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상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지식재산연구 Vol.1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firm industry and IP activity characteristics on the need for an Intellectual property(IP) creation, utilization and protection policies by using the Survey on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Activities in Korea in 2012. Empirical analysis was employed to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to take the interrelationship of individual policies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IP creation policies is correlated with one other. In other words, companies with a high need of a particular IP creation policy should also highly recognize the need for other policies. Second, firms with high utilization rates of IPRs represented by patents had a higher preference than for various IP policies. Third, activities related to IP and the innovation capacity of firms were found to provide a significant effect on firms’ preference for IP policies. Fourth, the companies belonging to the low-technology industry with experienced infringement of IPRs highly recognized the need to strengthen the crackdown on fake and imitation good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cy, it is important to attract interest of the companies for IP policies through tailored polici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rather than promoting various policies. In addition, the crackdown on fake and imitated goods will be able to enhance the effect of enforcement when it is run around areas where a lot of infringement occurred in low-technology industri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imeliness of policy recommendations due to limitations in access to recent data. 본 연구는 지식재산 창출·활용·보호 정책의 필요성에 기업, 지식재산활동, 산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2012년 지식재산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별 정책들의 상호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다변량 프로빗(multivariate probit)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 창출·활용·보호 정책 필요성에 대한 기업의 인식은 상호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정책의 필요성이 높은 기업들은 다른 모든 정책들에 대해서도 그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둘째, 특허로 대표되는 지식재산권의 활용도가 높은 기업들의 경우 다양한 지식재산정책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업적 특성과 대중소 등 기업의 외형적 특성보다는 기업의과거 지식재산 활용 경험과 기업의 혁신역량이 정책의 선호에 보다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재산권 침해를 경험한 기업들과저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경우 위조 및 모방상품 단속 강화의 필요성을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의 홍보보다는 기업의지식재산 활용 및 혁신 특성에 맞는 정책홍보를 통해 지식재산권 정책에 대한 기업의 관심을 끄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위조 및 모방상품 단속의경우 저기술 산업에서 침해가 많이 발생한 분야를 중심으로 수행될 경우 보다 단속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는 자료에 대한 접근성의 한계로 인하여 최신자료를 활용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제언의 적시성 측면에서의 한계가 존재한다.
박경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1
The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curriculum was established in 2015 and started to apply to high schools in 2018.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the curriculum. First, even though the subject name is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the curriculum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patent rights. Second, several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appropriate for high school teachers’ and learners’ levels. In 2017, the operation of 9 model schools turned out that it is resonable to run the subject at least four-hour system per year and the lack of regular classes could be compensated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2018, the Government designated 22 schools as IP leading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in which 14 schools(64%) ran the subject with four-hour per year. The survey showed that teachers had difficulty in carrying out convergence education due to the shortage of teaching hours, and in applying IP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s. Finally, three current tasks are discussed for the dissemin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high schools; 1)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2) development of IP project 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3) revision of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curriculum for IP education by life cycle. 2015 개정 ‘지식재산 일반’ 교육과정이 신설되어 2018년부터 교과서가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에서문제점이 발견된다. 첫째, 과목명이 ‘지식재산 일반’으로 명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의 구성, 내용요소 및 성취기준이 지식재산권의 전반적인내용이 아닌 특허권에 편중되어 개발되었다. 둘째, 일부 성취기준이 교사와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수준으로 개발되었다. 2017년도에 ‘지식재산 일반’ 연구 협력학교 운영을 통해 교육과정 편성 상, 연간 4단위 이상의 수업 배정이 바람직하며, 정규 교육과정에서 부족한 수업시수는 창의적 체험 활동 등의 비정규 교육과정을 통해서 보완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18년도부터 22개 ‘지식재산 일반’ 선도학교를 지정하여 운영한 결과, 14 개(64%) 학교가 연간 4단위 이상의 수업을 운영하였다. 선도학교 교사들은과목에 대한 인식과 홍보 부족이 지식재산 기반 융합교육의 원활한 수행을방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아이디어 창출을 통한 시제품 제작과 프로젝트 학습 수행에서 어려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에서 지식재산교육의 보급 및 확산을 위해서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지식재산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그리고 생애 주기별 지식재산 교육과정 개선의 세 가지 측면에서 당면 과제를 논의하였다.
