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level of mastery of advanced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Chungsook Kim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어 교육 Vol.26 No.영문호

        본 연구는 한국 내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각 기관 교육과정의 숙달도수준이 국제통용 한국어교육표준모형의 등급 체계와 비교해 어느 정도의 숙달도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참조 기준이 되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5~7급의 총괄목표와 화제, 기능 항목 및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 고급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화제, 기능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교육기관의 교육목표 및 교육 내용을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교육기관 내 교육목표와 교육 내용 간 숙달도 수준도 비교분석하였다.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고급(5~6급)의 교육 목표는 사회적·추상적 화제에 대해 의사를 표현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전문 분야나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 화제에 대한 발표, 토론, 대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제와 기능 교육 항목도 이에 맞춰 제시되었다. 분석대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5, 6급 수준에서 7급에 이르기까지의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6급 목표로 ‘전문적 영역, 학문적 주제, 전문적 자료, 대학 강의 수준의 활동, 복잡하고 전문적인 활동’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7급에 해당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한국어 고급교육과정의 화제는 전반적으로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고급화제로 제시한 항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어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고급 수준과 일치하는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제가 특정분야에 치우쳐 있고 화제를 전문적 깊이로 다루지 못하고 있어 각 교육기관이 설정한 고급 교육목표와 화제 사이에 수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대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기능 범주는, 고급 수준의 기능 항목이 균형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초급이나 중급이 교육 권장 등급으로 제시된 기능의 출현 빈도가 높아,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제시한 것보다 낮은 수준을 보인다. 교육기관의 고급 기능 항목을 각 교육기관의 고급 교육목표와 비교해 볼 때도 상당한 수준 차이가 있다.(고려대학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dvanced Korean Language curricula at major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further compare the mastery level of the advanced curriculum with the rating system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order to do this, the general objectives and items of topics and functions within Levels 5 to 7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along with the objectives, topics and functions in advanced curricula in major Korean language institutes were analyzed. Followed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in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stitutes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e level of mastery between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bjectives in Levels 5 to 6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were expressing opinions regarding social and abstract topics, and understanding topics from professional fields unfamiliar to the learner in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debate. The items of topics and functions were also provided accordingly. The objectives that were analyzed from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were set from Level 5 and 6 to Level 7 in the Standard Curriculum. Among the Level 6 objectives, ‘professional fields, academic topics, professional materials, university level tasks, and complex and professional tasks’ were included as significant portion and this is equivalent to Level 7 in the standard curriculum. The topics from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mainly included the topic items within the Standard Curriculum and were equivalent to its advanced level. However, there was an imbalance of topics in certain fields and the topics were not covered in depth; moreover, the differences between levels amongst topics in the advanced curriculum of each institute were evident. Regarding function, there was also an imbalance in items in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and a high frequency of functions from the basic or intermediate level; therefore, the functions in the advanced curriculum were lower than the suggested level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unctional items compared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each institute were also significant.

      •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아자디 세계언어 대학교와 아시가바트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마메도브라힘 ( Mammedov Rahy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이 연구는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본 다음에 한국어 교육이 가지는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투르크메니스탄 내 한국어 교육의 중심 기관인 아자디 세계언어 대학교와 아시가바트 세종학당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 대비 평균 수준까지 발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의 발전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노정(露呈)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아자디 세계언어 대학교와 아시가바트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현재 한국어 교육이 처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기반으로 향후의 진흥책을 마련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와 발전 방향으로 주로 한국어 교육 과정의 개정,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 한국어 교원 양성 그리고 그 외의 과제들을 심도 있게 짚어보았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모든 문제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최소한의 사항이라고 판단되며 앞으로 한국어 교육이 장족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investigation aims to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urkmenistan, and then discussing the problems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have developed to an average level compared to other Central Asian countries at Institute of World Languages named after Azadi and King Sejong Institute in Ashgabat the central institu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However, as many problems are being dealt with in the development of this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Institute of World Languages named after Azadi and King Sejong Institute in Ashgabat, which have not been of interest so far. And based on the fundamental problems fac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stitutions, future promotion measures were prepared. In this study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mainly focused on the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textbooks, the Korean teacher training, and other tasks. All problems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are considered to be the minimum that must be urgently solv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pe that will make great strides in the future.

