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황음(鳳凰吟)」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

        정경란 ( Kyung Rhan Ch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49

        별곡체의 악장인 「봉황음(鳳凰吟)」은 조선 초기 세종 때 윤회(尹淮, 1380∼1436)가 창제한 왕가에 대한 송축가로 「처용가(處容歌)」의 악곡에 가사만 바꾼 곡이다. 조선 초기 신제(新制)된 악가는 고려 때부터 전래하는 악곡의 선율을 빌어 가사만 바꾸는 형태로 창제하였는데, 「봉황음」이 고려의 어느 악곡을 취하여 만들어졌는지는 밝혀진 바 없다. 「봉황음」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을 찾기 위하여 「봉황음」과 여음, 종지형, 용강법 등에서 관련이 있는 악곡인 「진작(眞勺)」·「자하동(紫霞洞)」·「성황반(城皇飯)」·「정읍(井邑)」의 4곡과의 악곡 분석을 시도하였다. 악곡 분석 결과, 음악구조에 있어서 「봉황음」의 전강은 「진작」의 전강·중강·후강에서 가져왔고, 「봉황음」의 부엽은 「진작」·「성황반」·「자하동」의 부엽과 거의 유사하며, 「봉황음」의 중엽은 「진작」의 대엽을 가져왔으며, 「봉황음」의 소엽은 「정읍」의 소엽과「자하동」의 일부선율을 차용하였다. 「봉황음」의 후강은 「진작」의 중강과 후강에서 가져오고, 「봉황음」의 대엽은 「진작」의 대엽을 확대하고 중강선율을 포함시켰다. 「성황반」의 선율들은 「봉황음」의 소엽을 제외한 전강, 부엽, 중엽, 후강, 대엽의 선율들과 거의 같거나 유사하여 「봉황음」이 「성황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고려 때의 「진작」·「성황반」·「자하동」·「정읍」의 악곡에서 선율 및 음악구조를 차용하고, 가사만 새로 개작한 곡임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세종실록악보 로는 80행(1행 32정간), 대악후보 로는 160행(1행 16정간)에 달하는 1·2·3곡으로 이루어진 대곡(大曲)이다. 이렇게 방대한 곡을 가사만 바꿔서 연주하자니 고려 때의 여러 악곡을 참고하여 개작한 흔적이 보인다. 「봉황음」은 조선 초기에 가사가 개작되기는 했으나, 전혀 새로 만들어진 곡이 아님을 확인할수 있었고, 특히 무가인 「성황반」과 거의 유사하여,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처용가」의 음악이 고려시대 「성황반」을 거쳐, 조선시대 「봉황음」으로 가사만 개작되어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Bonghwangeum``is an early-Joseon song of an akjang genre, in the style of byeolgokche, written by Yun Hoe (1380-1436)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praising the glory of the royal house. Bonghwangeum` is essentially the same song as ``Cheogyongga,`` having only different lyrics. To find Koryo gayo songs having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Bonghwangeum,``an additional analysis performed to determin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Bonghwangeum`` and Goryo`s gayo songs showed that ``Jeongeup`` has the same type of soyeop (a section of a stanza) as the Joseon song. Hence, four total songs were identified as closely related to ``Bonghwangeum``: ``Jinjak,`` Jahadong, ``Seonghwangban`` and ``Jeongeup.`` The comparison of Bonghwangeum`` and these four songs revealed that the Joseon song borrows its melodic structure directly from ``Jinjak`` and Seonghwangban,`` and its yeoeum from ``Jahadong.`` Its structure is also largely based on Goryeo songs. For example, the jeongang stanza of ``Bonghwangeum`` merges the three stanzas of ``Jinjak`` namely, jeongang, junggang and hugang, the first, second and the third stanzas. As for the daeyeop stanza of ``Bonhwangeum,`` it expands on the daeyeop of ``Jinjak,`` and the buyeop is directly borrowed from ``Jeongeup`` and ``Jahadong.`` In the case of ``Bonghwangeum,`` this study found that it borrows melodic segments from various Goryeo songs, and not a single song, such as ``Jinjak, ``Seonghwangban,`` ``Jahadong`` and ``Jeongeup.`` ``Bonghwangeum`` is a long song, consisting of 80 lines (32 jeonggan) according to Sejong sillok akbo, and 160 lines (16 jeonggan) according to Daeak hubo. As they attempted to perform such an exceptionally long song with a new set of lyrics, they seem to have felt the need to re-arrange the song by consulting other songs from the Goryeo period. Although its lyrics were newly rewritten in early Joseon, this study found that ``Bonghwangeum`` is not at all a new song and that it is virtually identical to ``Seonghwangban,`` a shamanistic song from the Goryeo period. Hence, ``Cheoyongga`` originating in Silla appears to have been adapted into ``Seonghwangban`` once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is adaptation was sung in Joseon, this time, under the title ``Bonghwangeum,`` with a new set of lyrics.

