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정명혜(Jung Myung Hy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As the national and social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and its status as a national policy has been ra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for a short period of time. Despite this fact, it still has, however, many quality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too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agencies such a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Ministry of Justice a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rounds for the agencies’ participation in that education and their major projects, and analy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laws pertaining to each agency. Based on this,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suggested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ies. Firs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reoverlapping and confusing because several agencies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different laws. So,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be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vary according to the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brandsthat re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Third,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socio-cultural differencesby countr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target countries. Fou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diversity in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ational standardized curriculum and standard textbooks. Fifth,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s, there is sufficient support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whereasthere exists an educational blind spot for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olicy for foreign workers. 한국어교육은 국가 사회적 기능이 확대되고 국가정책으로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짧은 시간 동안 양적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양적 성장만큼 질적 내실화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한국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부처별 사업 참여 근거 및 주요 사업 내용을 살피고 각 부처별 한국어교육 정책과 법령을 분석, 이를 토대로 한국어교육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모색했다. 첫째, 한국어교육 정책은 여러 부처가 각기 다른 법에 근거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중복과 혼선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부처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교육은 교육 대상에 따라 교육기관도 다양한데 한국어교육의 대표 브랜드를 육성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한국어교육 지원정책은 국가별 사회문화적 차이를 반영하지 않은 채 획일적인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국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교육은 외연에 비하여 교육 콘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국가 수준의 표준교육과정 및 표준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 한국어교육 대상자 중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은 많으나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사각 지대이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어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홍동희(Dong Heui H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본 연구는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1994년 이집트 주한국대사관에서 초급 한국어반을 개설함으로써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첫발걸음을 뗀 이후 이집트 내 대학들을 비롯해 여러 한국어 교육 기관이 설립되어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이집트는 아랍국가 가운데 한국 교육의 선두주자로서 중차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국가이기도 한데 중동이라는 지역적 제한과 외부적 여러 요인으로 인해 교육 현장의 성장과 발전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에 향후 이집트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현시점에서의 고찰과 분석,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시작 및 발전 현황을 고찰하고 현실적인 개선 과제를 제시해봄으로써 향후 이집트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본 연구가 작게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and proposes improvement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in the future. Since 1994, when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Egypt opened a beginner Korean language class,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steadily. Egypt is also a leading coun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Arab countries, but it has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field due to regional restrictions in the Middle East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analyze, and check currently.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gypt and presenting realistic improvement tasks.

      •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아자디 세계언어 대학교와 아시가바트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마메도브라힘 ( Mammedov Rahy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이 연구는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본 다음에 한국어 교육이 가지는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투르크메니스탄 내 한국어 교육의 중심 기관인 아자디 세계언어 대학교와 아시가바트 세종학당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 대비 평균 수준까지 발전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의 발전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노정(露呈)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아자디 세계언어 대학교와 아시가바트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현재 한국어 교육이 처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기반으로 향후의 진흥책을 마련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와 발전 방향으로 주로 한국어 교육 과정의 개정,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 한국어 교원 양성 그리고 그 외의 과제들을 심도 있게 짚어보았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모든 문제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최소한의 사항이라고 판단되며 앞으로 한국어 교육이 장족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investigation aims to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urkmenistan, and then discussing the problems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have developed to an average level compared to other Central Asian countries at Institute of World Languages named after Azadi and King Sejong Institute in Ashgabat the central institu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However, as many problems are being dealt with in the development of this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Institute of World Languages named after Azadi and King Sejong Institute in Ashgabat, which have not been of interest so far. And based on the fundamental problems fac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stitutions, future promotion measures were prepared. In this study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mainly focused on the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textbooks, the Korean teacher training, and other tasks. All problems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urkmenistan are considered to be the minimum that must be urgently solv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pe that will make great strid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 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중심으로

        마쯔자키 마히루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8 한국어문화교육 Vol.2 No.1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한국어 과목의 개설 상황 및 학습자 수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최근 일본의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공통점도 있으나 다른 문제가 있기도 하다. 고등학교에서는 교육의 기준이 없는 것과 한국어를 포함한 제2외국어 영역이 없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대학교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교원의 확보 및 소인원수 교육의 실현이 과제가 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d the present state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cently classes of the Korean language have increased at high-school and university in Japan. Therefore I analyzed various data about two points of the next. (1)The number of schools which can learn Korean language. (2)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Korean language. During several years the Korean education in Japan spreaded rapidly, but there is the problem that should have been got changed and improved. For development of the Korean education in Japan, it is important that these problems are settled.