      • 한국어 교원 대상 온라인 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혜민,권유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팬데믹으로 인한 급작스러운 온라인 교육의 전환은 교사들에게 많은 부담으로 다가왔다. 여러 디지털 기기와 다양한 온라인 프로그램 사용에 친화적인 교사들은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시도가 가능했겠지만, 그 외에는 온라인 수업 도구에 익숙해지기에도 벅찼을 것이다. 또한 기관마다 제공하는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사 교육의 형태나 범위도 다르기 때문에, 특히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수업 내 상호 작용이 필수적인 한국어 수업에서 온라인상에서의 상호교육을 어떻게 실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오롯이 교사 스스로의 몫이었다. 즉, 온라인 수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량에 따라 수업의 양상이 매우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원을 대상으로 현재 국내외 한국어 교원이 갖추고 있는 온라인 교수 역량을 파악하여 온라인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의 수행에 영향을 끼치는 국내외에서 한국어 교원의 온라인 역량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외 한국어 교원의 역량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교사 교육 내용의 기초자료로 삼으려 한다. 분석 결과, 국내 한국어 교원과 국외 한국어 교원의 온라인 수업 역량 중 교육학적 지식과 내용 그리고 의사소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국내 한국어 교원이 국외 한국어 교원보다 온라인 수업 도구(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활용) 활용적 측면에서는 유의미하게 낮은 평균이 발견되었다. 이는 국내 한국어 교원의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되는 도구적 측면에서 교사 역량이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원의 교육 지역 및 기관과 무관하게 한국어교원자격증 1급 교원이 기타 다른 교원 자격증 유형의 교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소프트웨어 지식, 프로그램 활용, 교육내용 및 온라인에서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국내와 해외의 지역적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온라인 수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활용, 온라인 교육학적 지식, 온라인 교육 내용 지식, 의사소통 활성화 방안 등의 기본적인 내용이 모두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하다. 특히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상호작용이 필수적인데, 오프라인과는 다른 온라인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이끌 수 있는 교수-학습법에 대한 교육도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sudden shift in online education due to the pandemic has struck as a heavy burden for teachers. Teachers who are familiar with using various digital devices and online programs would have been able to try various things in online classes, but for other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learn how to use online tools.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s and scope of teacher education for conducting online classes provided by each institution are different, it was up to the teacher’s competence to realize online mutual education in Korean classes, especially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In other words, in order to perform online classes, the aspect of the class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teacher’s competence.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to strengthen the online teaching competence for Korean teachers by identifying the current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petencies of Korean teachers in domestic and abroad based on a survey to find out the status of online competencies of Korean teachers in domestic and abroad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online classes, and uses the results as basic contents for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dagogical knowledge, content, and communication among online class competencies of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teachers, but a significantly lower average was found in terms of online class tools (software, program utilization) than overseas Korean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eacher competency nee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in terms of instrumental aspects, used in online class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Next,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area and institution of Korean teachers, Korean teachers who hold level 1 certificate showed a higher average in the area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software knowledge, program use, educational content, and online communication than other teachers. In summary, even if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abroad, basic contents such as basic software use, online pedagogical knowledge, online educational content knowledge, and activating communication plan are all necessary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particular, interaction is essential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education on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lead to online interaction different from offline must be accompanied.

