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영상 유도하 진단된 자궁내막폴립의 유발인자 분석

        양성희,이동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9

        본 연구는 여성의 자궁내막폴립을 유발하는 임상적 요인을 살펴보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위 험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으며, 2021년 12월부터 2022년 6월까지 I 병원을 검진 목적으로 방문한 정상대조군 141명, 자궁내막폴립군 132명 총 2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카이제곱검정 및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체질량지수, 초경나이, 분만력, 폐경유무, 출혈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위험비는 정상체중과 비교하여 비만군 5.09 배, 출혈이 있는 경우 3.39배 증가하였다. 미출산인 경우와 비교하여 분만력이 증가할수록 위험비는 감소하였으며, 폐경이 된 경우 0.26배, 초경나이가 늦은 경우 0.55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에 관계 없이 불규칙적인 출혈이 있 는 경우와 비만인 경우는 자궁내막폴립 발생에 면밀한 관찰이 요구되며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자궁내막폴립 발생인자와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추 후 식습관과 환경을 고려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linical factors that cause endometrial polyps in women and to understand the risk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A total of 273 patients were included, 141 patients and 132 patients in the endometrial polyp group. As a result of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menarche age, parity, menopause, and bleeding. Compared with the non-pregnant case, the odds ratio decreased as the labor force increased, and it was found to be 0.26 times higher in the case of menopause and 0.55 thimes in the case of late menarche. Therefore, regardless of age, if there is irregular bleeding or is obese, close observation is required for the occurrence of endometrial polyps, and periodic check-up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nd influence of endometrial polyps in Korean women, a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considering dietary habits and environment with this basic data.

      • KCI등재

        머신러닝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유방초음파영상 병변인식률 평가

        양성희,이진수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8

        Breast ultrasonography is very subjective compared to other medical imag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ding result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skill and knowledge of the examiner. In this study, as a way to supplement this, we tried to examine the lesion recognition rate of breast ultrasound images using a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that is widely used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n auxiliary method for diagnosis. Using the BreastFAN breast ultrasound phantom, 90 ultrasound images of normal, benign, and malignant tumor tissues were acquired, regions of interest were set, and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by learning the data using the Microsoft lobe program. To confirm the lesion recognition rate of the implemented model, breast ultrasound images were extracted and the recognition rate was evaluated. As a result, the average recognition rate was 97.65%.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e model implemented as a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is sufficiently usable as an auxiliary diagnostic system in breast ultrasound lesion classification and will be helpful to examiners with sufficient experience. 유방초음파는 타 의료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주관적이며 검사자의 숙련도 및 지식 정도에 따라 판독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머신러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방초음파영상의 병변인식률을 살펴보고 이를 진단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BreastFAN 유방초음파팬텀을 사용하여 정상과 양성·악성 종양조직초음파영상 90개를 획득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한 후 Microsoft Lob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학습시켜 머신러닝모델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모델의 병변인식률 확인을 위해 유방초음파영상을 추출하여 인식률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 97.65%의 인식률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머신러닝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모델은 유방초음파병변분류에 있어서 보조진단시스템으로서 충분히 활용가능성이 있으며 경험이 부족한 검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3차원 초음파를 이용한 태아 폐부피의 임신주수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양성희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4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5 No.1

        목적 : 3D XI VOCAL (eXtend Imaging the Virtual Organ Computer aided Analys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임신 중반기에서 후반기 태아 폐의 부피를 기존의 2차원방식과 비교해 임신주수별 태아 폐성장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임상적인 응용가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5월부터 8월까지 부산에 소재한 I병원에 내원하여 산전관리를 받은 임신주수가 정확한 산모 중, 임신 20주에서 37주사이의 정상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주수별로 4명씩 136명을 볼륨스캔을 한 후, 기존의 2차원방식을 이용한 태아의 폐부피 측정값과 3D XI VOCAL을 이용한 태아의 폐부피 측정값을 각각 구하였으며, 임신주수별 태아 폐성장 변화 값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 모든 임신주수에서 2차원방식을 이용한 방법의 폐부피 측정값이 3D XI VOCAL을 이용한 폐부피 측정값 보다 크게 측정되었으며, 임신주수에 따른 태아 폐성장 변화 값과의 관계에서 두 방법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3D XI VOCAL을 이용한 폐부피 측정값이 태아 폐성장 변화에 조금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2차원방식을 이용한 태아 폐부피 측정값보다 3D XI VOCAL을 이용한 태아 폐부피 측정값이 태아의 폐성장 예측지표로 더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가 유의한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대상자의 표본수가 적어 상관계수 값의 차이가 크지 않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성을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다 많은 실험군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검사의 재현성과 신뢰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장비의 해상도 증가 및 검사자의 충분한 영상 획득방법의 훈련으로 폐의 부피값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인공물을 줄여 검사 시 오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표준어 ‘바라-’와 비표준어 ‘바래-’의 사용 양상 연구

        양성희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8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zation pattern of the non-grammatical conjugarted form, ‘바래 and 바램,’ which are the most active among the synchronic changes in modern Korean, by age and region. Until now,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continuously educated that the proper conjugated form of ‘바라다’ is ‘바라’ not ‘바래’. But modern Korean speakers are using ‘바래’ more actively.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rough nationwide online surveys that there are situations where the use of ‘바라’, a correct conjugated form, is awkward because of incorrect conjugated form, ‘바래’. Modern Korean speakers survey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use ‘바래-’ expression more than ‘바라-’.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cases of using other expressions that are grammatically correct or changing them into other words are taking place. 본 연구에서는 문법적 활용형 ‘바래(望)와 바램’의 사용 양상을 연령별, 지역별로 조사하여 ‘바래(望)-’의 표준어 가능성을 살피고자 한다. 그동안 국립국어원이나 교육 기관들은 규칙동사 ‘바라다’의 활용은 ‘바래’가 아니며 올바른 표현은 ‘바라’인 것을 지속해서 알리고 교육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전국적인 조사에 따르면, 현대 한국어 화자들은 ‘바래’를 더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표준어 ‘바라-’와 비표준어 ‘바래-’의 혼용 상황을 넘어, 표준어인 ‘바라-’의 사용을 어색해하는 상황도 확인하였다. 특히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인 ‘바라’ 또는 ‘바라요’ 표현을 삼가고 ‘바란다’, ‘바랄게’, ‘바랍니다’ 등으로 활용하거나, ‘기원하다’, ‘좋겠다’, ‘바란다’ 등의 다른 단어로 바꿔 쓰기 현상이 이뤄지고 있다. ‘바라다’의 명사형 활용의 경우 ‘바람’과 ‘바램’이 혼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바람’의 행동주가 사람일 경우 ‘바램’을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실제 언어생활과 규범 사이의 괴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고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현대 한국어 화자들의 표준어 ‘바라-’와 비표준어 ‘바래-’의 사용 양상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