      • KCI등재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India

        니르자씽 한국어교육학회 2006 국어교육 Vol.0 No.121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ereby it includes Korean language a part of foreign language researches in India. This paper looks at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with its focus on the point view of Indian students and teachers. With an analysis of the students' aim of learning the language and its comparison with the goals of curriculum design at the centre, this paper highlights some of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the students in their proces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Presently, the regular Bachelor course of Korean language can be distributed as Ist year, 2nd year and the 3rd year. While the students take admission in all these courses, their original aim for learning the language is to grow a communicative competence in Korean and so to have a future in this field. But with their course of studies, they loose their future hopes with it and are not being able to show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the language and the only objective they have for it, is to get the Bachelor Degree from the university. Highlighting such students and course design oriented problems, this paper talks about few necessary approaches and suggestions for finding out an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dian situation of learning foreign languages. This interprets the kind of learning methods the Indian students' aim for in learning Korean in India.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인도.·한국 간의 우호적인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도에서 외국어 교육의 일분인,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인도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검사하고 이에서 한국어 교육 대상자인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을 모아 학습목표와 한국어 교육과정 목표를 확인하여 현재 인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논쟁점을 밝히기로 한 것이다. 현재 인도에서 학습자들의 학습목표가 1학년, 2학년, 3학년의 과정에 따라, 조금씩 변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원래 목적인 한국어의 우수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며, 한국어 분야에서 전망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지 않아, 대학교 학사 학위 취득에만 목적으로 바꿔 가고 있는 것이 문제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학습자 목적인 ‘일상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에 있는 문제점들을 확인하여, 이러한 교육환경에 대한 제안과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인도학습자에게 바람직하며 효과적인 한국어 지도방법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뜻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 : 교육과정,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창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ies, focusing on curriculum,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prospect to it’s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Thanks for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s success, Korean language in Japan brought to remarkable growth. Since the large-scale survey on the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had carried out in 2005 by THE JAPAN FORUM, no survey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time’s survey, ‘Korean as major course’ has been set up in 23 universities, ‘Korean as general course’ in over the 50% of universities. As for ‘Korean teachers’, more than half was occupied by the native teachers. As for ‘Major’ concerned, the teachers who majored in Japanese language or Japan studies occupied more than the ones majored Korean studies(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students’ motivation, they had extremely low motivation to learning Korean, along with the results of 10 years before. Here,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is not established systematically yet, is insufficient in teachers who majored KFL, and the students’ motivation to language learning is too low. SO I suggested here that more Korean researchers have to do a classroom-based research extensively, thoroughly, based on theory, and have to accumulate the results, and then to apply them to the field.

      • KCI등재

        A study on the level of mastery of advanced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Chungsook Kim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어 교육 Vol.26 No.영문호

