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화석지 손상도 정밀진단 기반 보존관리체계 연구

        양혜리(Hye Ri Yang),이규혜(Gyu Hye Lee),이찬희(Chan Hee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6

        The tracksite of dinosaurs and pterosaurs in Sanbuk-dong of Gunsan is the largest early Cretaceous dinosaur footprint fossil site in Korea, and all the footprints are important evidence indicating that large ornithopod and theropod dinosaurs inhabite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early Cretaceous. The Sanbuk-dong site was covered with waterproof sheet in an outdoor environment until the installation of a protective enclosure in 2021. As a result, various factors such as shear force, load reduc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fluctuations, acid rain, salinity and microorganisms have complexly interacted in the substrate of fossils, exacerbating the damage to footprints. For 159 footprints in 12 trackways among the footprints found in the site, the damage types were classified in detail and the level of each damage was assessed. The damages were classified into 6 typ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deterioration degree of individual footprints. As a result of ultrasonic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on the surface of the fossil site, most of these footprints are in the completely weathered (CW) stage. Furthermore, various weathering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and surface contaminants were analyzed along the stratigraphy. Although the patterns of freshness and contaminants varied at different points within the fossil site,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similar. Based on the results, an efficient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s was established, and a conservation treatment type for each footprint was proposed. 군산 산북동 공룡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국내 최대의 전기 백악기 공룡발자국 화석지이며, 모든 발자국은 대형 조각류와 수각류 공룡들이 전기 백악기에 한반도에 서식하였음을 지시하는 중요한 증거이다. 산북동 화석산지는 2021년 보호각 설치 이전까지 야외 환경에서 방수포로 보호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화석의 기반암에는 전단력, 하중 감소, 온습도변화, 산성비, 염분 및 미생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자국의 손상이 가중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발자국 화석 중 형태 및 보행렬 확인이 가능한 12개 보행렬의 159개 발자국을 대상으로 각각의 손상정도를 평가하고 6개의 손상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화석산지 전체 표면에 대한 초음파 물성평가 결과, 대부분 완전풍화단계(CW)를 보였다. 또한 연구대상 화석산지에는 다양한 풍화양상이 나타나 층준별 표면의 오염원을 분석한 결과, 화석산지의 신선부와 오염물은 지점별로 양상은 상이하나 조성은 거의 유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룡 및 익룡발자국 화석산지의 효율적인 보존관리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각 발자국의 보존처리 유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보존방안 수립을 위한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의 손상도 진단 및 물성평가

        양혜리(Hye Ri Yang),이찬희(Chan Hee Lee),박준형(Jun Hyoung Par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3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에는 최소한 수각류 보행렬 11개, 용각류 보행렬 3개 및 조각류 보행렬 1개 이상 존재하여, 국내 다른 공룡발자국 화석지에 비해 수각류 보행렬의 밀집도가 높다. 공룡발자국의 모암은 미사암과 이암의 암상을 보이나 전체적으로 열변질을 받아 혼펠스화되어 있다. 이 화석지의 표면에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가 나타나며 미세균열과 박락을 제외하면 모든 손상요인에서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화석지의 암석은 비교적 건전한 물성을 보여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의 손상형태에 따라 보존처리 유형을 세분하면, 균열의 진전을 제어할 수 있는 강화처리가 필요한 발자국화석이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발자국의 가시화를 위해 도포한 흰색 페인트가 열화되면서 암편 탈락을 유발하여 오히려 화석의 손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대체할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Sinseongri site contains at least eleven theropod trackways, three sauropod trackways, and one or more ornithopod walkways of dinosaur footprints. The host rock at the site is primarily siltstone and mudstone, but thermal alterations have metamorphosed it into hornfels. Except for micro cracks and exfoliations, joint systems in various directions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fossils site and showed a low share of all damage factors. The host rocks in the fossils site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physical properties as a result of ultrasonic velocity and were classified as stable. More than half of the fossils required reinforcement to control the progression of cracks if the type of conservation treatment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damage type of dinosaur footprint fossils. The white paint used to visualize the footprints seems to deteriorate, allowing rock debris to spill out and causing damage to the fossil site, and alternative visualization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 특수 데이터 집합에 대한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을 사용한 PCA 차원 감소

        양혜리(Hye-Ri Yang ),윤희용(Hee-Yong You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8 No.6

        Dimensionality reduction 방식은 머신러닝을 수행할 때 메모리와 디스크 사용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더 좋은 점은 머신이 학습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더 빠른 결과를 볼 수 있고 성능이 좋은 머신러닝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된다. Dimensionality reduction 방식 중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는 변수들을 주성분(Principal Compoenet)이라 부르는 선형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다른 변수들로 재 표현한다. PCA는 차원 축소에 대한 unsupercised 접근 방식이며 다 변수 데이터 집합의 변수 수를 대표 변수의 더 작은 집합으로 줄이기 위해 광범위 하게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PC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특정한 dataset에 대한 dimensionality reduction을 수행한 다음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Dimensionality reduction can reduce the cost of memory and disk usage when performing machine learning. And even better, it can speed up the machine learning time. It is possible to create a machine learning system with faster results and better performanc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expresses variables as other variables that do not have a linear correlation called Principal Compoenet. PCA is an unsupercised approach to dimension reduction and is widely applied to reduce the number of variables in a multivariate dataset to a smaller set of representative variab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using k-means clustering algorithm after performing dimensionality reduction for a specific dataset using PCA algorithm.

