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Mothers'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o Inclusive First Grade Transition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백상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8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d Korean mothers' perceptions about the program transitions from kindergarten into first grade in regular elementary schools. Face to 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15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made program transition recent year. Parents' perceptions were emerged in various issues. Parents often expressed concerns regarding placement choice, lack of information and support from professionals. However, Parents reported that they received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 from other parents.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일반 통합 초등학교로 진학한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진학에 관한 시각을 조사했다. 최근 자녀들의 진학을 겪은 15명의 어머니들과의 면접을 통해 그들이 진학과정에서 겪은 지원과 난관들 그리고 진학과 관련된 활동들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진학을 겪은 어머니들의 진학과 관련한 여려 제안들을 조사해보았다. 대부분 어머니들은 학교선택의 어려움과 정보와 지원의 결여 등을 진학에 관련된 어려움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한 어머니들은 공식적인 학교관련기관에서 보다 다른 장애아동들의 부모들로부터 많은 지원과 정보를 얻고 있었다. 이 연구의 개선점과 아울러 앞으로의 진학에 관련된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생실습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제안

        백상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생실습을 다녀온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인식한 좋은 수업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 경험을 통해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수역량 배양을 위해 교사양성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교생실습을 다녀온 20명의 4학년 예비유아특수교사가 5그룹으로 나누어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현장에서 인식한 좋은 수업은 발달지체 유아에게 알맞은 실생활적인 교육과정, 놀이 중심의 흥미로운 수업, 아동 주도적이고 반응인 수업, 개별화 교수, 그리고 시청각 매체의 효과적 활용과 자연적 환경 등 이였다. 또한 교사양성기관의 교육과정 확대 및 실질적 내실화를 제안하였다. 예를 들면, 장애의 특성에 따른 교수 및 중재 방법, 유아교육 교과 및 실기 확대, 다문화 및 교직 실무 강화 새로운 멀티미디어 교구교재 제작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인성 및 교사관 확립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과 관련한 시사점과 앞으로 연구에 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 service teachers regarding ‘Good Instruction’ and their suggestions to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fte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20 Seniors in 5 group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ir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s included functional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urriculum, and play-based, child-initiated, responsive,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s, as well as effective utilization of multimedia and natural environments. Interviewees suggested that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o expand the curriculum to make it more applicable to the field. For example, the suggestions included more instructional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specific disabilities, more practical early childhood skills, multi cultural curriculum, and practical work in school, and multimedia. lastly,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o inculcate professionalism and build an upright charact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저영향개발 모델링 기법 비교연구: 사례중심으로

