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기상담의 성과 평가 모형 개발

        박선하,유형근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assessing the outcome of brief counseling thereby developing a brief counseling outcome assessment model. As the research process, first of al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dimensions of the assessor and the timing of the assessment, the assessment content and the assessment method. Assessment contents and methods for each timing of assessment according to assessor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contents in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In the third Delphi survey, the most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each assessment content. Applying the draft model to the actual case, we received feedback from our counselors and clients. This study completed the final model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draft model based on the opinions of counselors and cl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ief counseling outcome assessment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dimensions of the timing of assessment, assessor, assessment contents, and assessment method. The timing of assessment consists of a process assessment and a final assessment, and the assessor is composed of counselors, clients, and third parties. The assessment method consists of self-reporting, a counselor's question, an observation of behavior, and a questionnaire. The assessment content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assessment and the assessor. Second, in the process assessment model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e assessment, assessment contents by area of ‘work alliance’, ‘setting goals’, ‘self-acceptance’ and ‘change of behavior’ were derived. The final assessment model produced an area-specific assessment of ‘change in symptom or functional level’, ‘counseling satisfaction’, ‘personal change’ and ‘change in social relationships.’ Third, the assessment content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assessor who assesses the outcomes of brief counseling. There were the same outcomes of brief counseling that could be assessed by assessor, but there were other things depending on the assessor. Fourth, the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 for th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ssessors such as; counselor’s questions for the counselor, self-reporting for the client and behavioral observation for the third party were mainly derived respectively. Fifth,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draft model to the actual counseling case, the counseling outcomes were assessed and discussed by the counselor and clients together. Some assessments were similar to those seen by counselors and clients, but others were perceived differently.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상담의 성과 평가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단기상담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단기상담과 상담 성과에 대한 문헌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상담 성과 평가자, 평가 시기, 평가 내용, 평가 방법의 4가지 차원으로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문헌고찰 및 심층면담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시기에 따라 평가자별 평가 내용 및 방법을 도출하였다.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로 평가 내용의 타당성이 검토되었으며, 3차 델파이 조사로 각 평가 내용에 따라 적절한 평가 방법이 선정되었다. 모형의 초안을 사례에 적용한 상담자와 내담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모형이 완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상담의 성과 평가 모형의 차원은 평가 시기, 평가자, 평가 방법, 평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평가 시기는 과정 평가와 최종 평가, 평가자는 상담자, 내담자, 제 3자, 평가 방법은 자기보고, 상담자의 질문, 행동관찰, 질문지법, 평가 내용은 평가 시기 및 평가자에 따라 구성되었다. 둘째, 평가시기에 따라 과정 평가에서는 ‘작업동맹’, ‘자기수용’, ‘목표 설정’, ‘행동 변화’의 영역, 최종 평가에서는 ‘증상 혹은 기능 수준의 변화’, ‘상담만족도’, ‘개인적 변화’, ‘사회적 관계 변화’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평가자에 따라 도출된 평가 내용은 서로 유사한 내용도 있었지만 다른 내용도 있었다. 넷째, 평가자에 따라 평가내용에 적절한 평가 방법으로 상담자는 상담자의 질문, 내담자는 자기보고, 제 3자는 행동관찰이 주로 많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사례 적용 결과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본 모형을 활용하여 상담 성과에 대해 논의할 수 있으며, 상담자와 내담자가 유사하게 보는 내용도 있지만 서로 다르게 인식하는 내용도 나타났다.

      • KCI등재

        Sol-Gel법을 통한 리튬 기반 전해질에 적합한 니켈 산화물 박막의 제조와 리튬 기반 전해질에서의 전기변색 특성

        박선하,유성종,임주완,윤성욱,차인영,성영은,Park, Sun-Ha,Yoo, Sung-Jong,Lim, Ju-Wan,Yun, Sung-Uk,Cha, In-Young,Sung, Yung-Eun 한국전기화학회 2009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2 No.3

        In this study, we fabricated nickel oxide thin film for lithium based electrolyte using sol-gel method. This film was deposited by dip-coating method with mixed solvent of DameH (N,N-dimethylaminoethanol) and DI water. As changing the ratio between DmaeH and DI water, nickel oxide thin film was presented in different charge density and optical transmittance because they were shown various thickness. It was accounted for changing viscosity and density by the ratio of DmaeH and DI water. The thin film synthesized with 1 : 1 ratio of DmaeH and DI water was expressed best electrochromic performance in lithium based electrolyte, because of thick thickness but porous structures.

