수요가 많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매뉴얼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실질적인 장애인 서비스 자원봉사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대면낭독, 입력봉사, 도서관 비방문자 서비스, 이동보조,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개 분야를 선정하여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체적인 활동 매뉴얼 내용을 제시하였다. 5개자원봉사의 활동분야, 장애 유형, 활동 목적, 세부 활동 내용 및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활동내용의 구성도와 구성요소의 정의를 소개하였고, 구성요소의 기술사례를 대면낭독에 적용하여 활동 매뉴얼의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erating manual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in the public libraries.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manuals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were analyzed. From the survey and expert interviews, five types of most frequently asked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face-to-face reading, word input services, services to off-library users, mobility aids services and assistance of engineering devices were extraced. Five specific areas on the voluntary activity were chosen in terms of activity area, barrier type, specific activity field, activity purpose and checklist. Finally, contents of the operating manual was applied to the area of face-to-face reading.

      • 교육용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안미리 ( Mi-lee Ahn ),나윤성 ( Yun-seong Na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국가적 차원에서 저소득 청소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많은 아동보호센터 및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그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방과 후 교육이 제공되고 있는지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아왔다. 본 연구는 저소득 청소년을 위한 방과 후 교육의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재교육의 일환으로 여겨져 왔던 창의성 교육을 조명하였다. 저소득층 청소년의 창의력 인성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용 게임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A시 5곳의 아동보호시설에서 운영되고 있는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창의적 인성검사는 크게 자기확신(Self Confidence), 호기심(Curiosity), 인내(Patience), 개방성(Openess), 모험심(Adventure)으로 구분하여 t검증을 통해 유의한가를 분석하였다. 다섯 가지 영역의 평균은 실험집단이 높았으나, 이 중 ‘인내’ 영역이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고, 이로 인해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수업을 받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과제 수행에 있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도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 확신, 호기심, 개방성, 모험심 네 가지 영역에 대해서는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학생들에게 이 네 가지 영역을 균형적으로 길러주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강사진의 교수법 연수, 교육과정의 개선, 학생 동기 유발, 학생 독려 및 관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업의 질을 개선시켜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교육용 콘텐츠의 접근성과 보편성 개선 방안

        안미리 ( Mi Lee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이 방과 후 사용하는 사이버가정학습의 ``접근성``을 분석한 후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의 7가지 원리를 학습설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교육용 콘텐츠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접근성 평가 도구인 FAE(Firefox Accessibility Extension)를 활용해 학생들의 "접근 기회"를 분석하였다. K 사이버가정학습의 접근성 평가 결과 ``HTML 표준``, ``스크립트의 사용``과 ``대체 텍스트 제공`` 항목에 대한 ``경고``와 ``탈락``이 많아 접근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에 대한 시사점으로 접근성 개선을 위한 UDL 원리를 교수설계에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UDL의 보편성 확보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학습 기회"의 확대를 위해 배려하는 설계로서, 디지털 교육용 콘텐츠의 접근성과 보편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결과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동질의 학습경험을 할 수 있는 접근성과 보편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Recently,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ti-Discriminatory Act" in 2008, and is actively promoting the law. However, it is still at its infancy in comparison to other advanced countries in terms providing access for all users.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offered through cyber home learning need to be universally designed to include all learners. This study, I have analyzed the accessibility of K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using FAE tool, and the result showed low scores or failed for ``HTML Standards``, ``Scripting`` and the ``Text Equivalents.`` To assist digital contents` accessibility, UDL 7 principles could be use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universality for learner-centered designs. Use of UDL will include learner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learn from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 KCI등재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lee Ahn ),최윤영 ( Younyoung Choi ),배윤희 ( Yunhee Bae ),고윤미 ( Yoonmi Ko ),김민하 ( Min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2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은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과 이러닝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분석학은 학습유형고찰, 학습평가, 맞춤 학습 등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국내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의 연구가 미비한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분석학을 적용한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고, 향후 국내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 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습분석학 관련 문헌 중 실증적 연구 중심의 문헌으로 최종 61편을 선정하였으며, 선별 절차와 과정은 Papamitsiou와 Economides(2014)의 문헌연구 방법을 따랐다. 문헌분석 결과, 국내에서 집중된연구 동향은 (1) 연구 목적은 학생 행동 모델링, 학습성과 예측, (2) 학습환경은 VLEs/LMSs, 웹기반학습을 주로 연구하였으며, (3) 자료분석방법은 연구 목적에 따라 분석 방법을 다르게 사용하였으나 주로 Statistics, Regression, Text Mining이 많이 활용되었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우선, 학습분석학을 통한 새로운 교수전략 제안과 학습자의 학습성과 예측, 중도탈락 예방 등 학습자 이외에 지원 가능한 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했던 부분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MOOC, 인지적 튜터 시스템, 모바일과 같은 다양한 학습환경에서의 학생 및 학생 행동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닝하는 방법과 이에 따른 분석 모형화에대한 연구를 교육공학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각화방법을 포함한 프로세스가 내재된 학습관리시스템 모델링 연구 또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습분석학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관점의 고찰은 교수설계, 교수전략의 새로운방향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데이터의 활용과 학습관리시스템의 모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rning analytics is a research method used in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orting of learners`` progress, for purposes of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optimizing learners`` learning process. Along with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online learning, data derived analytics methods are anticip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research on learning analytics is relatively new in Korean academi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e (1) learning settings, (2) research objectives, and (3) research methods used in learning analytics literatures. Using Papamitsiou & Economides‘s(2014) review process as a guideline, we surveyed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8 and 2016, and 61 were aggregated for in-depth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most research published in Korea is limited to applying learning analytics in the context of VLEs/LMSs and web-based learning platforms. For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lso narrowly focused on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 academia needs to expand to different applications of learning analytics to include instructional strategies, prediction of student success, and prevention of dropouts. Furthermore, we need to expand to include the design of MOOC, cognitive tutor system, and mobile learning systems to offer automated data extraction and data mining, and capablities of visualized personalized data. These data-driven learning environment could foster learning analytics research and improv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현장