계층적 분석기법(AHP)을 이용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이규녀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6 지식재산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intellectual propertye-learning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to figure out the relative priority of the e-learning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learning content, the int ellectual property right(B) is most covered in a functional area with 43.89%, followed by the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A)(19.60%),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C)(18.52%), mana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E) (11.95%), and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D)(6.04%). Second, professional respondents p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learning on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C)(24.7%),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D)(20.6%), and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A)(20.3%). In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actual condition of e-learning, the ranking and importance are so different that the e-learning supply system needs more improve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the content of core job, such as the creation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needs to be fully maintained and managed according to recent trends, and the future-oriented job-based content such as responding to the conflict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its application, needs to be newly developed and operated. 이 연구는 지식재산 이러닝의 실태를 분석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직무영역은 지식재산 권리화(B) 43.89%, 지식재산 창출(A) 19.60%, 지식재산 보호(C) 18.52%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협의회에서 지식재산권 확보(B-3)와 지식재산 정보분석(E-2)의 적합성은 적절하지만 나머지 10개 분석준거 관련 콘텐츠는 신규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응답한 전문가들은 이러닝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지식재산 보호(C) 24.7%, 지식재산 활용(D) 20.6%, 지식재산 창출(A) 20.3%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이를 이러닝의 실태와 비교 분석하면 그 순위와 비중이 서로 상이하여 이러닝 공급체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식재산 이러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의 창출 및 보호와 같은 핵심 직무의 콘텐츠를 최신 동향에 맞추어 충실하게 유지·관리해야 하고, 지식재산 분쟁대응 및 활용과 같은 미래지향적인 직무 기반의 콘텐츠를 새롭게 개발·운영해야 할 것이다.
손승우,김태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3
Knowledge, information and technology are important materials in the national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intellectual property(IP) financing policies for boosting IP practices. The secured transaction based on IP is an useful tool to finance the small and middle sized enterprises which have technology as main company assets. Until now, IP secured transactions have not invigorated and the lender prefers real estate or sales figure as collaterals though we have legal system about a IP security intere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Intellectual Property which recommends to develop the business models for IP security interests service. In addition, the government also enacted the Act on Secured Transaction on Movable property and Receivables in 2010 after studied the Supplement on Security Rights in Intellectual Property of UNCITRAL Legislative Guide on Secured Transactions, and other legisla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KIPO) signed a working agreement as to booming up of IP financing policy in March 2013 with the Korean Development Bank(KDB) before starting IP security loan. It is expected to implement IP secured transactions successfully in real market if the reliable evaluation method on IP value sets up alone with early support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To promote IP security, the scope of collateral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potential IP rights and trade secret. The government should also adopt acquisition financing to provide incentives for lenders. More significantly, a package collateral including movable property,receivables and IP together should also considered as a useful tool, and the registry systems harmonized as well. 오늘날 국가경제의 중심에는 지식, 정보, 기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지식재산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식재산금융 서비스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인 지식재산 담보는 부동산 자산이 부족한 기술집약형 중소벤처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한 유용한 제도이다. 기존에 법제도적기반은 존재하였지만 부동산 또는 기업의 매출실적 위주의 대출관행으로 인하여쉽게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2011년「지식재산기본법」을 제정하였고 지식재산 담보지원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유엔국제상거래법위원회에서 채택한「UNCITRAL 동산·채권 담보거래에 관한 입법지침」의 부속서인「지식재산 담보거래에 관한 입법지침」과 외국 입법례를 연구하여「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을 2010년에 제정하였다. 2013년 3월에는 특허청과 산업은행이 지식재산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지식재산담보대출을 시작하였는데 신뢰성 있는 가치평가 모델과 정부의 초기 유인정책이동반된다면 금융시장에서도 연착륙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식재산 담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래에 발생할 지식재산권이나 영업비밀 등도 담보로 제공될 수 있도록 대상범위를 확대하고, 금융제공자에게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취득담보금융을 도입하고, 기업이 보유한 동산, 채권 및 지식재산을 일괄적으로 담보에 제공하는 방안과 공시된 권리 관계를 한 번에 파악할 수있는 등록시스템의 개선이 요구된다.