      • KCI등재

        고려 〈청산별곡〉과 조선 〈강보〉의 관계

        정경란(Kyung Rhan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청산별곡(靑山別曲)〉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이며, 〈강보(降寶)〉는 조선 세종이 종묘, 조회, 공연에 사용하기위해 새로 창제한 〈발상(發祥)〉 11곡 중의 한 곡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의하면 〈발상〉은 고취악과 향악에 의하여 창제되었다고 하였으므로 이 기록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발상〉중 〈강보〉가 고려 향악인 〈청산별곡〉에 근거하여 창제되었음을 밝힌 논문이다. 〈강보〉와 〈청산별곡〉의 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48행의 〈강보〉는 10행의 〈청산별곡〉을 세 번 반복하였는데, 즉 〈강보〉의 1-16행, 17-32행, 33-48행에서 〈청산별곡〉이 세 번 반복하여 발췌되었고, 〈청산별곡〉과 〈강보〉의 선율은 거의 같거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세종 때 〈발상〉 중의 〈강보〉가 고려 향악인 〈청산별곡〉을 발췌하여 신악(新樂)으로 창제되었음을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Chongsanbyeolgok is one of Goryeo songs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the composer of which is not known as well as other Goryeo songs. Balsang songs is structured with eleven songs that has been composed newly by King Sejong in Joseon Dynasty for using at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Johoe (royal audiences), performance, Gangbo is one of 11 songs in Balsang. In Sejongsillok, it is written that Balsang was composed by taking the melody and rhythm of gochwiak (processional music) or hyangak. Thus, it is interesting to know how gochwiak and hyangak, especially Chongsanbyeolgok affected structure and rhythm of Gangbo. As an analytical result of Gangbo and Chongsanbyeolgok, Gangbo consisted of 48 Haeng(line) repeated Chongsanbyeolgok’s melody (10 Haeng) by three times. That is, 1-16, 17-32, and 33-48 Haeng of Gangbo excerpted from Cheongsanbyeolgok’s melody, and those melodies of Gangbo are same or similar to Chongsanbyeolgok. In this report, Gangbo, one of Balsang’s musics in Joseon Dynasty is proven to be excerpted from the melody of Chongsanbyeolgok in Goryeo Dynasty and repeated.

      • KCI등재

        용강법(用綱法)과 만중삭(慢中數)

        정경란(Chung Kyung rhan) 국립국악원 2010 국악원논문집 Vol.21 No.-

        용강법(用綱法)은 6대강의 쓰임새를 말한다. 〈진작〉·〈봉황음〉과 같이 1·2·3곡으로 이루어진 삼기곡(三機曲)에서 제1곡은 만(慢)의 빠르기 음악, 제2곡은 중(中)의 빠르기 음악, 제3곡은 삭(數)의 빠르기 음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기곡이 아닌 단일곡으로 이루어진 곡들, 특히 문헌에만 나타나는 고려 및 조선초기의 향악곡들은 악곡의 빠르기를 전혀 알 수 없었다. 필자의 『고려속악의 여음』 연구를 통하여 여음선율을 통한 고려 향악곡의 악곡 빠르기를 대략 파악해낼 수 있었으나, 실제 용강법을 분석하여 악곡의 빠르기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용강법을 분석하여 만·중·삭의 세가지 속도의 빠르기 음악이라도 1차 분류해내면, 같은 빠르기를 가진 악곡들의 특징을 밝혀 낼 수 있고, 또한 유사한 빠르기를 가지는 악곡들간의 상호관계가 밝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용강법 분석은 고려 및 조선의 시대적 음악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용강법 분석은 먼저 〈진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구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고려 향악곡을 만중삭의 세가지 빠르기 음악으로 분류하였다. 만(慢)의 빠르기 음악은 1강부터 6강까지 고루 음이 출현하며, 3강과 5강에만 출현음이 없이 비어있는 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中)의 빠르기 음악은 만의 빠르기 음악에 비해 출현음수가 현격히 줄어들어 3강과 5강의 쓰임이 많이 없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삭(數)의 빠르기 음악은 2강과 5강의 음사용이 현격히 줄어들고, 3강과 6강의 출현음도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진작〉4와 같은 빠른 삭(數)의 음악은 〈진작〉1·2·3의 4행단위 장고형에서 2행단위의 빠른 장고형으로 바뀌고, 악곡도 반으로 줄었으며, 용강사용에 있어 2강과 5강의 사용의 적고, 1·3·4·6강의 출현음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용강법을 통한 악곡빠르기 분석 결과는 여음분석을 통하여 악곡의 빠르기를 추정하였던 내용과 일치하여 향후 선율분석을 통한 삼기곡의 구체적인 선율변화를 살펴보면 고려 향악곡의 빠르기 및 음악 특징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Yonggangbeop is a traditional Korean musicological term which refers to the phrase (gang) structure of a musical composition. Musical compositions such as Jinjak and Bonghwangeum consist in three sections or movements of varying tempos. The first section was intended to play at a slow tempo (man), the second at a moderately rapid tempo (jung)and the third at a rapid tempo (sak). With compositions consisting in a single movement, however, there is no way of determining their tempo in the absence of tempo markings of any kind. This is also certainly the case with hyangak pieces, mentioned in historical records from Goryeo and early Joseon, of which there are no extant copies. In an earlier study entitled Yeoeum in Popular Musical Genres of Goryeo, I was able to roughly determine the tempo of hyangak pieces from Goryeo and early Joseon, by analyzing the melodic structure of yeoum, the refrains. However, yonggangbeop or phrase structure is the surest and most direct indicator of the tempo of a piece of music. If one could determine which of the three tempos, namely, man, jung and sak, is used for a musical compos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ts phrase structure, this allows the comparison of pieces with the same tempo to reveal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that of those with similar tempos to discover any compositional similarities between them. Phrase structural analysis, furthermore, is likely to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overall musical trend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is research was started by analyzing the phrase structure of samgigok, in other words, those pieces consisting of three sections or movements. Based on characteristics revealed through this analysis, hyangak pieces from Goryeo and early Jose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empo groups of man, jung and sak. Music pieces at the man tempo had notes appearing evenly throughout, from the first gang (phrase) to the sixth gang, with some vacant squares, indicating the absence of notes, only in the third and fifth gang. In pieces of a jung tempo, there are much less notes in the third and fifth gang than in pieces of a man tempo, suggest that the use of these two gang had become less frequent in this moderately rapid tempo. With sak-tempo pieces, few notes were used in the second and fifth gang, with notes appearing scarcely also in the third and sixth gang. In pieces with a very rapid tempo like Jinjak4, more notes are seen in the second and fifth gang, than in regular sak-tempo music, and the amount of notes in the rest of the six gangremained roughly the same as in the latter. The results of the yonggangbeop analysis corroborated my earlier findings from the yeoeum analysis, regarding tempo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Future research on investigating the melodic structure of samgigok should cast further light on both the tempos used in Goryeo and early Joseon music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sic from this period.