        안미리 ( Mi-lee Ahn ),김성남 ( Sung-nam Kim ),황윤자 ( Yun-ja Hwang ),부향숙 ( Hyang-suk B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이러닝 학습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많은 대상들에게 눈부실만한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닝의 특성을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 등의 소외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하여, 그동안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도 소외된 대상들을 고려한 접근성 관련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자성만이 아니라 그 이유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기업 CEO의 인식을 조사하여 웹 접근성과 관련한 제도적인 여건 속에서도 학습 환경에서는 여전히 접근성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위의 목적을 위하여 현업에 종사하는 운영자와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교수 설계을 위한 이러닝의 접근성 관련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러닝 접근성에 대한 CEO의 인식은 매우 저조하며,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해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개발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닝 기업 CEO의 낮은 인식은 곧 개발자와 교수설계자들에게 접근성 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홍보와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며, 현재 제공되는 이러닝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연구와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보편적 학습설계와 접근성에 대한 교육과 확산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Streptomyces coelicolor의 RraA 동족체인 RraAS2에 의한 Escherichia coli RNase E 활성조절

        상미,신은경,염지현,이강석,Ahn, Sang-Mi,Shin, Eun-Kyoung,Yeom, Ji-Hyun,Lee, Kang-Se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최근 Escherichia coli에서 RNA의 분해와 가공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인 RNase E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 조절자인 RraA가 밝혀졌으며, 이 단백질은 E. coli RNase E의 효소활성 부위와 36%의 유사성을 가지는, Streptomyces coelicolor RNase ES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coelicolor의 유전체에는 RraA와 아미노산 서열이 35.4% 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두 개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인 rraAS2를 클로닝하여 E. coli RNase E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세포내에서 RraAS2를 발현시키면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해 저해된 세포의 생장을 RraA와 같이 효과적으로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복원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raAS2가 발현됨으로서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해 증가된 ColE1-타입 플라스미드의 복제 수를 14%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raAS2가 RNase E의 RNA I분자에 대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동일한 배양조건에서 E. coli 세포내에서의 RNase E에 대한 RraAS2의 상대적인 발현양이 RraA에 비해 6.2배 낮은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RraAS2가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한 세포 생장의 저해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모든 RNA의 가공과 분해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RraA is a recently discovered protein inhibitor that regulates the enzymatic activity of RNase 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decay and processing of RNAs in Escherichia coli. It has also been shown to regulate the activity of RNase ES, a functional Streptomyces coelicolor ortholog of RNase E, which has 36% identity to the amino-terminal region of RNase E. There are two open reading frames in S. coelicolor genome that can potentially encode proteins having more than 35.4% similarity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RraA. DNA fragment encoding one of these RraA orthologs, designated as RraAS2 here, was amplified and cloned in to E. coli vector to test whether it has ability to regulate RNase E activity in E. coli cells. Co-expression of RraAS2 partially rescued E. coli cells over-producing RNase E from growth arrest, although not as efficiently as RraA, induced by the increased ribonucleolytic activity in the cells. The copy number of ColEl-type plasmid in these cells was also decreased by 14% compared to that in cells over-producing RNase E only, indicating the ability of RraAS2 to inhibit RNase E action on RNA I. We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RraAS2 was lower than that of RraA by 4.2 folds under the same culture condition, suggesting that because of inefficient expression of RraAS2 in E. coli cells, co-expression of RraAS2 was not efficiently able to inhibit RNase E activity to the level for proper processing and decay of all RNA species that is required to restore normal cellular growth to the cells over-producing RNase E.