      •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쩐하이즈엉 ( Tran Hai Duo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수교한 이래 30년 동안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다방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한국은 대 베트남 외국인 투자 국가 중 1위를 차지하며, 한국 입장에서도 베트남은 교역 부문에서 세 번째로 거래 비율이 높은 국가로 자리 잡고 있다. 베트남 내 한국 기업들은 단순 노동집약 산업에 주로 투자하기 때문에 한국인 고용자와 베트남인 노동자들 간의 언어적 장벽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 줄 통·번역사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앞으로도 한국-베트남의 국가 간 관계 발전에 있어서 통·번역사의 존재가 매우 중요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한국어 통·번역 관련 수요 증가에 따른 관련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베트남에서 한국어 통·번역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정규 대학 졸업생들이다. 그들의 업무 전반 혹은 일부는 한국어-베트남어 간의 통·번역 업무이지만 이와 관련된 기술과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발전 과정에서 주목받고 있는 한국어 통·번역 교육의 현시점 주요 특성을 고찰하고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문헌 여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로 진해하였다. 먼저, 각 대학 교육과정과 실제 교과목 현황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통·번역 교육 자료, 내용 등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재 통·번역 교육에 있어서 전문 통·번역 교수 부족, 교육 내용의 부실, 교재와 학습 자료 부족, 수업을 위한 시설 미흡, 학습자의 실천 기회 부족 등으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는 수업 내용 다양화, 교재 개발, 교수진 양성, 수강생 수 조정, 현장 실습 강화의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다섯 가지 방안은 현시점에 베트남에서 통·번역 교육을 발전하기 위해 최소한의 방안이다.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은 30년이 되었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통·번역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Korea and Vietnam have made remarkable progress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over the past 30 years. Korea ranks first among foreign investment countries in Vietnam and Vietnam has the third highest trading ratio in the trade sector. Since Korean companies in Vietnam mainly invest in simple labor-intensive industries, there may be a language barrier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workers. Therefore, an interpreter/translator is essential to solve these communication problems. It is undeniable that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between Korea and Vietnam. As the demand for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related education. Currently, most of workers working as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 Vietnam are regular university graduates. All or part of their work is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but it is true that they lack the relevant skills and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which has recently received huge attention in Vietnam and to seek alternatives for i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learners. First, it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university’s curriculum and actual subjects, then investigated data and contents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current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such as a shortage of professional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professors, poor educational content, insufficient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insufficient facilities, and a lack of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practi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five methods of diversifying class content, developing textbooks, nurturing faculty, adjusting the number of students, and strengthening field practice. These five measures are the minimum plan to develop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in Vietnam at this time.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has been developing over the past 30 years,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at universities in Vietnam.

      • KCI등재후보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어 교육 Vol.14 No.3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 is increasing, yet the learners with general purpose are still the majorit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lso, the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 should cultivate most of their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s a basis at the early stage of communicative training. In the manuscript it is presented the layout of the process and the principle of an integrated syllabus that teaches the Korean language as a unity without a classification between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language skill. For this interest, the plan of an integrated syllabus was exhibited along the purpose of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which is the obj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principle of selecting and arranging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following was suggested: 1) the inclusion of a fundamental subject for the specific purpose, 2) the inclusion of both the Korean particularity and mankind universality, 3) the arrangement and delineation of education subject by frequency application as a standard, 4) the distinction between education subjec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purpose, 5) the disposition of a circulating arrangement of educational subject. Furthermore, each educational element or requisite organized by connection was presented with the following principles: 1) the assurance! of the relevancy between educational aim and educational subject, 2) the composition of a non-linear educational subject, 3) the arrangement of a task, centered in the process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acy.