        백상수,최한나,박종관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5

        Addressing water-associated challenges is critical for urban watershed management. Low Impact Development (LID) practices have been proposed as a promising urban management methodology based on 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Previous studies considered LID practices as a promising strategy that can control urban stormwater runoff and pollution in the urban ecosystem. With limited stormwater management funding, mathematical models became vital tools to better understand and control hydrological processes in LID; thus, encouraging a wider application of LID practices. As well, they can be useful for implementation of LID in more efficient approaches. Several research groups have developed LID modeling tools such a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System for Urban Stormwater Treatment and Analysis IntegratioN (SUSTAIN), and Western Washington Hydrologic Model (WWHM). EPA SWMM have used widely to simulate LID practices and SUSTAIN can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regarding to LID. WWHM is developed for the long-term simulation of LID. These models can simulate the effect of LID applications on the hydrological cycle and water quality and have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ID in urban areas.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by LID, these models can also generate optimal LID designs. However, these models still have limitation in terms of the soil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by LID because they used simple equation for soil water flow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Therefore, these model need to modify the model mechanism for enhancing the model.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 수문학적 변화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침투와 저류기반을 바탕으로 한 저영향개발 기법이 하나의 해결책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저영향개발 기법은 설치와 관리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의 효과 분석은 필수적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EP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System for Urban Stormwater Treatment and Analysis IntegratioN (SUSTAIN)와 Western Washington Hydrologic Model (WWHM) 모델을 이용하여 저영향개발 기법으로 인한 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을 모의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은 단순히 저영향개발 기법으로 인한 유출 및 오염물질 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비용 및 저영향개발 기법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 설계도 또한 산출이 가능하다. EPA SWMM 모델은 가장 폭넓게 저영향개발 요소 모의 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SUSTAIN 모델은 비용-효율분석이 가능하다. WWHM 모델은 저영향개발 요소의 장기모의 분석을 위해 개발이 되었다. 이러한 수치 모델을 이용한 저영향개발 기법 모의는 이러한 효율적인 저영향개발 기법 설치 및 관리에 많은 정보를 제공이 가능하다. 각각의 모델의 장점을 이용하여, 저영향개발 요소를 모의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질 기작과 토양 내 물흐름 모의 경우 한계점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이러한 모델의 한계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이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백상수,박영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101 research cases in 54 articles that implemente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general.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grade was greatest for preschool students, followed in the order of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time of implementation,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proved to be effective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hour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hours. With regard to the method, the mean effect size was greater for video-based programs, programs with disability simulation activities, and programs using both videos and activities than for lecture-based programs. Both the teacher and the researcher produced a high effect size,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structor. In respect of the environment, programs in both inclusive and non-inclusive classrooms had an equally large effect size.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periods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while the mean effect size was higher for groups of more than 31 students rather than groups of less than 30 students. Lastly,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were reveale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emotional aspects than on behavioral aspects. Taking these findings into consideration, it is required for the teacher or researcher to create an effective environment for implementing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전반적인 효과와 각 조절변인별 중재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연구 54편 중 101개의 연구 사례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개선에 상당히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평균 효과크기는 유치원생의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중학생, 초등학생, 고등학생의 순서로 중재 효과가 나타났다. 중재 시간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정규수업 내와 정규 수업 외에서 모두 큰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그룹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재 수단별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영상활용중심, 체험활동중심, 영상 및 체험을 포함한 통합형 프로그램이 강의 중심의 장애이해 프로그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효과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제공자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실시한 경우와 연구자가 직접 실시한 경우 모두 중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중재 상황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통합환경과 비 통합환경 모두에서 중재효과가 유사한 수준에서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중재회기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중재회기의 횟수에 따른 평균효과 크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실시 집단의 구성원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수가 31명 이상인 경우가 30명 이하의 집단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른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정의적인 면에 미치는 효과가 행동적인 면에 미치는 효과크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교사 혹은 연구자들은 일반 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통합유치원 장애 유아의 또래 관계 변화와 또래 관계 유능성과 장애 유아 수용도가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백상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약 5개월간 3차례에 걸쳐 통합유치원 재원 중인 특수교육대상 유아들의 또래 관계 변화를 또래 지명법과 사회연결망 분석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또래 관계 유능성과 장애 유아 수용도이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통합거점 유치원 5곳의 만4세, 5세 학급 각 2학급씩 총 10학급의 19명의 특수교육대상 유아와 241명의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대상 유아들의 또래 관계는 독립된 소그룹형태의 제한된 형태가 지속되고 있었고 이들의 또래 관계는 시간이 지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한편 유아들의 또래 관계 유능성과 장애 수용도는 또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중앙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놀이에 초대한 통합반 유아들과 이들을 초대하지 않겠다고 지명한 통합반 유아들의 장애수용도 전체 및 그 하위 범주인 장애 유아와의 상호작용 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현직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로봇기반교육(R-learning) 관심도 비교연구: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백상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r-learning. Concern Based Adoption Model(CBAM) instrument of Hall and Hord (2001) was used to survey the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spite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both respondents’ level of use(LoU) was non-user pattern. However, in-service teachers with robot experience and high competence have significantly higher concerned level on Management stage than their counter partners without robot experience and competence.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r-learning practice and in-service training also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Hall과 Hord(2001)가 개발한 관심중심수용 모형(CBAM)을 활용하여 R-learning에 대한 관심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특별히 연구대상의 로봇교수활용경험과 효능감 정도의 차이에 따라 관심도와 사용자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 모두 R-learning에 대해 비사용자의 인식 패턴을 보였다. 하지만 로봇교수활용경험과 높은 효능감을 가진 유아특수교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또한 비사용자적 유형과 사용자적 유형이 혼재하는 전환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CBAM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고, R-learning과 관련된 현장과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 오리엔티어링 캠프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백상수,오정숙,최종필 대구경북체육학회 2016 체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an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orienteering camp programs through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on the activities of camp participants. The subjects are 37 instruct ors, 377 elementary through highschool students, and their 144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rienteering cam p run by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First, the instructors assessed the orienteering facilities, surroundings, t uition fee, apparatus, expectations, and accomplishments as good, and the students did the satisfactions as so. Se cond, the camp programs were rated positively in the parts of student participants' s social personality and conv enience and professionality of the programs, but it is still required to improve in promotions, goal-oriented syste ms, functional experience and training, overall conditions, and the camp operations. Third, the strong points of t his camp were shown in various parts; the forest experience opportunities, communication with children, coopera tion experience, initiative improvement, enterprising mind and problem solving ability, physical training, positive t hinking and sociality cultivation, etc. However, the weak ones were also shown in the parts of professional instr uctors, diversity of the programs, team-oriented programs, program effectiveness, and the facilities and surroundi ngs. Forth,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sustain ability] factors were safety managements and educations, progr am PR and information offerings, the instructor managements, the durability and continuity of the program, clea rer teaching goal and systematic education course, and understandings on learner traits, and [improvement effor t] factors were the maintenance of the program durability, teaching apparatus and materials development, and e ffective program opera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SWOT analysis, inducement of interest on physical training, stress reduction, and family-participation were assessed as strong points, but the lack of the program clarity, dur ability, and the program PR as weak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