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ron 첨가가 박육 구상흑연주철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백상한,최양진,김영환,박용진 ( Sang Han Baek,Yang Jin Choi,Young Hwan Kim,Yong Jin Park ) 한국주조공학회 1994 한국주조공학회지 Vol.14 No.2

        N/A Effects of boron addition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in ductile cast ir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amounts of boron addition and the thickness of specimen have been varied from 0 to 0.4wt% and ø13㎜, ø10㎜ and ø6㎜, respectively. As the casting thickness decreased, the average diameter of spheroidal graphite was decreased and hardness of the cast iron increased. By adding boron, tensile strength increased and had maximum which is about 30∼40% higher than ordinary ductile cast iron with 0.17wt%B addition. With boron adding more than 0.2wt%, ferrite and pearlite gradually transformed to boron carbide, resulting in decrease of tensile strength. The elongation decreased continuously with boron content. The addition of boron about 0.002∼0.4wt% improves the wear resistance and tensile strength of thin ductile cast iron.

      • KCI등재

        ESG 등급이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백상,최정미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ESG 평가등급의 정보 유용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ESG 등급이 이익구성요소인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비재무정보인 ESG 등급이 전통적인 재무정보를보완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ESG 평가등급은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을 추가적으로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다. 이는 비재무적 정보인 ESG 평가등급이 회계정보를 보완하는 정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특히 평가 등급의 고저와 관계없이 ESG 평가등급의 존재만으로도 현금흐름과 발생액의 가치관련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시장에서 ESG 평가등급의 존재하면 이에 대한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기업들로 하여금 ESG 평가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유인이 될 것이다. ESG 평가등급이 이익의 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을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본 연구가 갖는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SG와 가치관련성과 관련된 연구에 보탬이 되었다. 특히 비재무적 정보가 회계정보의 보완한다는 실증분석 결과는 기업들이 비재무적 정보의공시에도 관심을 갖아야 함을 시사하며, 앞으로 시행될 지속가능보고서의 준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둘째, 기업들의 ESG 활동이 이익의 가치관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ESG 활동이 기업의 이익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ESG와 지속가능보고서와 관련된 가이드라인의 제·개정과 관련된 정책 입안과, 정보이용자들의 투자 및 신용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PDGF-BB에 의한 치주인대세포활성에 대한 TGF-{\beta}의 효과

        백상,박진우,서조영,Baek, Sang-Churl,Park, Jin-Woo,Suh, Jo-Young 대한치주과학회 2002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2 No.3

        이 연구는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과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를 농도별로 혼합 주입해서 세포의 증식능, 단백질 및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해 봄으로서 TGF-${\beta}_1$ 이 치주인대세포의 중식과 활성에 대한 PDGF-BB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은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 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률 분리, 배양하여 TGF-${\beta}_1$과 PDGF-BB를 동시에 주입한 군과 TGF-${\beta}_1$를 4, 24시간 전처리 배양한 군과 나누어 실험하였다. TGF-${\beta}_1$, PDGF-BB를 주입하지 않은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DNA 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인대세포에 TGF-${\beta}_1$과 PDGF-BB을 동시 주입하였을 때 DNA 합성능의 효과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1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높았고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병용 투여군에서 DNA 합성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5ng/ml TGF-${\beta}_1$과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 양상을 보였다. TGF-${\beta}_1$ 4시간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 양군 공히 lng/ml PDGF-BB 투여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l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았고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전 처리군에서 DNA 합성능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 였으며 5ng/ml TGF-${\beta}_1$ 전 처리 후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세포에 TGF-${\beta}_1$과 PDGF-BB을 동시 주입하였을 때 총단백질합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l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총단백칠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GF-${\beta}_1$ 4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의 총단백질 합성양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1ng/ml PDGF-BB 투여군에 비해 10ng/ml PDGF-BB 투여군에서 증가 양상이 더 높았고 TGF-${\beta}_1$ 전처리 배양군이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GF-111과 PDGF-BB를 동시 투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교원질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원성단백질의 합성능은 1, 10ng/ml PDGF-BB 단독투여군을 제외하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 합성의 상대적 비율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정향을 나타내었다. TGF-${\beta}_1$ 4과 24시간 전처리 배양군의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교원질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DGF-BB 단독 투여군보다 TGF-${\beta}_1$ 병용 투여군에서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그 정도는 TGF-${\beta}_1$의 농도 의존적인 양상을 보였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 합성의 상대적비율은 TGF-${\beta}_1$ 4,24시간전처리 배양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mbination effects of TGF-${\beta}_1$ and PDGF-BB o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to use as a regeneration promoting agent of periodontal tissu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first premolar tooth extract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were cultured in DMEM/100% FBS at the $37^{\circ}C$, 5% $CO_2$ incubator. Authors measured the DNA synthesis, total protein, collagen and noncollagenous protein synthesi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GF-${\beta}_1$,(1,5ng/ml) and PDGF-BB (1,10 ng/ml) in combination. To explore further this delayed effect of TGF-${\beta}_1$, we preincubat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ith TGF-${\beta}_1$ for 4 or 24 hours before PDGF-BB stim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NA synthetic activity was increased dose dependently by TGF-${\beta}_1$, PDGF-BB. The combination of TGF-${\beta}_1$ and PDGF-BB consistently enhanced the DNA synthetic activity to PDGF-BB alone. The ability of TGF-${\beta}_1$ to enhance DNA synthetic activity in PDGF-BB treat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dose dependent. The maximum mitogenic effect was at the 5ng/ml of TGF-${\beta}_1$ and l0ng/ml of PDGF-BB. Preincubation of cell with TGF-${\beta}_1$ resulted in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 to PDGF-BB at all TGF-${\beta}_1$ concentration studied, and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periodontal regenerative procedures. The total protein, collagen and noncollagen synthesis was increased dose pendently by TGF-${\beta}_1$, PDGF-BB. The % of collagen was sligh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GF-${\beta}_1$, PDGF-BB. The effect of TGF-${\beta}_1$, PDGF-BB were not specific for collagen synthesis since it also increased noncollagenous protein synthes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DGF-BB is major mitogens for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and supports a role for TGF-${\beta}_1$ as a regulation of the mitogenic and total protein formation to PDGF-BB in these cells.