지식재산 이러닝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이규녀,박기문,하홍준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4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s of systematic and efficientmanagement system for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contents, whichwould help train talented individuals of job-oriented intellectualproper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41 capability factors of job skills profile of intellectualproperty personnel were derived from entry level tasks and weredivided by 9 middle areas and 4 large areas. Second, correction/modification of the job skills profile generated5 large areas, 12 middle areas, and 34 capability factors after feasibilitysurvey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council with experts. These were derived from the entry level tasks of intellectual propertypersonnel and should be selected as subj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contents. In addition, they could be used as criteria forcollecting relevant data in analyzing status and contents of each subject,and preparing contents evaluation system for maintenance,improvement and discard. Third, jobs that are relatively important in job skills profile andalso frequently performed should be selected and maintained as newcontents or correction/modification contents. Specifically, since creation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ecuring a right of intellectual property were shown to be such, new development of the relevant contents ormaintenance according to contents evaluation results is urgently needed. In conclusion, analysis of status and content of e-learning contentsand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plan through data collectionincluding evaluation of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contentsof job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train talented individuals inintellectual property in this capability-oriented society based on creationof intellectual property, securing a right of intellectual property,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and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related jobs. 이 연구는 실제적 맥락에서 직무 중심 인재 양성과 더불어 지식재산 국가 핵심인재를 위하여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체제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 분야의 직업세계에서 입직 초기에 수행 가능한 지식재산 인력의 직무능력 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41개 작업(entry level tasks)을 도출하여4개 대영역, 9개 중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구안한 직무능력 프로파일에 대하여 설문조사, 전문가협의회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5개 대영역, 12개 중영역, 34개능력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식재산 인력의 입직초기 작업들에서 도출된 것이므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의 주제로 선정되어야 하며, 각 주제의 현황 및 내용분석, 유지와 개선 및 폐기의 콘텐츠 평가체제 마련 등의 근거 데이터를 확보하는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개발된 직무능력 프로파일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하면서 자주 수행되는작업들을 우선적으로 신규 콘텐츠 또는 수정·보완 콘텐츠로 선정하여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지식재산 권리화와 지식재산 창출은 중요도와 빈도가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이와 관련된 콘텐츠는 신규 개발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콘텐츠의 세부적 평가에 따른 유지 관리가 시급하다. 결론적으로 능력을 중시하는 능력중심사회에서 지식재산 인재 양성을 위하여지식재산 창출, 지식재산 권리화, 지식재산 보호, 지식재산 활용, 지식재산 경영관련 직무를 기준으로 이러닝 콘텐츠의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고, 직무의 중요도,난이도, 빈도, 그리고 콘텐츠 평가 등 데이터 확보를 통한 지식재산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이스라엘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성상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3
IP finan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rporate finance and alternative investment. The market for IP fin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investment is rapidly growing as the profit potential of IP investment has been re-evaluted in the midst of low general interest rates, liquidity improvement, development of IP financing techniques by institutional investors, growth of IP market, and growing number of high-end patent litigation cases. This study presents three conditions for revitalization of IP finance. First, the steady supply of IPs with the independent value and trade potential must be ensured, and the IP system that provides the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established. Second, investment funds and investment institutions that invest in IP should be expanded. Third,efficient markets for IP transaction and exit transaction must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ases of US and Israel for the changes in the gover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 and in the firms’strategies relating to the three factors for the revitalization of IP finance and analyze the results. And then this study presents the high priority tasks to be undertaken for the revitalization of IP finance in terms of the change of direction in the means of IP protection and restoration,creation of bases for expanding the IP investment institutions. 지식재산 금융은 기업 금융과 대체투자(alternative investment)의 성격을동시에 가지고 있다. 특히 전반적인 저금리 기조와 유동성 증가, 기관 투자자의지식재산 금융 기법 개발, 지식재산권 거래시장의 성장, 고액 특허 소송 사례의증가에 따라 지식재산 투자를 통한 재무적 수익 가능성이 새롭게 평가되면서 대체투자의 성격을 가진 지식재산 금융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를 위한 세 가지 요건을 제시한다. 첫째,독자적인 가치와 거래 가능성을 가진 지식재산의 지속적인 공급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지식재산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지식재산에 투자할 수 있는 모험자본의 양적 증가, 투자기관의 확대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 지원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효율적인 지식재산 거래시장 및 투자회수시장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사례를 통해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의 세 가지 요건과 관련된 정부 정책과 제도의 변화, 시장 환경 및기업 전략 변화가 투자 활성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이를 통해 국내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지식재산 보호 및 구제 수단의 방향 전환, 지식재산 전문 투자기관 육성 기반 마련, 투자회수 시장의활성화 측면에서 각각 제시한다.
