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논문 :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대학 글쓰기 교육은 실용적 성격과 인문학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본고는 두 측면에서 모두 활용될 수 있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대상으로 하되 글쓰기 교육의 인문학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교육방법론과 수업모형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 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은 여러 차례 지적되어 왔고 실제 글쓰기 수업에서도 자주 활용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관심에 비해 의미 있는 자기 성찰의 활성화 기제나 성찰-쓰기의 효과적 연계방안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여기서는 자기 성찰의 기제와 성찰과 쓰기의 연계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업모형을 제안해 보았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서 본고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자기 성찰이 자기에 대한 탐구와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것, 쓰기가 사후적 정리에 그치지 않고 쓰기 자체가 새로운 성찰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점이 교육에 적극 반영될 수 있는 방법론적 기제로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제안하였다. 성찰의 활성화 원리로 전자가, 쓰기와 성찰의 유기적 연계 방안으로 후자가 활용될 수 있음을 살펴본 후 기에 기초해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모형을 제안하는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여기서 제안한 수업 방안은 자화상 읽기→지인 인터뷰→나를 만든 사건/인물에 관한 에세이→마지막 성찰적 글 작성의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런 일련의 성찰활동과 쓰기를 통해 자이 이미지의 확인·해체·재구성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자기 탐구와 변화를 일으키는 성찰을 가능케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시간적 간격을 둔 성찰적 글쓰기는 서사적 정체성을 형성케 함으로써 쓰기 자체가 성찰의 과정임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수업을 통해 성찰활동과 성찰적 글쓰기를 한 학생들은 자기 성찰이 지속적 과정이라는 점, 현재의 자기 성찰이 또 다른 성찰적 글쓰기에 의해 해체·재구성된다는 점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성찰적 글쓰기를 준비하게 된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성찰의 목적, 방향, 활용 방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가 뒤따를 때 자기 성찰을 위한 글쓰기 교육은 더욱 충실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of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Self image and narrative identification are the main factors of the method.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rospection in writing education. A lot of teachers think that the introspective writing is necessary part of writing class. However, discussions about the efficient method of introspection and ways to associate introspective activity with writing hasn`t been enough.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 Introspective activity and writing based on introspection.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hat introspective activity should be the process of self understanding and introspective writing in itself be the change of self image in the concept of introspection. Self image and narrative identification is the key concept of this discussion. The former plays a important role in introspective activity and the latter the connection between two activity. Teaching learning method of this paper has four steps : Writing about self portrait and I, acquaintance interview, the man/event which made me what I am, the finan introspective writing. Subjects of introspection experiences the change of self image as they pass these four steps. Introspective activity cause the collapse of self image in students` mind. Repeated self reflection enables students to reconstruct the self image, which became the process of change of self understanding and the beginning of new prospect about themselves. Also students realize that writing is not the ways to express what he has found, and that they should keep up introspective activity and writing in their lifetime.

      • KCI등재

        성찰활동 유형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송수지(Song Soo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에서는 교직수업에서의 성찰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규명하고, 성찰활동 유형에 따른 교육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교직수업에 성찰활동을 적용하여 운영하였으며,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 유형에 따른 학업적응 및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사전검사결과를 공변량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찰일지를 작성한 집단이 성찰활동이 없는 집단보다 학업에 더 잘 적응하였으며, 개별 성찰일지를 작성한 집단보다 협력성찰일지를 작성한 집단의 학업적응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학업성취를 시험점수와 과제수행 점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시험점수에 있어서는 성찰활동을 한 두 집단이 성찰활동이 없는 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과제수행 점수에서는 협력 성찰활동 집단이 가장 높은 성취를 보였고, 그 다음이 개별 성찰활동 집단, 그리고 성찰활동이 없는 집단이 가장 낮은 순이었다. 즉, 본 연구결과에서는 성찰일지작성과 동료 간 상호작용이 있는 협력 성찰활동이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업적응 및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flection. 9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groups using a pre-test and post test. The first group didn’t write reflective journal, the second group wrote individual reflective journal and the third group wrote collaborative reflective journ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ed reflective activity for 15 weeks and academic adjustment t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s were take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to analyze on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f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reflective activity completed,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reflective activ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re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tudents in a group of a collaborative reflection showed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ro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was lowest. These result indicate that collaborative reflection can positive affect academic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method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should be diversified for better reflective activity.

