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서 종교철학의 역할: “내한 선교사 편지(1880-1942)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경험을 통하여

        김종우 ( Kim Jong Woo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본 연구는 디지털문화의 확산과 심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인문학이 이를 수용하면서도 어떻게 과학주의로 전락하지 않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서 진정성 추구를 통한 텍스트의 인격성 회복이 관건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논문은 연구자가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사업에서 추구하는 의의와 함께 그 한계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이 문제를 분석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안적 해결로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서 과학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종교철학의 역할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필자에게 지난 1년간의 연구 경험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학문함에 대한 체험을 통하여 ‘디지털 인문학’의 이념을 마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인문학자들에게 그것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에서 불가피하고 당위적인 것으로 이해되지만, 다른 이들에는 과학주의적 기획에 의한 인문학의 변질로 비춰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인문학의 한 분야인 종교철학적 연구를 통해 접근하였으며, 그때 인간 정신과의 연관성이 단절된 환원주의적 과학인식으로의 고착화와, 텍스트가 그것을 산출하고 해석하는 인간의 정신과 무관하게 존재할 수 있다는 대상화된 의식으로의 고착화는 곧 과학주의를 뜻한다. 하지만 텍스트성의 질적 전환의 여부와 무관하게 인간의 책임성은 회피될 수 없으며 텍스트 인격성의 망실은 곧 과학주의의 결과인 것이다. 한편 디지털 종교 현상의 출현은 디지털 신학을 촉발하였고 이들은 “신학적 윤리에 비추어 디지털성에 대한 예언자적 재평가”를 주된 목표로 설정했다. 본 연구에서의 종교철학적 접근은인문학과 신학의 교차영역으로서 디지털 신학의 목표와 공명하면서 텍스트 인격성 회복을 위한 진정성 추구를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서의 자신의 역할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특히 디지털 인문학이 추구하는 공유와 협업의 정신이 진정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사-종교화된 과학주의를 견제할 수 있는 종교철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My research experience in building a digital archive of Protestantmissionary letters from Korea(1880-1942) over the past year gave 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However, there was a debate about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the issue was whether it was derivative of scientism. Applying Bernard Lonergan’s understanding, the place where the “digitization of humanistic texts” becomes a problem of scientism lies in the reductive recognition of the “method (of science)” and the depersonalization of the “text.” But authenticity as a human potential makes it impossible to avoid its responsibility evenwhenwe think the digital text exists by itself. In other words, the right question is not whether to use scientific language, it’s the authenticity of the human being and the personality of the text. Accordingly, resonating with the goals of digital theology, philosophy of religion intends to position “the pursuit of authenticity for the recovery of text personality” as its role in the research of digital humanities.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사례 연구: 초기 내한 선교사 사료 수업과 연계하여

        한미경 ( Han Mikyung K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도 활발해지고 있는 디지털인문학이 더욱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디지털인문학 교육도 더 효율적이 되어야 함을 전제로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업의 모델을 고안하는 것이다. 먼저, 디지털인문학 교육 관련하여 현재 세계 각지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육 사례들을 총체적으로 개관하였고, 이어서 정규 교육으로 개설되었던 수업 중 여섯 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구체적인 사례로 정부의 지원으로 수행되고 있는 <내한 선교사 편지 디지털 아카이브>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연세대학교 연합 신학대학원이 디지털인문학을 교회사의 새로운 수업 방법론으로 적용해 보기 위하여 개설되었던 <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재한선교사 연구 >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 수업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들은 기존의 디지털인문학 수업의 강점을 분석하여 본 수업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창의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들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료적 가치가 충분한 내한 선교사 편지라는 1차 자료를 한국 교회사의 맥락에서 면밀히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디지털인문학의 기법을 교회사 연구에 접목하는 실전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인문학을 연구해 온 다수의 대학원생들은 디지털 기법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수업을 고안했다. 특히, 기술적인 영역은 따로 제작한 영상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수업을 마칠 무렵에 학생들은 몇 가지 디지털 툴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학기말 과제는 출판을 전제로 고안되었으며 실제로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하나의 팀이 되어 완성한 과제물은 웹 사이트(www.kmhistory.com)를 통해 공유되었다. 그리고 수업의 중간 과제물이었던 선교사 편지의 전자 편찬은 XML-TEI 파일을 만들어 미국 디지털인문학 사이트인 TAPAS Project를 통해 출판했다. 웹 사이트의 구축의 경우 참여 학생들이 특정한 선교사에 대하여 연구한 뒤에 결과물을 워드프레스에 입력했고 매핑과 타임라인을 동료들과 협업하여 완성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은 융합적인 학문의 특정상 디지털인문학센터를 구축하는 것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This paper examines multiple cases of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offered in recent years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abroad. Six digital humanities cour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aching plans. This paper also introduces ‘Korean Church History in Missionaries Letters,' a digital humanities course offered in Spring 2021 at Yonsei University’s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which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es carried out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course allowed students to experiment with the primary sources of the early missionaries in Korea an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various digital tools. Through the course,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complete a final project as a team-namely, building a website on the works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ed individually to create XML-TEI files, then uploaded them to the TAPAS Project website.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e need for digital humanities centers, which can play a major role as a hub for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on campus.