이재훈,김영준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4
This paper analyzed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under domestic laws and arranged the differences in its meaning. Among them, four cases were categoriz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ased on how the ‘intellectual property’ use cases included the concept of works through a harmonized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format with the relevant statute text.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research and their analysis are regarded as basic data that can then be used as the enactment, revision, legislation and various policy data of domestic laws.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was grouped step by step to draw up a resolution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policies and related legislation for scientific technology researchers, and the existing articles identified in domestic laws were presented as examples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범정부적인 지식재산 정책 수립 강화를 위하여 2011년 「지식재산기본법」이 제정된다. 이때부터 비로소 ‘지식재산’이 법률에 정의된다. 처음에는 용어 논란도 있었으나, 이후 각 부처는 ‘지적소유’, ‘지적재산’이 아닌 ‘지식재산’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7년이 지난 지금 제·개정되는 법령, 정책 관련 문헌·보고서 등을 살펴보면, 인간이 창작한 무체물에 대한 총칭(總稱)은 지식재산이라는 용어로 어느 정도 일원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국내 각 법령에 존재하는 지식재산이라는 용어가 정확히 어떤 의미를 지니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거나 연구한 자료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법령상 동일하게 사용되는 이 ‘지식재산’이라는 용어 간의 의미 차이를 분석하였다. 지식재산이 조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현행 135개의 법령을 토대로 조문 내 관용구와의 조화로운 해석, 표현 형식 등을 기준으로 용례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국내 각 법령상의 조문을 일부 사례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논문은 이후 지식재산 관련 국내 입법 및 각종 정책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논문은 국내 현행법 상 존재하는 동일한 용어에 대한 용례 차이에 대한 초석으로서, 추후 지식재산 관련 법령 제·개정 시 지식재산이라는 용어의 용례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 선행 자료로서 충실한 역할을 할 것이다.
지식재산 전문인력의 인식에 기반한 지식재산 이러닝 발전방안
이규녀,박기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 way for developing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based on awareness of intellectual property experts at domestic and foreign to cultivate intellectual property experts and lead e-learning market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64.24% of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design e-learning teaching that encourages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adjustment of level of difficulty of contents which considers the level of students. Second, those surveyed said that they prefer blended method in which on-line and off-line are mixed in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and they need patent rights (protection)with basic and advanced level. Preferred languages in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education are English, followed by Chinese,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developing and operating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to expand students who study intellectual property into Chinese-speaking world as well as English-speaking world. Third, devised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education programs (40 programs) are found above average (M=3.00)and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Intellectual Property Terminology &Introduc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Laws Outside Korea(US, Europe, etc.)’, ‘International Law: Theory and Practice’, ‘Understanding the Paris Convention and the WTO/TRIP Agreement’,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Trademark Treaties’ that a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e survey. Fourth and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contents of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and improve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based on awareness of experts at domestic and foreign. A way to attract students of advanc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in cooperation with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should be sought to develop and operate contents of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and improve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In addition,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Center (tentative name)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to support intellectual property e-learning. 이 연구는 국제적인 지식재산 인재 양성과 지식재산교육의 이러닝 교육시장을선도하기 위하여 국내·외 지식재산 인력의 인식에 기반한 지식재산 이러닝의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국내·외 인원의 64.24%가 지식재산 이러닝에 대하여대체로 만족하지만, 응답자들의 개선 요구에 따라서 지식재산 이러닝은 학생들의수준을 고려한 콘텐츠의 난이도 조절과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을 독려할수 있는 이러닝 교수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지식재산교육의 선호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혼합하는 블랜디드 방법이며, 콘텐츠는 소양교육과 전문교육의 난이도를 가진 특허권(보호) 분야를 요구하였다. 지식재산 이러닝의 지원언어는 영어, 중국어 순으로 선호하였다.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영어권과 중국어권 개도국까지 교육생을 확대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교수·학습 방법 및 자원이므로 지식재산 이러닝을 개발·운영하는 데 반영이 요구된다. 셋째, 구안한 국제 지식재산 이러닝 교육프로그램(40개)은 모두가 보통(M=3.00) 이상으로 타당하게 나타났으며, 국내·외 응답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지식재산 용어 및 입문’,‘ 주요 지식재산권법 연구’,‘ 국제법 연구및 실무’, ‘파리 협약 및 WTO/TRIPs 조항 이해’, ‘상표권 관련 국제조약 조항이해’등 5개는 국내·외 인력 대상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전문인력의 인식에 기반한 지식재산 이러닝의 개선 노력과 국제 지식재산 이러닝의 콘텐츠를 주도적으로 개발·운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재산 선진국과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공동 개발과 선진국 및 개도국의교육생들까지 유입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이를 전담하는 지식재산 이러닝의 인·물적 지원체제로서‘국제 지식재산 이러닝 센터(가칭)’의 설립과 운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노민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2 지식재산연구 Vol.7 No.4