      • 고려인 이주민을 위한 ‘고려인 한국어 교사 되기’ 내러티브 탐구

        안정민 ( Ahn¸ Jeongmin ),임은실 ( Eunsil Y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이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출신 교사를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들이 한국어 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히고, 이들에게 필요한 교사 양성 및 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현재 재한 고려인은 약 72,000명이며 한국으로의 고려인 이주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으나, 고려인 이주자의 낮은 한국어 숙달도는 한국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데에 장애 요건이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 국내로 이주하는 고려인이 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논의도 늘어났으나 ‘학습자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연구 외에 ‘교사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찾을 수 없다. 지금까지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 대하여 직접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는 국내 거주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사와 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고려인을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교사들도 있고, 학부나 대학원 등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이후에 한국어 교사가 된 경우도 있다. 특히, 민간단체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 중 고려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한국어 교사가 많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인 교사를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을 받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로 나누어 한국어 교사들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향후 고려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연구참여자의 삶의 역정, 경험, 의지, 세계관 등을 존중하되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자의적인 (재)해석을 미세하게 찾아내고, 다양한 자료와 참여적 현장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에 방점을 둔다. 더 나아가, 이주자가 원래 살아왔던 국가와 이주 후 정착 국가, 즉 고려인 한국어 교사가 속한 국가(예컨대, 우즈베키스탄)에서 삶과 그가 생활했던 혹은 하고 있는 이주국(한국)에서 삶, 그리고 정착 과정, 특히 한국어 습득과 교원 자격 획득 과정을 총체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사를 전문 한국어교사와 비전문 한국어 교사로 나누어 인터뷰하고, 인터뷰 내용을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경험, 한국어 교사로서의 경험(한국어교육 형태,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로서의 강점/약점,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등으로 범주화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 및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려인 비전문 한국어 교사를 위한 현실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려인을 가르칠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게 러시아어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진행하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내 거주 고려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이 제도화되고 효율적으로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려인이 다문화가족지원법 등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This study is the product of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individual, group, institution, national, transnational) on the narratives of Koyroin (CIS Korean diaspora)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CIS Korean migrants in Korea. It aims to reveal the process of becoming Korean teacher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 development and re-education for them. Currently, there are about 72,000 Koyroin residing in Korea. Although the number of Korean migrants from the CIS continues to increase, their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is an obstacle to a stable life in Korea and is considered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problem. Research on teaching Korean to these people has multiplied recently, but there is no specific discussion of “Koryoin as teachers” o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Koryoin as learners.” It is from this observation tha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genesis of Koryoin teachers, their roles and training while resituating them in the space of the discussion on teaching Korean to CIS Korean migrants in South Korea.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for Koryoin, there ar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no previous professional training. In particular, while the majority of Koryoin language teachers work in private institutions, only a minority of them have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who have undergone professional 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ose who have not. This distinction helps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y fa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needed for future Korean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ivilege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center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 which gives priority to the interviewee, allows for a more efficient collection of information such as family life, educational background, professional experiences, disposition, and worldview, but also for the discovery of the interviewe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re)interpreted trajectory. This analysis must be crossed with various types of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traversed by the individual. In addition, our study is also based on a double observation, on the one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the migrant originally lived, and on the other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he/she settled after emigration, without forgetting other elements such as settlement process, mode of acquir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etc.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ethodology, Koyroin language teachers were divided into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the teacher’s experience. The analysis also focu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training programs they attended as well as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Finally,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and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research, we present some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training programs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Koyroin teacher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ealistic training plan for non-professional Koyroin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teach Koyroin language teachers efficient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Russia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ir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circumstances of Koyroin teachers, it is imperative to institute a system that allows them to receiv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 KCI등재

        국제 도시 부산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 지역 특성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Featured on the development of learner -ba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전은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어 교육 Vol.14 No.2

        As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at local cities in Korea, proper recognition of the spatial background and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sufficient consideration into the local characteristics are all mandatory in order that the class could reflect the motivations and requirements of learners. In this artic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teaching-learning and the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is mentioned. An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Busan is also provided. The learner-bas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a full consideration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is emphasized. The purpose,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new learner-base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also introduced.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에 관한 혼합 방법 연구

        김규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한국 사회는 점차 다양한 문화가 소통하며 확장되고 있다. 여러 문화권과의 교류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과 자의적 또는 타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만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대처하는 ‘문화 능력’이 필요한데 한국어 교육도 문화 교육과 문화 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 나가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해마다 증가하면서 이들을 언어적인 기술 향상 면에서 끌어들여야 함과 동시에 그들에게 지닌 고유 문화 배경과 다른 문화가 공존하고 교류할 수 있는 능력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한국어 교육을 통해서 한국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배우며 더 나아가서는 현대 사회와 세계 시민으로서 필요한 능력까지 배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유용한 문화 지식과 문화를 대하는 유연한 태도와 인식, 원활하고 자연스러운 문화 적응과 행동까지‘문화 능력’을 고려한 요소가 한국어 교육과정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한국어 교육에서 한 단계 발전된 형태로 문화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바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본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문화 능력 간의 관계 그리고 이에 대한 특징을 탐색하기 위해 학습자의 문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양적 연구와 학습자와 교육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면접법인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 방법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외국어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에 근거를 두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문화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한국어 능력과 문화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을 통하여 문화 능력 간의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고 양적 연구를 통하여 밝히지 못한 부분을 질적 연구 방법인, 면접을 통해 문화 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들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외국어 학습 공간, 즉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습득될 수 있도록 문화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문화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각도에서 검토해 보려고 하였다. 또한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함께 문화 능력을 상호 연계하여 실질적으로 교육과정 안에서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제안을 한 부분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문화 능력을 한국어 교육에서 제안하고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하고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접근한 점에서 가치를 지닌 연구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문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못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분야의 문화 능력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문화 능력을 논의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문화 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짚어보고 이를 위해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체계와 내용을 갖추기 위해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ultural Compet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South Korea becoming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more individuals have come to acknowledge the value of Cultural Competence as an indispensable day-to-day and transferrable professional skill. Since the language classroom is a learning space and time for targeted linguistic and cultural encounters,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Cultural Competence in language learning settings, and consider it as a skill to achieve. Using a mixed methods design, the research uses data collected from surveys with 150 learn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5 learners and 15 educators in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I assess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South Korea, and developed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 following the official Korean national measuring standar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Results from the survey show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hen Cultural Competence improves, language ability also improves. Interviews shed further light on the varying importanc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Knowledge, Attitude, Awareness, and Practice) to achieve high proficiency levels. Three out of the four components (Knowledge, Attitude, and Awareness) show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sults. However, data also reveals that the Practice component does not show the same level of improvement as the other three. This demonstrates that the four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are not tightly linked with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By explo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the journey to achiev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research shows that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ing practices mainly focus on the Knowledge component and tend to neglect Cultural Competence as a wh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thus leads to a highly imbalanced progress in the four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whereby learners’ improvement is mostly focused on Knowledge component progress at the expense of the other three components, hence failing to achieve Cultural Competence as a whole. This research hence highlights the crucial role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recommends that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corporates more cultural elements and other related activities in and outside of the language classroom, that educators have the opportunity to train in more international settings, and that learners be encouraged to practice independent learning through socio-cultural activities outside of the curriculum.

