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츠하이머질환에서 LRP의 역할

        안상미,김선돈 한국뇌학회 2001 한국뇌학회지 Vol.1 No.2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의 대사산물인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이 알츠하이머질환의 중요한 병리학적 특징이다. 최근에 발표된 여러 논문에 의하면, 베타아밀로이드의 침착은 베타아밀로이드단백의 생성과 제거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베타아밀로이드의 대사에 관여하거나 알츠하이머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여러 유전자 산물들은 하나의 수용체물질인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LRP)에 수렴된다. 즉, LRP는 아밀로이드전구단백질, apolipoprotein E(apoE), α₂-macroglobulin(α₂M)의 수용체이다. 이외에도 LRP는 심혈관질환과 뇌신경질환과 관련이 있는 적어도 20개 이상의 리간드와 결합하는 다양한 기능을 지녔는데, 주 기능으로서는 이들 리간드의 재흡수를 매개한다. 다양한 세포에서 LRP의 기능은 LRP의 발현과 그 조절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LRP의 구조, 기능과 조절에 대해서 논의하며, LRP와 알츠하이머질환과의 관계을 설명하고자 한다. Deposition of beta-amyloid(Aβ), a metabolite of amyloid precursor protein(APP), is a critical pathological feature in Alzheimer’s disease. Aβ deposition reflects an imbalance of Aβ synthesis and/or clearance. Several pathways that impact Aβ metabolism converge on a single receptor molecule, the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LRP). LRP is a multifunctional cell surface receptor which mediates the endocytic uptake of ligands implicated in cardiovascular and neuronal pathophysiology and which is the major neuronal receptor both for apolipoprotein E(apoE), APP and α₂-macroglobulin(α₂M). The functional roles of LRP in a variety of cells may be partly accounted for by the expression of LRP and its tight regulation.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structure, funnction and regulation of LRP.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LRP with Alzheimer’s disease will be discussed based on the recent research data.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부·모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안상미,방희정 한국여성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8 No.1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ather-moth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t contribution of implicit and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to subjective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4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 in explicit mother avoidant attachment, implicit mother attachment and posi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Female students felt more close to their mother in implicit and explicit attachment. The male students felt more positive affect and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Second,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were almos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le no relationship in implicit paren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mother attachment and positive affect. When male students implicitly felt that they are secure, they felt touchable their father. Third, Only explicit father-mother attachment predicted three 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both male and female. Male’s positive affect was predicted mother avoidant attachment. Parent avoidant attachment in male students and parent anxiety attachment in female influenced nega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was predicted each poosite sex parent avoidant attachment in male and female.

      • KCI등재

        Streptomyces coelicolor의 RraA 동족체인 RraAS2에 의한 Escherichia coli RNase E 활성조절

        안상미,신은경,염지현,이강석,Ahn, Sang-Mi,Shin, Eun-Kyoung,Yeom, Ji-Hyun,Lee, Kang-Se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최근 Escherichia coli에서 RNA의 분해와 가공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인 RNase E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 조절자인 RraA가 밝혀졌으며, 이 단백질은 E. coli RNase E의 효소활성 부위와 36%의 유사성을 가지는, Streptomyces coelicolor RNase ES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coelicolor의 유전체에는 RraA와 아미노산 서열이 35.4% 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두 개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인 rraAS2를 클로닝하여 E. coli RNase E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세포내에서 RraAS2를 발현시키면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해 저해된 세포의 생장을 RraA와 같이 효과적으로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복원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raAS2가 발현됨으로서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해 증가된 ColE1-타입 플라스미드의 복제 수를 14%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raAS2가 RNase E의 RNA I분자에 대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동일한 배양조건에서 E. coli 세포내에서의 RNase E에 대한 RraAS2의 상대적인 발현양이 RraA에 비해 6.2배 낮은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RraAS2가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한 세포 생장의 저해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모든 RNA의 가공과 분해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RraA is a recently discovered protein inhibitor that regulates the enzymatic activity of RNase 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decay and processing of RNAs in Escherichia coli. It has also been shown to regulate the activity of RNase ES, a functional Streptomyces coelicolor ortholog of RNase E, which has 36% identity to the amino-terminal region of RNase E. There are two open reading frames in S. coelicolor genome that can potentially encode proteins having more than 35.4% similarity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RraA. DNA fragment encoding one of these RraA orthologs, designated as RraAS2 here, was amplified and cloned in to E. coli vector to test whether it has ability to regulate RNase E activity in E. coli cells. Co-expression of RraAS2 partially rescued E. coli cells over-producing RNase E from growth arrest, although not as efficiently as RraA, induced by the increased ribonucleolytic activity in the cells. The copy number of ColEl-type plasmid in these cells was also decreased by 14% compared to that in cells over-producing RNase E only, indicating the ability of RraAS2 to inhibit RNase E action on RNA I. We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RraAS2 was lower than that of RraA by 4.2 folds under the same culture condition, suggesting that because of inefficient expression of RraAS2 in E. coli cells, co-expression of RraAS2 was not efficiently able to inhibit RNase E activity to the level for proper processing and decay of all RNA species that is required to restore normal cellular growth to the cells over-producing RNase E.