      • KCI등재

        ‘성찰 역량’ 함양을 위한 글쓰기 교육 시론(試論) - 딜레마 서사의 활용 가능성 탐색 및 교육적 제언을 중심으로

        신윤희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stablish the goal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post-social era and to suggest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herefore, we considered the competencies that learners should have against the times and social trends as “reflection capabilities” and explored writing education to strengthen reflection capabilities. In order for this to be taught and evaluated objec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was suggested to look at this reflection from a competency-centered perspective. In Chapter 3,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lemma narrative in the novel was examined to explore the content and methodology that can teach about reflection. In order for reflection to occur, uncomfortable feelings such as a dilemma problem situation and confusion and the embarrassment caused by it must be the basis. The novel's dilemma narrative, which includes both of these elements, can be used as a textbook for excellent reflection. Finally, reflective thinking was organized, synthesized, and systematized, and writing based on this was viewed as the final goal of writing education to cultivate reflection competency. Accordingly, there were four stages of writing education to foster reflection competency: “dilemma narrative reading-create a question about a problem-rational conversation-writing.” In addition, the level of reflection was classified and proposed based on content elements so that the writing could be evaluated. 이 논문은 탈인간, 탈진실의 문화 현상을 배태한 포스트소셜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새롭게 정향하고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술의 혁신으로 급변하는 시대·사회적 흐름에 맞서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성찰 역량’이라고 보고, 성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글쓰기 교육에 관해 탐색해 보았다. 먼저 기존 성찰적 글쓰기 교육이 다종다양하게 진행되며 교수학습법 연구를 풍성하게 남기고 있지만, 성찰의 개념이 다소 임의적이고 주관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성찰의 개념을 실제 학습자가 함양해야 할 수행적 개념으로서 재개념화하고 이것이 교육의 영역에서 객관적으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 위해서 역량 중심 관점에서 이러한 성찰을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성찰을 교육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해서, 소설 속 딜레마적 서사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성찰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딜레마적 문제 상황과 그로부터 야기되는 혼란스러움과 당혹감 등의 불편한 감정이 토대가 되어야 한다. 이 두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소설의 딜레마적 서사는 훌륭한 성찰의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본고는 딜레마적 서사가 잘 드러난 「가만한 나날」(김세희), 「알바생 자르기」(장강명) 두 편의 작품을 통해 성찰을 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달레마적 서사의 성찰 교육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소설을 읽고 딜레마적 문제 상황과 마주한 주인공의 감정 추이를 따라가며 성찰을 훈련한 후, 그 내용을 종합하여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글을 쓰는 활동을 성찰 역량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최종적 지향점으로 보았다. 이에 글쓰기 교육의 단계를 ‘딜레마적 서사 읽기―문제 상황에 대한 질문 만들기―합리적 대화하기―글쓰기’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성찰의 수준을 내용적 요소를 기준으로 나누어봄으로써 성찰적 글쓰기 평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성찰일지 작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영준(You, Young-Jun),최옥채(Choi, Okchai),용효중(Yong, Hyo-Jo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성찰일지를 작성한 경험을 질적연구로 분석하였다. 성찰일지는 사회복지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실천분야에서 성찰적 실천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모두 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개별면접과 집단면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5회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성찰일지를 처음 작성하면서 낯선 개념에 혼란스러움을 마주하였고, 직업에 대한 자신의 성찰능력이 부족함을 경험해야 했었다. 그러나 성찰일지 작성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실천과정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부정적 감정이 해소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성찰일지를 작성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자로 변모해 가는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성찰일지를 쓰는 작업이 사회복지조직 안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찰일지를 쓸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타인과의 공유, 성찰의 내용은 실천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찰일지가 사회복지사들의 성찰적 실천을 촉진시키고 성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social worker usage experience with reflective journals, which has become a widely utilized tool for reflective practice within various settings. There were nine research participants engaged in several practical fields. Results showed that social workers appeared (1) to have low confidence with reflective journals due to a lack of familiarity, and (2) to realize their limited philosophical knowledge toward their special fields. However, they were able to progress from passive novices to active learners sufficiently enough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as they became more familiar with reflective journals. The creation of constructive surroundings, kind consideration with sufficient time, and sharing with other members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positive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reflective journal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re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for encouraging social worker reflective practice usage and for developing better abilities through it.