      • KCI등재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 평가를 위한 표면 근전도 검사의 융합적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박선하,배수영,김정은,박혜연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5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thod of applying sEMG to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elderly at each stage of swallowing, and to help objectively measure the swallowing stage of the older adults in clinical practice. From 2011 to 2021, 7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using Pubmed, Scopus, and Web of Science (Wo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lder adults and adul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swallowing phase was analyzed using sEMG only for the older adults. sEMG was used to evaluate swallowing in the oral and pharyngeal stages, and the sEMG attachment site was attached to the swallowing muscle involved in each stage. The collected sEMG data were filtered using a bandpass-filter and a notch-filter, and were analyzed using RMS, amplitude, and maximum spontaneous contract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EMG can be used as a tool to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in stag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ctivate various studies that incorporate sEMG to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in stages.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적용한 방법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노인의 삼킴 단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2011 ~ 2021년까지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WoS)를 활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과 성인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거나 노인만을 대상으로 삼킴단계를 표면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강단계와 인두단계의 삼킴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부착 부위는 각 단계별 관여하는 삼킴 근육에 부착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는 대역통과필터와 노치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었고, 제곱평균제곱근, 진폭, 최대자발적 수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 검사가 단계별 삼킴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단계별 삼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자인 침해판단에서 공지부분을 포함하는 디자인의 유사판단에 관한 소고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선하,양인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2 지식재산연구 Vol.17 No.1

        There is a difference in how to handle designs including known partial form between the determination of eligibility for registration and the judgment 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registered design. Furthermore, if the registered design includes some known or publicly well-known parts, it is not easy to guarantee objectivity in the judgment of design similarity. In this paper, we reviewed how judgments are made in domestic and Japanese precedents, in order to find concrete methods for similarity judgments of designs including known form. In Japan, various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the known forms in design have been presented, along with more specific viewpoints and methods for judging similarities of designs. On the other hand, in our case, the method of judgment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c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alize the judgment method so that consumers including designers can easily predict similarity judgment result. Like Japan, we should establish single standard of design similarity which may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deciding validity and confirming scope of design right. Also when considering designs that include known parts, we should evaluate them in the context of whole design in order to determine width of creativity. 디자인의 등록 적격 여부를 가리는 신규성 판단 단계와 등록된 디자인의보호범위를 정하는 침해판단 단계에서 디자인의 유사라는 개념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나, 그 판단 단계의 성격의 차이에 따라 공지된 형상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차이점이 있다. 우리 법원은 등록된디자인의 보호범위를 정하는 침해판단 단계에서는 공지부분의 중요도를 낮게 보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다만 실무적으로, 공지된 부분들을 모아서 조합한 것이 창작성이 인정되어 등록된 경우나, 등록된 디자인 중 공지된 부분을 일부 포함하는 경우, 유사판단은 객관성을 담보하기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공지된 부분을 포함하는 디자인의 유사판단에 대한 구체적판단방법 모색을 위해, 국내 및 일본 판례 등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일본의 경우 공지부분을 참작하는 이유에 대한 고민과 함께 구체적인 판단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우리의 경우 개별 사건에따라 공지디자인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존재하고, 판단방법도 사안에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었다. 우리의 경우도 일본과 같이 침해소송 등에서무효의 항변 등이 가능한바, 디자인의 유사판단 기준은 침해판단 단계나 등록요건판단 단계에서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침해판단 단계에서 공지부분을 참작하는 것은 등록디자인의 창작의 폭을 검토하기 위한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자인의 유사판단 시 개별 구성부분으로 분해하여 살피더라도, 그 구성부분들은 디자인의 전체적 맥락 속에서 존재함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