        본 연구는 한국 내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의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각 기관 교육과정의 숙달도수준이 국제통용 한국어교육표준모형의 등급 체계와 비교해 어느 정도의 숙달도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의 참조 기준이 되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5~7급의 총괄목표와 화제, 기능 항목 및 주요 한국어 교육기관 고급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화제, 기능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교육기관의 교육목표 및 교육 내용을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교육기관 내 교육목표와 교육 내용 간 숙달도 수준도 비교분석하였다.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고급(5~6급)의 교육 목표는 사회적·추상적 화제에 대해 의사를 표현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전문 분야나 친숙하지 않은 사회적 화제에 대한 발표, 토론, 대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제와 기능 교육 항목도 이에 맞춰 제시되었다. 분석대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5, 6급 수준에서 7급에 이르기까지의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6급 목표로 ‘전문적 영역, 학문적 주제, 전문적 자료, 대학 강의 수준의 활동, 복잡하고 전문적인 활동’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7급에 해당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한국어 고급교육과정의 화제는 전반적으로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고급화제로 제시한 항목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어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의 고급 수준과 일치하는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제가 특정분야에 치우쳐 있고 화제를 전문적 깊이로 다루지 못하고 있어 각 교육기관이 설정한 고급 교육목표와 화제 사이에 수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대상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의 기능 범주는, 고급 수준의 기능 항목이 균형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초급이나 중급이 교육 권장 등급으로 제시된 기능의 출현 빈도가 높아,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에서 제시한 것보다 낮은 수준을 보인다. 교육기관의 고급 기능 항목을 각 교육기관의 고급 교육목표와 비교해 볼 때도 상당한 수준 차이가 있다.(고려대학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dvanced Korean Language curricula at major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further compare the mastery level of the advanced curriculum with the rating system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 order to do this, the general objectives and items of topics and functions within Levels 5 to 7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along with the objectives, topics and functions in advanced curricula in major Korean language institutes were analyzed. Followed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in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nstitutes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e level of mastery between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bjectives in Levels 5 to 6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were expressing opinions regarding social and abstract topics, and understanding topics from professional fields unfamiliar to the learner in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debate. The items of topics and functions were also provided accordingly. The objectives that were analyzed from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were set from Level 5 and 6 to Level 7 in the Standard Curriculum. Among the Level 6 objectives, ‘professional fields, academic topics, professional materials, university level tasks, and complex and professional tasks’ were included as significant portion and this is equivalent to Level 7 in the standard curriculum. The topics from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mainly included the topic items within the Standard Curriculum and were equivalent to its advanced level. However, there was an imbalance of topics in certain fields and the topics were not covered in depth; moreover, the differences between levels amongst topics in the advanced curriculum of each institute were evident. Regarding function, there was also an imbalance in items in the advanced level curriculum and a high frequency of functions from the basic or intermediate level; therefore, the functions in the advanced curriculum were lower than the suggested level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unctional items compared with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each institute were also significant.

