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넥트를 이용한 모션캡쳐 시스템의 인체 모델 정보 측정 자동화

        신중수,고경리,반성범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 No.

        최근 정보기술 및 문화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는 모션캡쳐 분야이다. 모션캡쳐 기술은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과 같은 문화 산업 뿐만 아니라, 의학, 군사, 스포츠 등의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활용도 높은 기술이다. 기존 모션캡쳐 시스템은 인체 모델 정보를 고정된 인체 비율로 표현하거나,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의 깊이 센서를 통해 실제 관절 길이를 측정하여 모션캡쳐 시스템에 자동으로 인체 모델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인체 모델 정보가 실제 인체 정보와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Motion capture is being spotlighted alongside with recent improv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ulture technology. Motion capture is a highly utilizing technology being applied to not only culture industry like movie, animation and game but also to industry fields like medical science, military and sports. Existing motion capture has an inconvenience that you should express human body data with fixed body ration and input the data manual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motion capture system and suggest a method to apply human model data to motion capture system automatically by measuring actual lengths of joints with kinect's depth sensor. We compared the actual body information to the one we got from suggested method and resultingly confirmed the similarity.

      • MBR-tree : 의미적 검색을 위한 효율적인 이동 객체 위치 인덱스

        신중수(Jung-Su Shin),김동오(Dong-Oh Kim),박춘걸(Chun-Geol Park),한기준(Ki-Joon Ha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5

        이동 객체 데이타베이스 분야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시공간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와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나 이동 패턴 등과 같은 정보를 이용해 미래 위치를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 공간인 도심에서 이동하는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를 효율적으로 인덱싱하기 위해 새로운 현재 위치 인덱싱 기법인 지도 기반 R-tree(MBR-tree)를 제안하였다. MBR-tree는 지도에 존재하는 고정 객체를 이용하여 R-tree 노드의 MBR을 구성하는 인덱스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객체는 고정 객체 내에서 움직이므로 고정 객체를 이용해 MBR을 구성할 경우 이동 객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인덱스 갱신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임의의 영역에 대한 검색이 아닌 특정 건물 및 장소에 대해 검색하는 의미적 검색(예를 들어, “현재 건국대학교에 있는 사람은?”)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인덱스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타셋을 활용하여 해싱, Lazy Update R-tree 등과 성능을 비교한 결과 그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키넥트를 이용한 모션캡쳐 시스템의 인체 모델 정보 측정 자동화

        신중수(Jungsu Shin),고경리(Kyeong-Ri Ko),반성범(Sung Bum Pa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9

        Motion capture is being spotlighted alongside with recent improv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ulture technology. Motion capture is a highly utilizing technology being applied to not only culture industry like movie, animation and game but also to industry fields like medical science, military and sports. Existing motion capture has an inconvenience that you should express human body data with fixed body ration and input the data manual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motion capture system and suggest a method to apply human model data to motion capture system automatically by measuring actual lengths of joints with kinects depth sensor. We compared the actual body information to the one we got from suggested method and resultingly confirmed the similarity.

      •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공간 미들웨어의 개발

        이기영,김동오,신중수,한기준,Lee, Ki-Young,Kim, Dong-Oh,Shin, Jung-Su,Han, Ki-Jo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0 No.1

        최근 GIS 분야에서 공간 분석이나 군사적 목적을 위해 좀 더 상세하거나 넓은 영역의 공간 데이타를 요구함에 따라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공간 데이타 검색에 활용되고 있는 Oracle Spatial이나 ESRI ArcSDE와 같은 기존의 GIS 소프트웨어는 공간 데이타의 안정적인 관리와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많은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저장 구조 및 공간 연산의 복잡성으로 인해 대용량 공간 데이타에 대한 검색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공간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공간 미들웨어는 안정적인 공간 데이타의 관리를 위해 상용 DBMS인 Oracle을 데이타 저장소로써 활용하였으며, Oracle에 저장된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OCCI(Oracle C++ Call Interface)를 이용하였다. 또한,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 연산과 검색을 위해 다양한 공간 연산 기법 및 Array Fetch 기법 등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공간 미들웨어와 Oracle Spatial 및 ESRI ArcSDE의 검색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공간 미들웨어에 대용량 공간 데이타 검색 성능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Recently, because of the need to wide-area spatial data for spatlal analysis and military purpose, there are increasing demand for the efficient retrieval of mass spatial data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fields. Oracle Spatial and ESRI ArcSDE, that are GIS Software, are to manage mass spatial data stably and to support various services but they are inefficient to retrieve mass spatial data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ir spatial data models and spatial oper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patial middleware that can retrieve mass spatial data efficiently. The spatial middleware used Oracle which is a representative commercial DBMS as a repository for the stable management of spatial data and utilized OCCI(Oracle C++ Call Interface) for the efficient access of mass spatial data in Oracle. In addition, various spatial operating methods and the Array Fetch method were used in the spatial middleware to perform efficient spatial operations and retrieval of mass spatial data in Oracle, respectively. Finally, by comparing the spatial middleware with Oracle Spatial and ESRI ArcSDE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proved its excellent retrieval and storage performance of mass spatial data.