      • 한국어교육 온라인 튜터링 프로그램 활동 성과와 방향 -성균관대학교와 프랑스 라로셸대학교의 교류 활동을 중심으로-

        서지예,이금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와 라로셸대학교의 온라인 동료 튜터링 활동 사례로 통해 한국어 학습차원뿐만 아닌 한국어 교원을 양성하는 데에 필요한 국제 교류 활동 및 교육 실습의 차원에서의 온라인 튜터링 활동의 성과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해외 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수가 년마다 증가하는 있는 동시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계 범위의 퍼짐으로 자유로운 국제 교류 활동이 어려운 만큼 해외의 학습자가 한국어 원어민, 또한 한국어교육 전공자와의 언어 연습 기회도 줄여들고 있으며 한국어의 언어 환경에 노출 된 기회가 많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성균관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는 프랑스 라로셸 대학교(Université de la Rochelle)와 함께 온라인을 통해서 일대일 맞춤형 튜터-튜티 교류 활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활동의 계획부터 실제 활동 내용과 성과를 제시하며 한국어교육 실습의 차원에서 튜터에게 설문조사와 개별 인터뷰를 통해 활동 참여자의 만족도와 활동의 개선점을 살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본 활동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으며 앞으로 학교 차원에서 튜터를 위한 활동 지도를 제공하고, 튜터 간의 소통와 협력이 촉진해주며 향후 대면 활동을 마련하는 것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achievements and directions of online tutoring activities in terms of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actice necessary to cultivate Korean language teachers as well as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the examples of online peer tutoring activities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La Rochelle University. Currently, the number of learners learning Korean at overseas universitie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as the COVID-19 virus spreads throughout the world, overseas learners are reducing opportunities to practice languages with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education majors, and there are not many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the language environment.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Sungkyunkwan University’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ed a one-on-one customized tutor-tuti exchange online with Université de la Rochelle in France. In this study, the actual activity content and performance were presented from the plan of this activity, and th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of activity participants were examined through survey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utors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practice. Overall, this activity showed high satisfaction, and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tivity guidance for tutors at the school level, promot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utors, and promote face-to-face activ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논문 : A Study on Non-nativ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cused on Filipino KFL teachers

        ( Kyung Min Bae ),( Jay Ar 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어 교육 Vol.23 No.3

        배경민·제이알 이그노. 2012.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 연구: 필리핀 비원어민 교사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3-3: 343-364. 한국어 학습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에 대한 연구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외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치는 현지 출신 비원어민 한국어강사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드문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필리핀국립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필리핀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필리핀인 한국어강사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필리핀 국립대학교 언어학부의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사례를 자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로서 필리핀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자들에 대한 분석은 필리핀 현지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본고는 필리핀 비원어민 한국어강사의 교수 동기, 교수경험, 교수 전략, 강점과 약점 등을 분석하여 필리핀 현지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들의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위한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고에서 분석된 자료는 추후 필리핀의 비원어민 한국어교사 교육 프로그램뿐 아니라 타국의 비원어민 교사 재교육에도 유용한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Dili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