      • 대기 환경 분야(PA) ; PA-03 : 친환경농업 실천농가 인식분석에 의한 유기농업자재 관리제도의 효율적 개선방안

        인 ( In Ahn ),이인애 ( In Ae Lee ),심미진 ( Mi Jin Sim ),최동근 ( Dong Geun Choi ),이경원 ( Kyeong Won Lee ),한상균 ( Sang Gyun Han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세계적으로 유기농산업은 식품안전 및 각국의 경쟁적 유기농 육성정책 영향으로 연 평균 20%성장추세에 있는 반면 국내의 유기농업은 정부의 육성정책, 웰빙무드, 안전식품 선호로 연평균23%씩 급속히 성장해 오다가 저농약 농산물의 신규인증 폐지 및 최근 부실인증 파동 등으로 하향추세로 전환되어 2005년 수준까지 하락한 상태다. 전체 친환경농산물중 유기농산물이 11.6%를 차지하고 무농약이 58.1%, 저농약농산물이 30.3%이다. 특히 과수는 무농약 이상이 14.1%에 불과하고 친환경농산물의 85.9%가 저농약 인증농산물이 차지하고 있다(‘14 농산물품질관리원 인증통계자료). 2015년말 저농약농산물 인증이 완전 폐지된다. 2014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설문조사에 의하면 저농약 폐지 후 무농약 이상으로 전환하겠다는 농가가 36.4%에 그치고 있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반면 유기식품시장은 꾸준히 늘어나 국산원료 공급이 시급한 상황이며, 또한 친환경 무상급식 확산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의 체계적 대량 공급체계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처럼 친환경실천 농민들은 과수 등의 무농약 재배를 실천하기가 어려움에 따라 유기농 실천기술과 효과와안전성이 검증된 값싼 다양한 유기농업자재를 조속히 개발 값싸게 공급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경농업단체연합회 소속 친환경 실천농가 848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8월까지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 인식조사를 실시 하였다. 조사결과 유기농업자재 문제점으로 가격이 비싸다(60%)> 효과가 미흡하다(16%)> 유통질서가 문란하다(13%)> 농약 등 검출 못믿겠다(10%)는 순으로 불만의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공시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50%)> 만족(26%)> 불만족(20%)> 매우 만족 또는 매우 불만족이 각각 4%를 차지 하였다. 한편 공시제와 품질인증제 일원화에 대하여는 효과보증이 필요하므로 품질인증제 일원화(54%)하자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중장기적으로 품질인증제로 일원화(35%)하자는 의견이 두 번째로 많았으며, 현행제도를 유지하자는 의견도 10%를 차지 하므로서 품질인증제로 일원화하자는 의견이 89%로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비의도적 유해물질 검출시 처벌 차등화 필요성에 대하여는 72%가 찬성하였고, 25%가 반대하였다. 또한 처벌을 차등화할 경우 1회 경고 1개월 판매정지, 2회 6개월 판매정지 3회 등록취소가 35.9%로 가장 많았고, 1회 3개월 판매정지, 1회 6개월 판매정지 및 1회 등록취소 해야 된다는 의견이 각각17.9%, 17%, 16%로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기타 품질인증 효과기준중 병해충방제효과기준은 60%가 적당(28%), 80%정도(24%), 50%정도(23%) 이었고, 비료적 효과기준은 현행 15%유지(24.5%), 20%(18.3%), 10%(9%) 순으로써 농민들은 효과좋은 유기농업자재를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유기농업자재의 효율적 제도개선 방안 마련시 본 인식조사 결과를 고려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HPLC-MS/MS를 이용한 트리클로로에틸렌 대사산물의 다중 분석법 확립

        영아,고영림,이승호,신미연,전중대,김성균,Ahn, Youngah,Kho, Younglim,Lee, Seungho,Shin, Mi-Yeon,Jeon, Jung Dae,Kim, Sungkyoo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0 No.2

        Objectives: We aimed to develop a measurement method of five metabolites of trichloroethylene (TCE) in a concurrent biological sample, e.g., trichloroacetic acid (TCA), dichloroacetic acid (DCA), S-(1,2-dichlorovinyl) glutathione (DCVG), S-(1,2-dichlorovinyl)-L-cysteine (DCVC), and N-Acetyl-S-(1,2-dichlorovinyl)-L-cysteine (NAcDCVC) and to validate the method before application to pharmacokinetic study. Methods: TCE metabolit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HPLC-ESI-MS/MS) with as little as 50 ${\mu}L$ of serum and urine. DCA, TCA and NAcDCVC were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while DCVC and DCVG were extracted by solid phase extraction. This method was valid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Toxicological Research. Then, we determined the five metabolites in five strains of mice at 24 hr after exposure to 1 g TCE /kg body weight. Results: The limits of detection for the five metabolites in biological samples ranged from 0.001 to 0.076 nmol/mL, which is comparable to or better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Most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0.99$), and between-batch variation was less than 20% expressing acceptable robustness and reproducibility. Using this method, we found TCA and DCA were detected in all test mice at 24 hr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while NAcDCVC and DCVC were detected in some strains, which showed strain-dependent metabolism of TCE. Conclusions: The present method could provide robust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major key metabolites of TCE in biological media, which allowed concurrent analysis of TCE metabolism for limited amounts of biospecim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