      • SCOPUSKCI등재

        피부 화상과 소생법이 뇌순환에 미치는 영향

        김연진,김지웅,신중수,Kramer GC 대한마취과학회 199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2 No.4

        Background: Despite the importance of burn-induced encephalopathy, cerebral hemodynamics after burn injury and during resuscitation remains undefine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large cutaneous burn injury on the cerebral circulation. Methods: Anesthetized sheep(n=8) were prepared with vascular catheters, a urinary catheter and a Richmond bolt for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ing. A scald injury was inflicted on 70% of total body surface area with hot water. Resuscitation was started 30 minutes after scald with Ringer's lactate to restore and then maintain baseline oxygen delivery. Resuscitation maintained blood pressure, cardiac output and urine output at normal levels. Brain blood flow was measured with colored microspheres. Results: During resuscitation intracranial pressure rose slowly from 10.6 1.5 to 17.0 4.0 mmHg(P<0.05) and cerebral perfusion pressure was reduced from 86.4 6.8 to 64.1 2.8 mmHg(P<0.05). During early resuscitation cerebrovascular resistance declined to mainin brain blood flow and oxygen delivery at baseline or better. After 6 hours, cerebrovascular resistance was inappropriately increased during a period of reduced cerebral perfusion pressure which resulted in brain blood flow being half the baseline levels.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autoregulation maintains brain blood flow immediately after burn shock and early resuscitation, but autoregulation may be less effective as burn resuscitation proceeds. (Korean J Anesthesiol 1997; 32: 518∼524)

      • KCI등재

        탄소원을 공급한 폐금은광산 주변 논토양 내 중금속의 지구미생물학적 거동 연구

        고명수,이종운,박현성,신중수,방기문,전효택,이진수,김주용,Ko, M.S.,Lee, J.U.,Park, H.S.,Shin, J.S.,Bang, K.M.,Chon, H.T.,Lee, J.S.,Kim, J.Y.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5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금은광산 주변 논토양에 탄소원을 주입하였을 경우 토착미생물에 의한 중금속의 거동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미생물학적 황산염환원을 촉진하기 위하여 황산염을 주입하였을 경우의 지구화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혐기적 조건에서 오염 토양에 유산염과 포도당 둥의 탄소원을 공급하고 토착미생물을 접종한 후 약 100일 동안 반응시켰으며 반응 시작 후 60일이 경과하였을 때 황산염 250 mg/L를 인위적으로 주입하였다. 유산염을 공급하였을 때 실험 기간 중 pH는 7~8 내외를 유지하였으나 포도당을 공급한 경우에는 초기 24일까지 평균 4.8의 pH를 보이다 이후 7.6까지 증가하였다. 이러한 pH 차이는 포도당을 공급하였을 때 Fe와 대부분의 중금속이 유산염에 비하여 높은 함량으로 용출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실험 초기에 용출된 Fe는 미생물 접종 시료에서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용존 Zn, Pb, Ni, Cu의 경우 유산염을 공급하였을 때 미생물을 주입한 시료와 주입하지 않은 비교시료 간에 뚜렷한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포도당을 공급하였을 때 약 20일 경과 시부터 Zn, Pb, Ni의 함량이 미생물접종 시료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Cu는 비교시료보다 높은 용출량을 나타냈다. Cr과 As는 두 탄소원을 공급하였을 때 모두 미생물접종 시료와 비교시료에서 용출이 지속되었으나, 황산염을 주입하자 미생물 시료에서 용존 Cr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As는 용출이 중단되었다. 황산염 주입 후 반응 용기에서 검은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이를 X-선회절분석한 결과 미생물을 주입하였을 때 침전된 물질은 violarite($Fe^{+2}{Ni^{+3}}_2S_4$)로 추정되며 이는 철환원 및 미생물학적 황산염환원에 의하여 침전물이 형성될 때 중금속이 공침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논토양에서 용출되기 쉬운 중금속이 미생물학적 황산염환원에 의해 고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genous bacteria on geochemical behavior of toxic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paddy soil near an abandoned mine. The effects of sulfate amendment to stimulate microbial sulfate reduction on heavy metal behaviors were also investigated. Batch-typ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lactate or glucose as a carbon source to activate indigenous bacteria in the soil under anaerobic condition for 100 days. Sulfate (250 mg/L) was artificially injected at 60 days after the onset of the experiments. In the case of glucose supply, solution pH increased from 4.8 to 7.6 while pH was maintained at 7~8 in the lactate solution. The initial low pH in the case of glucose supply likely resulted in the enhanced extraction of Fe and most heavy metals at the initial experimental period. Lactate supply exer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mounts of dissolved Zn, Pb, Ni and Cu between microbial and abiotic control slurries; however, lower Zn, Pb and Ni and higher Cu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the microbial slurries than in the controls when glucose supplied. Sulfate amendment led to dramatic decrease in dissolved Cr and maintenance of dissolved As, both of which had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till the sulfate injection. Black precipitates formed in solution after sulfate amendment, and violarite($Fe^{+2}{Ni^{+3}}_2S_4$) was found with XRD analysis in the microbial precipitates. Conceivably the mineral might be formed after Fe(III) reduction and microbial sulfate reduction with coprecipitation of heavy metal. The results suggested that heavy metals which can be readily extracted from contaminated paddy soils may be stabilized in soil formation by microbial sulfate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