      • KCI등재
      • KCI등재

        ESG 평가등급과 기업특성에 관한 연구

        백상미(Sangmi Baik),최정미(Jeongmi Choi) 한국국제회계학회 2021 국제회계연구 Vol.- No.99

        [연구목적] 본 연구는 ESG 등급에 따른 기업특성을 이해하고, ESG등 급과 재무비율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20년까지 KOSPI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고, 한국지배구조원이 발표한 ESG 통합등급과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분별 등급을 종속변수로 수익성, 재무위험, 성장성을 나타내는 재무비율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ESG 등급과 매출액영업이익률 및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동비율과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부채비율, Beta, 파산위험과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고하였다. 유형자산회전율은 ESG 등급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특성 변수와 관련하여 배당성향이 높아질수록, 기업규모가 클수록, 외국인 지분율이 높을수록 ESG 등급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유 현금흐름이 높을수록, 기업연령이 길수록 ESG 등급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ESG 등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재무비율을 검증함으로써, 정보이용자의 합리적 투자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ESG를 준비하는 기업이나 이미 실행하고 있는 기업이 특정 재무비율을 관리함으로써 ESG등 급을 관리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ESG 등급과 재무비율 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ESG 등급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재무비율과의 연관성을 밝혔다는데 의미가 있다.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ESG rating and firm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financial factors affecting ESG grade. [Methodology] Using a sample composed of KOSPI-listed companies from 2011 to 2020, and the ESG integrated rating announced by the KCGS and the financial ratios representing profitability, financial risk, and growth as dependent variables were empirically analyzed. [Findings] Among profitability ratios, sales operating margin(OPOS) and net return on equity(NOE)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among financial risk ratio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liquidity ratio(CR), a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bt ratio(DR), beta(Beta), and bankruptcy risk(Z) was reported. Among the efficiency ratios, the tangible assets turnover(TP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ESG rating, which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lower efficiency when investment in tangible assets increases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Regarding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ividend propensity(DIV), the larger the company size(SIZE), and the higher the foreign equity ratio(FOR), the higher the ESG rating.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free cash flow(FCF) and the higher the corporate age(AGE), the lower the ESG rating.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grade and financial ratio and reporting that financial ratio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SG grade, information users can estimate ESG grade with a simple financial ratio and reflect it in investment decisions. In addition, companies preparing for ESG or those already running it will help manage ESG ratings by managing specific financial ratios. Above all,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ESG rating and to reveal the correlation with the financial ratio by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SG and the financial ratio.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와 실제이익조정

        백상,양대천,최정미,김진배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6

        This paper investigates how real earnings manage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firm's life cycle, and analyzes which method is used to boost earning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firms in decline stage engage in real earnings management to increase earnings while firms in introduction stage report lower earnings due to expanded investment. In detail, a firm‘s manager in decline stage tends to perform real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ducing discretional expense, and increasing production volume, and at the same time to manipulat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Especially, firms in decline stage cut R&D expenditure and advertising expense to increase earnings while firms in introduction stage increase in spending R&D and advertising expens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counting literature by providing evidence on real earnings management depending on corporate life cycle. By undertaking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n corporate life cycle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this paper contributes to assess firm's strategic reporting behavior and further it will be useful to market participants to make better decisions. BCG(1968), Govindarajan and Shank(1992, 1993) 등은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차별적인 기업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경영자의 전략적 선택이 달라진다면, 경영자는 재무보고에 있어서도 재량적 선택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므로 기업수명주기 단계별로 재량적인 재무보고 행태에 있어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경영자의 재량적 선택의 결과로 실제이익조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도입기 기업들은 실제이익조정을 통해 이익을 하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쇠퇴기의 기업들은 다른 수명주기단계에 포함된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상향의 실제이익조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쇠퇴기 기업들은 재량적지출을 감소시키고, 생산량을 증가시켜 단위당 생산원가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실제이익조정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쇠퇴기의 기업들은 실제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도 동시에 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능한 방법을 모두 동원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량적지출 항목 중 연구개발비와 광고선전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입기 기업들이 연구개발비와 광고선전비를 확대하는 것과 상반된 결과를 보여준다. 기존의 이익조정 관련연구들이 다양한 상황에서의 경영자의 이익조정 유인과 그 결과를 검증해왔는데, 본 연구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경영자의 전략적 선택과 연계하여 이익조정의 유인과 행태를 고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는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