      • KCI등재후보

        쥐에서 자외선 B가 유도한 염증 반응에 대한 식물 추출물 함유 크림의 영향

        안상미 ( Sang Mi An ),이승진 ( Seung Jin Lee ),박권무 ( Kwon Moo Park ),고재숙 ( Jae Sook Koh ),부용출 ( Yong Chool Boo ) 대한화장품학회 2010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6 No.4

        자외선(UV)은 인체 피부 손상의 주된 요인이고 UV에 대한 피부의 초기 반응들은 홍반과 부종을 포함한다. 화장품에 사용할 효과적인 자외선 방어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세포수준의 효능평가법으로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을 검색하였다. 시험된 총 38종의 식물 추출물들 중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접시꽃(Althaea rosea),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에서 유래한 3종의 식물 추출물이 배양된 인체 표피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뿐만 아니라 UVB의 세포독성을 경감시켰다. 이 식물 추출물들의 항염증 작용은 동물 실험에서도 평가하였다. 대조 크림 혹은 식물 추출물을 1 % 함유한 시험 크림을 C57BL/6 쥐의 귀에 혹은 SKH-1 무모쥐의 등에 UVB 조사 전과 후에 도포하였다. UVB 노출에 의한 영향으로서 부종 생성은 귀의 두께 변화를, 홍반 생성은 등 피부의 붉기의 변화를 측정하여 추정하였다. 3종류의 시험 크림 모두 두 실험 모두에서 항염증효과를 보였다. 제주조릿대, 접시꽃, 또는 관중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자외선 조사 4일째 부종 반응을 각각 53.8 %, 56.4 %, 31.1 % 경감시켰다. 또한 이 크림들은 자외선 조사 2일째 홍반 생성을 각각 45.7 %, 34.1 %, 20.5 % 억제시켰다. 본 연구는 화장품에 함유된 특정 식물 추출물들이 자외선 과다노출로 야기되는 피부 염증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Ultraviolet radiation (UV) is a major cause of photodamages to human skin and the immediate responses of the skin to UV include the erythema and edema. In an attempt to find effective UV-protecting agents to be used in cosmetics, a number of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in the cell-based assays. Among the total of 38 plant extracts tested, 3 plant extracts derived from Sasa quelpaertensis, Althaea rosea, and Dryopteris crassirhizoma attenuated the UVB-induced cytotoxicity as well as melanin synthesis in cultured human epidermal melanocy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se plant extracts were further examined in animal models. A control or test cream containing 1% of a plant extract was topically applied to ears of a C57BL/6 mouse or the dorsal skin of a SKH-1 hairless mouse before and after the exposure to UVB. The change in ear thickness or dorsal skin redness due to UVB exposure was determined to monitor edema and erythema, respectively. All three test creams exhibite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both experiments. The creams containing Sasa quelpaertensis, Althaea rosea or Dryopteris crassirhizoma extract alleviated the UVB-induced edema response on day 4 by 53.8 %, 56.4 % and 31.1 %, respectively. They also inhibited the erythema formation on day 2 by 45.7 %, 34.1 % and 20.5 %, respectively. This study sug gests that the selected plant extracts formulated in cosmetics may attenuate skin inflammation caused by overexposure to UV.