      • 고려인 이주민을 위한 ‘고려인 한국어 교사 되기’ 내러티브 탐구

        안정민 ( Ahn¸ Jeongmin ),임은실 ( Eunsil Y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이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출신 교사를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들이 한국어 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히고, 이들에게 필요한 교사 양성 및 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현재 재한 고려인은 약 72,000명이며 한국으로의 고려인 이주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으나, 고려인 이주자의 낮은 한국어 숙달도는 한국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데에 장애 요건이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 국내로 이주하는 고려인이 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논의도 늘어났으나 ‘학습자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연구 외에 ‘교사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찾을 수 없다. 지금까지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 대하여 직접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는 국내 거주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사와 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고려인을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교사들도 있고, 학부나 대학원 등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이후에 한국어 교사가 된 경우도 있다. 특히, 민간단체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 중 고려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한국어 교사가 많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인 교사를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을 받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로 나누어 한국어 교사들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향후 고려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연구참여자의 삶의 역정, 경험, 의지, 세계관 등을 존중하되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자의적인 (재)해석을 미세하게 찾아내고, 다양한 자료와 참여적 현장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에 방점을 둔다. 더 나아가, 이주자가 원래 살아왔던 국가와 이주 후 정착 국가, 즉 고려인 한국어 교사가 속한 국가(예컨대, 우즈베키스탄)에서 삶과 그가 생활했던 혹은 하고 있는 이주국(한국)에서 삶, 그리고 정착 과정, 특히 한국어 습득과 교원 자격 획득 과정을 총체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사를 전문 한국어교사와 비전문 한국어 교사로 나누어 인터뷰하고, 인터뷰 내용을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경험, 한국어 교사로서의 경험(한국어교육 형태,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로서의 강점/약점,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등으로 범주화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 및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려인 비전문 한국어 교사를 위한 현실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려인을 가르칠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게 러시아어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진행하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내 거주 고려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이 제도화되고 효율적으로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려인이 다문화가족지원법 등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This study is the product of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individual, group, institution, national, transnational) on the narratives of Koyroin (CIS Korean diaspora)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CIS Korean migrants in Korea. It aims to reveal the process of becoming Korean teacher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 development and re-education for them. Currently, there are about 72,000 Koyroin residing in Korea. Although the number of Korean migrants from the CIS continues to increase, their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is an obstacle to a stable life in Korea and is considered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problem. Research on teaching Korean to these people has multiplied recently, but there is no specific discussion of “Koryoin as teachers” o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Koryoin as learners.” It is from this observation tha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genesis of Koryoin teachers, their roles and training while resituating them in the space of the discussion on teaching Korean to CIS Korean migrants in South Korea.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for Koryoin, there ar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no previous professional training. In particular, while the majority of Koryoin language teachers work in private institutions, only a minority of them have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who have undergone professional 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ose who have not. This distinction helps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y fa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needed for future Korean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ivilege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center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 which gives priority to the interviewee, allows for a more efficient collection of information such as family life, educational background, professional experiences, disposition, and worldview, but also for the discovery of the interviewe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re)interpreted trajectory. This analysis must be crossed with various types of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traversed by the individual. In addition, our study is also based on a double observation, on the one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the migrant originally lived, and on the other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he/she settled after emigration, without forgetting other elements such as settlement process, mode of acquir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etc.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ethodology, Koyroin language teachers were divided into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the teacher’s experience. The analysis also focu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training programs they attended as well as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Finally,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and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research, we present some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training programs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Koyroin teacher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ealistic training plan for non-professional Koyroin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teach Koyroin language teachers efficient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Russia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ir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circumstances of Koyroin teachers, it is imperative to institute a system that allows them to receiv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문윤주(Mun Y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2013년에 고시된 한국어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2017년에 개정 한국어교육과정이 수정 고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안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가장 본질에 해당하는 수업의 두 축인 교사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7년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학습자와 교사측면에서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맞춘 개별화된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이것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넘어선 네트워크의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 전문 교사가 필요하며 현재 교원양성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대와 사대에서 한국어 교육과를 신설해야 하며 현직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KSL 강사와 이중 언어 강사의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중요함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성상 전체 교사의 참여와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다가올 다문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와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 기를 기대한다. Mun Yunju. 2018. The suggestion that How can KSL take root in the Class. - Focus on KSL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lass. The J 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8. 17-34. The new KSL was notified on September 2017. It has reflected a lot of improvement compare to ver. 2013. But KSL still was not took root in the clas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ome problem about KSL and suggest some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Class. It will be proceeded by two way (student and teacher). In terms of students (in KSL class), They need a personalized curriculum. But they can’t be supported by school system. This problem will be solved by floating curriculum. And it needs a regional network over the school. In terms of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teaching ability for the KSL is very unsufficient. They need a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they must ha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e’ based on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후보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3 한국어 교육 Vol.14 No.3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 is increasing, yet the learners with general purpose are still the majorit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lso, the learners with specific purpose should cultivate most of their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s a basis at the early stage of communicative training. In the manuscript it is presented the layout of the process and the principle of an integrated syllabus that teaches the Korean language as a unity without a classification between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language skill. For this interest, the plan of an integrated syllabus was exhibited along the purpose of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which is the objectiv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principle of selecting and arranging the subject of education, the following was suggested: 1) the inclusion of a fundamental subject for the specific purpose, 2) the inclusion of both the Korean particularity and mankind universality, 3) the arrangement and delineation of education subject by frequency application as a standard, 4) the distinction between education subjec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purpose, 5) the disposition of a circulating arrangement of educational subject. Furthermore, each educational element or requisite organized by connection was presented with the following principles: 1) the assurance! of the relevancy between educational aim and educational subject, 2) the composition of a non-linear educational subject, 3) the arrangement of a task, centered in the process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