      • KCI등재

        성인학습에서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

        이희수,정미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etical pathways of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the core constructs in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which has integrated psychological as well as sociological perspectives in adult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light of the theoretical transition from a psychological approach to a sociological perspective in adult learning scholarship. In doing so, Lewin's Change Theory (1951)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oretical pathways and Finger & Asún's categories of adult learning theory (2001) was adopted for the scope of adult learning theories to be examined. In particular,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Symbolic Interactionism,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Critical Theory of Frankfurt School, and Critical Pedagogy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theoretical pathways. In the Unfreezing stage, the conceptual nature of reflection focused on individual problem solving with the dominant influence of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adult learning, such a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Symbolic Interactionism. In the next Moving stage, psychological perspectives were still dominant, especially according to Mezirow’s view,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were receiving more attention than before with their particular emphasis on communicativ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of adult learners in social context. In the final stage of Refreezing, sociological perspectives such as Critical Theory and Critical Pedagogy became dominant as the theories for social transformation and self-emancipation. Through these stages of perspective changes, the focus moved from reflective thinking for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sonal growth to critical reflection through consciousness and questioning for social emancip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how we could adopt the examined adult learning theories and concepts such as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in diverse adult learning practices, especially in the social context of organization. 이 연구는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관점과 사회학적 관점을 통합시켜온 전환학습이론의 핵심 개념인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 분석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개념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접근 중심에서 사회학적 접근으로의 관점 이동과 연관지어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계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Lewin(1951)의 3단계 변화이론을 준거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계보 분석의 범위를 한정짓기 위해 Finger & Asún(2001)이 제시한 성인학습이론 분류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는 경험학습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전환학습이론,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비판적 교육학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 해빙단계에서는 경험학습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관점에서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접근이 우세한 개인 중심의 문제해결적 성찰 개념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으로 이동단계에서는 Mezirow의 전환학습이론 관점에서 성인학습에의 심리학적 접근이 우세하지만, 사회학적 관점이 부가되기 시작한 과도기적 단계로, 사회적 맥락에서의 의사소통적 성찰과 개인의 자기성찰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결빙단계에서는 비판이론과 비판적교육학 관점에서 성인학습에의 사회학적 접근이 우세하고, 비판적 성찰과 사회 변혁을 위한 해방적 성찰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해빙단계에서 이동단계를 거쳐 재결빙단계로 이동할수록 지식 획득과 개인성장을 지향하는 성찰적 사고 중심에서 비판적 문제제기를 통한 의식화, 해방을 지향하는 비판적 성찰 실천 중심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실천현장에서의 성찰과 비판적 성찰 탐색, 집단적, 조직적 성찰 과정과 조직 구성원으로써의 개인의 자기성찰 탐색, 그리고 조직내 비판적 성찰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들이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성찰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분석

        이미경,장금성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on reflection in Korean nursing,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for effective application of reflective practice in Korea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Methods: A review was performedusing domestic databases including RISS, KISS, DBpia, and NDSL. Twenty-three papers were analyzed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and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Results:Reflection in nursing research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5, generating almost half the publications in the last3 year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were classified into reflection-related general term (34.7%), reflective action(8.6%), and reflection writing method (56.7%).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were categorized into correlationof reflection with other variables (26.1%), learning evaluation using a reflective journal (22.2%), effects of applyingreflection as an intervention (47.4%), and Korean Self-Reflection and Insight Scale validation (4.3%). Conclusion:Results indicate that reflection or reflective practic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integrating theories to practice,an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prerequisite to becoming a professional nurse as well as a crucial tool for ideal changesin nursing. Considerable effort should be made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and effectively apply it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in Korea.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 관련 국내 간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간호학에 성찰적 실천의 활성화, 효과적 적용 및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문헌검색을 위해 RISS, KISS, DBpia, NDSL을 이용하였고, 총 23편의 논문을 일반적 특성, 성찰관련 주요변수 및 성찰관련연구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성찰관련연구는 2005년 이후로 관심을 받아오고 있으며, 연구 논문의 거의 절반이 최근 3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성찰관련 주요변수분석으로는 성찰관련 일반용어(34.7%), 성찰 행위(8.6%), 성찰 서면방법(56.7%)으로 분류되었고, 성찰관련연구 결과분석은 성찰과 다른 변수 간의 상관관계(26.1%), 성찰저널을 이용한 학습평가(22.2%), 중재로서의 성찰 적용효과(47.4%), 자기성찰 및 통찰력 측정도구 타당화(4.3%)로 분류되었다. 결론: 간호학에서의 성찰 및 성찰적 실천은 이론을 실무에 통합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고 전문적 간호실무가가 되기 위해 필수적이며 간호학의 이상적인 변화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성찰적 실천의 개념을 확립하고 국내 간호교육 및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근대적 성찰성의 풍경과 성찰적 주체의 알레고리