      • KCI등재후보

        화장품 원료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 피부반응에 대한 기기적 평가 연구

        안상미 ( Sang Mi An ),이미영 ( Mi Young Lee ),백지훈 ( Ji Hwoon Baek ),함혜인 ( Hyein Ham ),부용출 ( Yong Chool Boo ),고재숙 ( Jae-sook Koh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1

        인체피부에서 화장품이나 화장품 원료의 안전성시험은 대체로 육안평가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피부반응 초기의 미세한 변화에 대해서 육안으로는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종의 화장품 원료에 의해 유발되는 홍반반응에 대해 육안평가뿐 아니라, 레이저도플러혈류이미지(LDPI) 측정장비를 이용한 혈류변화 측정, Vapometer<sup>®</sup>를 이용한 경피수분손실량(TEWL) 측정,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피부색 측정과 같은 기기평가를 병행하여 비교하였다. 30명의 건강한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오일류 7종, 계면활성제류 6종, 보습제류 5종을 피험자의 등 부위에 24 h 폐쇄첩포(D0)하여 피부반응을 유도하였고 첩포 제거 후 30 min (D1), 24 h (D2)에 육안평가와 기기평가를 각각 실시하였다. 육안평가 결과, 프로필렌글라이콜을 제외한 모든 오일류와 보습제류는 저자극 수준의 피부반응(반응도 0+ ~ 2.9+)을 보인 반면, 프로필렌글라이콜과 모든 계면활성제류는 중자극에서 강자극 수준의 피부반응(반응도 3+ ~ 5+)을 보였다. 기기측정 결과, 육안평가에서 저자극 범주의 피부반응에 대해서 혈류량이나 피부색보다 경피수분손실량이 가장 민감하게 피부변화를 감지하였다. The safety of cosmetics or cosmetic ingredients on human skin is generally evaluated by visual assessment but some early subtle skin changes may not be noticed by the naked eyes. Thu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skin reactions induced by mildly irritating cosmetic ingredients by using a 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 (LDPI) method that measures blood flow, a vapometer<sup>®</sup> that measure s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a spectrophotometer that measures the skin color as the erythema values (a<sup>*</sup>). Visual assessment showed that all tested oils and humectants except propylene glycol belong to the low skin irritation ranges (grades 0+ to 2.9+) while all tested surfactants and propylene glycol belong to the moderate-to strong-skin irritation ranges (grades 3+ to 5+). Among three instrumental methods, TEWL assessment appeared to be more sensitive than spectrophotometric or LDPI method and suitable for the detection of subtle skin response invisible to the naked eye (grades 0+ to 2.9+). Skin reactions of grade 3+ to 5+ could be detected by all three instrumental methods.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sub-clinical skin reactions due to mild irritants contained in cosmetics can be best assessed by TEWL measurements.

      • 부분공기공동을 이용한 마찰저항감소에 관한 기초 연구

        안상미(Sang-Mi An),형택(Hyung-Teak Ahn)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선박 저항을 줄이는 것은 선박 운용비와 CO2 발생량을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선박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탄성 피막법, Riblet방법 등이 사용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기 윤활법을 사용하였다. 공기 윤활법은 선체 표면에 공기를 공급하여 침수 면적을 줄여 마찰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다.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의 회류수조(Circulating Water Channel, CWC)에서 진행된 이번 실험은 유속을 달리하며 공기층의 형성 여부에 따라서 평판에 작용하는 마찰을 계측하는 것이다. 실험 모델은 길이 96cm, 폭 40cm, 두께 2cm인 아크릴 판을 사용하였다. Leading edge에는 반원 모형이고, 가운데 부분은 공기층이 형성 될 수 있도록 홈(70*34*1cm)이 파여 있다. 실험 값과 비교하기 위해 상용소프트웨어 Fluent12를 사용하여 수치계산 값과 비교해 보았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