Recently, more leading nation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tax incentive policies. Korea’s R&D tax policies are assessed to be globally competitive, however the tax incentives on intellectual property are lacking and the benefits are continuously contracting. Also systematic analysis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tax policies is insufficient in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ax policies around the world and in Korea by analyzing main issues and problem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measures on intellectual property tax policy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evidences.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in building a foundation on which corporates’ activities to link R&D with intellectual property can successfully sett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upport spending on intellectual property through R&D tax credit programs, increase tax credit support on technology acquisition fees, and expand the applicability of non-taxable income tax to the compensation on invention related to the duties. 최근 들어 주요 국가들의 지식재산 관련 조세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프랑스, 포르투갈의 경우 지식재산 관련 비용 지출시 연구개발 조세지원을 통해 세제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며, 중국과 유럽 7개국은 특허 관련 소득에 대한 조세혜택(Patent Box)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지식재산 기부에 대한 조세지원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영국의 경우 2013년부터 Patent Box 제도 도입을 공표하였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관련 조세지원은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연구개발의 결과로 도출되는 지식재산과 관련된 조세지원은 지원혜택이 계속해서 축소되는 등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지식재산 조세지원에대한 체계적인 분석 또한 아직까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지식재산 조세지원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지식재산 조세지원 관련 주요 이슈와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기업의 R&D와 지식재산을 연계하는 기업의 경영활동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업이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출원이나 등록을 하는 경우 관련 비용을 연구개발 세액공제 적용대상에 포함시킬필요가 있다. 둘째, 중소기업에만 적용하고 있는 기술취득금액에 대한 세액공제를대기업까지 확대하고, 세액공제율을 연구개발 세액공제 수준으로 확대할 필요가있다. 셋째, 소득세법상 비과세가 가능한 직무발명보상금의 범위에 지식재산권의등록여부와 관계 없이, 회사에서 개인의 직무발명에 대해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서지급하는 정당한 보상의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조문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이 지식재산활동을 매개로 하여 지식재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상운,유왕진,이중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5 지식재산연구 Vol.10 No.3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rect effect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targeting 298 venture enterprises which received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First, all variables of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affected the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Second,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mediated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Thir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ctivity among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enhanced the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in rela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In conclusion, venture enterprises need to have arrangements for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methodology and work process to maximize the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appropriate to them. In addition, they need to have omnidirectional efforts for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in order to establish more fundamental and more effective intellectual property infrastructure and enhance capacity. 본 연구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를 받은 벤처기업 298곳을 대상으로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과 지식재산성과 간의 직접효과와 지식재산활동의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의모든 변수는 지식재산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지식재산활동은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과 지식재산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특히, 서비스품질 중 부가적 혜택과 물리적 환경이 지식재산성과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지식재산활동 중 지식재산보호활동이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과의 관계를 통하여 지식재산성과에 효과를 높였다. 이것은 보호활동이 특허 출원 전 후 광범위한 분야에서 진행되므로, 향후 벤처기업에서 지식재산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특허 실무에 충실하고, 전담조직, 시스템 구축 등 꾸준한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벤처기업에 맞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경영 컨설팅 방법론 및 업무프로세스 마련이 필요하며, 보다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지식재산 인프라 구축 및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전 방위적인 지식재산활동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