        김홍중(KIM Hong-J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3

        성찰한다는 것은 단순한 내성이나 반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초월적 의식이 정립되어 그 의식을 통하여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는 체험의 구조화를 가리킨다. 근대의 상징 해석학적 담론들(지식사회학, 정신분석학, 사적 유물론, 계보학)과 자기 성찰적인 문학과 예술형식들(메타시, 메타소설, 메타드라마, 메타회화, 메타영화 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자기 성찰에의 강박은 바로 이러한 논리에 입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성찰성을, 근대적 지(知)와 예(藝)의 주요한 에피스테메로 규정하고, 그 풍경과 주체성의 알레고리를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 사용되는 인식풍경(epistemoscape)이란 특정한 인식소를 영상적으로 표현하는 이미지를 지칭한다. 이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성찰성의 인식풍경은, 프로이트가 1921년에 발표한 「집단심리학과 자아분석」에 등장하는 콘라트 리히터의 수수께끼를 재구성한 하나의 장면이다. 그것은 전 세계를 젊어진 예수를 다시 짊어진 성 크리스토프가 강을 건너는 상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이 풍경의 위상학과 성찰적 주체를 표상하는 성 크리스토프의 형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구 근대에 등장한 이 성찰성의 기획이 왜 실패할 수밖에 없는 기획이며, 또한 이러한 실패가 어떠한 방식으로 소위 외부의 사유로 재정립되는가를 아르토, 블랑 쇼, 푸코, 하이데거 등이 공동적으로 천착했던 사유의 타자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특정한 사유의 풍경적 차원에 대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문화사회학 혹은 지식사회학이 자신의 대상과 맺을 수 있는 적극적인 의미의 해석학적 관계를 실험한다. Reflexion does not mean self-introspection, but instead, it signifies the specific structuration of experience within which the ego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transcendental gaze can cast an objective regard upon itself. Various forms of modem knowledge(the sociology of knowledge, psychoanalysis, historical materialism, genealogy, etc.) and various forms of modem art and literature(meta-poetry, meta-picture, meta-drama, meta-fiction, etc.) have this kind of structuration of experience as their epistemological basis. Defining this structuration as the episteme of the modernity,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its epistemoscape and the allegory of its subjectivity. The term “epistemoscape” here refers to a certain symbolic atmosphere which expresses the essence of the thinking in a concrete manner. In this context, the epistemoscape of modem reflexivity signifies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sheds a light upon the meaning of “reflexion”. The allegory of a reflexive subiect is none other than the agent assumed to perform this reflexion. In this context, we take the situation expressed by the riddle of Konrad Richter which appears in Freud’s article, “The psychology of the mass and the analysis of the self” published in 1923, and present it anew as the epistemoscape of the meta. In this landscape, St. Christophe crosses the river, carrying Jesus on his shoulders, who is, in his tum, carrying the weight of the entire world on his shoulders. We analyze the topology of this landscape and the subjectivity of St. Christophe as a representative of a reflexive subject, so that we can show in what aspects the reflexivity is a modem project that was doomed to be a failure and also how this failure was turned into the thinking of the outside(la pensee du dehors), which was delved into, for example, by M. Foucault, M. Blanchot and M. Heidegger.