      • KCI등재

        1900년대 초 외국인이 본 한국인의 식생활

        정경란(Kyung Rhan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1900년대 초는 서양 열강들이 아시아를 향해 본격적으로 진출한 시기로 당시 한국에는 외교관, 선교사, 의사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외국인들이 들어왔다. 한국을 찾은 1900년대 초기의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식생활은 호기심과 충격의 대상이었기에 그들은 한국인의 식생활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외국인들은 한국을 비교적 윤택하고, 오곡이 풍성한 매력적인 국가로 보았다. 한국인들에게 주식은 쌀이고, 중요한 양식으로 김치를 먹었으며, 다양한 곡식과 채소, 그리고 비빔밥을 먹었다. 한국에는 각종 육류와 생선, 미역, 약초(인삼)가 있었다. 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식탐이 있다고 하면서, 밥을 고봉으로 많이 먹는다고 하였다. 한국인의 기본 식단으로는 밥 한그릇, 국 한 그릇, 김치와 간장, 다른 찬거리들이 있으며, 푸짐하게 상을 차려낼 때는 고깃국과 함께 날생선․말린 생선․튀긴 생선 중 한 가지가 올랐다. 한국에는 장독대가 있어서 간장, 된장, 고추장, 장아찌 등을 담가먹었다. 한국인에게는 특유의 옻냄새와 김치 양념냄새가 많이 났으며, 외국인들은 그 냄새를 림버거 치즈로 비유하면서 한국을 꼬랑내, 발냄새가 나는 나라로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1900년대 초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들의 기록을 통해 한국의 식생활과 한국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Western countries came to Asia aggressively in the early 1900s. Westerners who came to Korea at that time also had a various jobs with diplomats, missionaries, doctors, and so on. Korean diet was curious and shocking to foreigners in the early 1990s, so they made a record of the Korean diet. They thought Korea was peaceful, attractive and rich to eat. Koreans ate mainly rice and kimchi, a variety of grains, vegetables and bibimbap. Korea had a variety of meat and fish, seaweed, and herbs(ginseng). Foreigners said Koreans were greedy for food and ate a lot. Koreans ate basically a bowl of rice(bap), a bowl of soup(kuk), kimchi, soy sauce and other dishes. If Koreans wanted to set a table in abundance, they have meat soup(kuk) with meat and additional fish like as raw fish, dried fish, and boiled or fried fish. Korean people had a jangdokdae with Ongki(Earthen jar) where soy sauce(kanjang), soybean paste(doenjang), red pepper paste(kochujang), pickles (jang-achi) have been fermented. Foreigners felt the smell of lacquer tree and kimchi hung in the air from Korean people. While they were compared it to the smell of western rim cheese burger, they said Korea was a country with nasty smell in the feet. By the records of foreigners in the early 1900s, Koreans diets and image were appeared obj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