      • KCI등재후보

        한국인 말단 비대증에서 Long acting Lanreotide의 치료

        양세정 ( Sae Jung Yang ),서영진 ( Young Jin Seo ),은채령 ( Chai Ryoung Eun ),정혜수 ( Hye Soo Chung ),최혜정 ( Hye Jung Choi ),김남훈 ( Nam Hoon Kim ),김혜숙 ( Hye Sook Kim ),박주리 ( Ju Ri Park ),김동진 ( Dong Jin Kim ),류혜진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말단 비대증 환자에서 수술 후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을 사용하였을 때의 치료 효과와 내당능 장애 및 부작용에 관하여 살펴 보고자 함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말단 비대증으로 진단받고 수술한 이후 고대 구로병원에서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을 사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BMI) 및 serum IGF-1, 75 gm OGTT 후 GH level, HbA1c 및 원발 종양의 크기를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사용 전과 후 6개월, 12개월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11명의 환자 중 10명에서 투약 전후 성장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였는데, 3예에서는 목표치인 1 ng/mL에 가까운 정도로 감소하였고, 그 외의 환자들도 기저치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GF-1은 투약 전 862±314.06 ng/mL이었으나 6개월째에는 549±371.62 ng/mL (p=0.003, vs baseline, n=11), 12개월째에는 439±342.53 ng/mL (p=0.005, vs baseline, n=1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표 3). 투약에 따른 부작용으로 우려되었던 내당능 장애 혹은 당뇨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투약을 시작할 때 위험군으로 사료되었던 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당화 혈색소 값을 측정하였으며, 5.8±0.5%에서 5.9±0.3%으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 환자들 중 당뇨가 있던 3명의 환자들 역시 기저치의 당화 혈색소와 큰 차이는 없었다. 연구 기간 동안 환자들에게 특별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국내의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의 치료효과는 외국에서 시행되었던 연구와 유사하게 기존 약제에 비하여 특별한 부작용 없이 사용방법의 간편화 및 순응도의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약제의 장기적인 치료 효과 및 부작용, 치료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Somatulin-Autogel(R)) in Korean acromegalic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Method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11 acromegalic patients (5 men and 6 women) who had undergone transsphenoidal tumor resection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The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FBG), IGF-1, HbA1C, mass size and GH level following a 75 g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ere measured in each subject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a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ubjects was 41 yrs (range: 28-52 yrs) (Table 1). The mean pre-operative levels of serum IGF-1 in the 11 patients was 1185±323.58 ng/mL, and post-operatively it was 862±314.06 ng/mL. The mean serum IGF-1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862±314.06 ng/mL to 549±371.62 ng/mL after 6 months treatment with the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p=0.003, vs baseline, n=11), and it decreased further to 439±342.53 ng/mL after 12 months treatment (p=0.005 vs baseline, n=10) (Table 3). Two patients achieved the target level of IGF-1. The HbA1C measured before and after lanreotide treatment was 5.8±0.5% and 5.9±0.3%,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a long-acting formulation of lanreotide decreased the IGF-1 and GH levels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 In spite of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is formulation of lanreotide is effective for the post-operative management of acromegaly.(Korean J Med 73:50-57, 2007)

      • A Dead Reckoning Sensor System and a Tracking Algorithm for Mobile Robot

        Hye Ri Park,Dong Jun Hyun,Hyun Seok Yang,Hyuk Sung Park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8

        This paper presents a dead reckoning sensor system and a tracking algorithm for mobile robot localization which increases an accuracy of the estimating position at the uneven surface. A dead reckoning sensor system consists of a small, low-cost MEMS IMU and optical navigation sensor that used in laser mice. A tracking algorithm consists of multi-rate extended Kalman filter to fuse redundant and complementary data from IMU and optical navigation sensor. Also method for estimating angular velocity to estimate more accurate yaw bias is proposed. All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the radio controlled car mounted with sensor system.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Incidence and sero-surveillance of feline viruses in Korean cats residing in Gyeonggi-do

        Yang, Dong-Kun,Park, Yu-Ri,Kim, Eun-ju,Lee, Hye Jeong,Shin, Kyu-Sik,Kim, Ju-Hun,Lee, Kyunghyun,Hyun, Bang-Hun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2022 大韓獸醫學會誌 Vol.62 No.3

        Incidences of major feline viral disease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ng viral disease in cat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feline viral diseases, sero-surveillances have been lack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iagnoses of feline viral diseases and conducted a sero surveillance of feline panleukopenia virus (FPV), feline calicivirus (FCV), feline herpesvirus-1 (FHV-1), and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 (FIPV) in Korean cats. Of the 204 confirmed cases since 2015, the numbers of diagnoses for FPV, FIPV, FCV, feline influenza virus, and FHV-1 were 156, 32, 12, 3, and 1 case, respectively. In total, 200 sera, collected between 2019 and 2021, were screened for the presence of antibodies against FPV, 2 FCVs, FHV-1, and FIPV using a hemagglutination inhibition test and a virus-neutralizing assay (VNA). The overall seropositive rates in cats tested for FPV, the 2 FCVs, FHV-1, and FIPV were 92.5%. 42.0%, 37.0%, 52.0%, and 14.0%, respectively. A low correlation (r = 0.466) was detected between the VNA titers of 2 FCV strains. The highest incidence and seropositive rate of FPV reveal that FPV is circulating in Korean cats. The low r-value between 2 FCVs suggests that a new feline vaccine containing the 2 kinds of FCVs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