      • KCI등재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쓰기 부진아 지도 방향 모색

        최종윤 ( Choi Jongyoon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0 No.-

        본 연구는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쓰기 부진아 지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서의 성찰과 성찰적 글쓰기를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쓰기 부진아 지도의 선행 연구를 살폈다. 성찰적 글쓰기를 활용한 쓰기 부진아 지도의 교육적 가치는 첫째, 쓰기 부진아의 상위 인지 형성과 자기 점검 및 조절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점, 둘째, 쓰기 부진아가 성찰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 셋째, 쓰기 부진아의 쓰기 태도 함양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성찰적 글쓰기를 통한 쓰기 부진아 지도 방향은 성찰적 글쓰기 장르의 특성, 자신의 쓰기 행위를 공유하는 성찰적 글쓰기 지도 방향, 삶의 문제를 공유하는 성찰적 글쓰기 지도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쓰기에서의 성찰을 구체화하고, 쓰기 부진아 지도를 위한 성찰적 글쓰기의 방향을 설정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a direction for instructing Struggling Writers in writing through reflective writing. Hence, it conducted the theoretical review on reflection in writing and reflective writing, investigating the precedent studies on instruction for Struggling Writers. The educational value of teaching Struggling Writers using reflective writing is as follows. First, it can form higher cognition and improve self-checking and control abilities of Struggling Writers, Second, Struggling Writers can experience reflection. Third, reflctive writing can cultivate writing attitudes of Struggling Writers. Instructional directions for Struggling Writers through reflective writing were suggested, dividing them into instruction of reflective writing genres, that of reflective writing sharing one’s writing and that of reflective writing sharing matters of one’s life.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pecified reflection in writing and set a direction of reflective writing for teaching underachievers in writing.

      • KCI등재

        성찰의 원리와 성찰언어 교육의 방향

        이성영 한국어교육학회 2023 국어교육 Vol.- No.181

        성찰언어는 품위와 개성 있는 국어 생활의 요체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성찰이 어떤 원리에 따라 작동하며 그에 부합하는 성찰언어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성찰의 원리는 3가지이다. 성찰은 자기를 대상으로 하며 더 나은 자기를 위한 행위라는 점에서 자기 관여성을 지닌다. 그리고 성찰은 인지와 정서가, 성찰 수행의 각 단계가, 나아가 무엇보다 성찰과 실천이 서로 되먹임되는 순환성을 지닌다. 또 성찰은 자족적 행위가 아니라 맥락적 요구에 부응하고 타자와 상호작용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생태성을 지닌다. 따라서 성찰언어 교육은 이들 성찰의 원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자기 관여성과 관련하여 가급적 학생들 자신의 언어를 성찰언어 활동의 자료로 활용할 것, 순환성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보다는 가급적 보여주기를 통한 교육에 더 무게를 둘 것, 생태성과 관련해서는 자기와의 대화뿐 아니라 타자와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 등을 교육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이론에서의 성찰개념 분석

        신기왕(Gi-Wang Shin),안병환(Byung Hwan Ah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성인학습이론의 전개 속에서 성찰의 개념을 분석하고, 성찰에 대한 인지적·비판적·철학적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성찰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성찰은 경험학습 담론에서의 인지적 성찰에서 출발했다. 경험학습에서의 성찰은 사전 지식과 관련시킴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생성하고자 하는 성찰이다. 성찰이 지향하는 최종목적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우리의 이전의 믿음과 가정,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담론을 통해 편견을 없애려고 노력하며, 증거와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의 정당성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성찰이 완전하고 객관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없을 지라도 그 결과는 궁극적으로는 다수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성찰개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성찰개념은 학습과 관련된 접근방식을 확장시켰다. 둘째, 성찰개념은 우리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성찰개념은 학습을 인간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확장시켰다. 넷째, 성찰은 학습을 교수자의 어떤 의도나 예상을 뛰어넘는 개인적·사회적·조직적 변형과정으로 확대시켰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급속한 변화와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성찰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의 종합적 사고능력을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학습과정이다. 성찰은 단순한 지식습득을 넘어 종합적·총체적인 인간 성숙을 추구한다.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적 신념으로 성찰학습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flec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the development of adult learning theory and understanding the cognitive, crit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reflection. Reflection started from cognitive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is reflection that seeks to generate meaningful results by relating it to prior knowledge. The ultimate goal of reflection is not only to acquire knowledge, but to think about our previous beliefs and assumptions and their meaning. They try to eliminate prejudice through discourse, and they make decis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ir thoughts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evidence and arguments. Although reflection may not reach a complete and objective result, it can ultimately reach a rational and ideal result that the majority can trus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First,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the approach related to learning. Second, the concept of reflection suggests a learning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cope with structural changes in our society. Third,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learning to work at all levels of human society. Fourth, reflection extends learning into a process of personal, social, and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hat goes beyond any intention or expectation of the instructor. The society we live in is facing rapid change and complex problems. Reflection is a necessary learning process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in children as well as adults. The concept of reflection goes beyond simple knowledge acquisition and pursues comprehensive and holistic human maturity. It's time to begin the discussion of reflective learning with positive beliefs about huma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