      • KCI등재

        자율 공동체로서 서구대학의 역사와 조선기독대학(연희전문학교)

        윤혜준 ( Yoon¸ Hye-joo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20 No.-

        ‘조선기독대학’(Chosen Christian College)은 ‘대학’의 이름을 쓰지 못하고 ‘연희전문학교’로 존재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대학수준의 교육 기관이었다. ‘조선기독대학’(연희전문)은 교육과정에서뿐만 아니라, 그 설립 정신과 운영 방침에 있어서, 12세기부터 내려온 서구 대학의 자치와 자율의 전통을 한반도에 이식시킨 진정한 의미의 대학이었다. 중세 서구대학들은 교황 또는 황제의 칙령에 의해 광범위한 특권을 보호받은 자치 길드(universitas)들이었다. 실용학문이 아닌 “일곱 자유학문”(septem artes liberales)을 라틴어로 가르치는 중세대학들은 지역과 국적을 넘어서는 보편성을 추구했다. 또한 기독교적 자율공동체(collegium) 생활 속에서 도덕적 인물로 학생들을 키우는 인성교육을 중시했다. 근세 시대로 접어들자 군주들의 세속권력 강화에 따라 대학의 자율성이 침해되었고 인문주의의 영향으로 학문의 패러다임이 ‘새로운 지식생산’으로 변하며, 서구의 자율적 대학들은 사회적실용성의 이름으로 제기되는 다각적인 도전에 직면했다. 또한 계몽주의 시대와 프랑스 혁명을 거치며 자율적 자치대학과는 전혀 성격이 다른 국립 고등 전문교육기관들이 설립되었다. 여기에 맞서 학문의 수월성과 자율성을 동시에 추구한 훔볼트(Humboldt)적 이상을 따르려는 움직임이 독일에서 등장했지만, 훔볼트적 이상은 독일에서보다도 중세적 자치 전통을 꾸준히 유지해온 영미 대학들에서 오히려 제대로 구현될 수 있었다. 이 시기에 조선에 세워진 ‘조선기독대학’은 영미의 자율적 칼리지 모델을 따라 기독교 교육을 토대로 한 자율성 함양을 추구하였고, 높은 수준의 전공 과정을 개설하여 훔볼트적인 연구 수월성 및 실사구시의 정신도 실현한 놀라운 기획이었다. The founding of Chosen Christian College (Yonhui College) in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was a bold and potentially subversive project that went against the grain of the colonial regime's policy of confining higher education in Korea to technical instruction geared to the needs of the empire. As a veritable university college, Chosen Christian College grafted itself on the venerable history ofWestern university, rooted in the heritage of autonomy and self-governance granted by the Emperors and Popes to the medieval universitas, or the corporate bodies of students and scholars in Bologna, Paris, Oxford and Cambridge. The collegiate formof Chosen Christian College transplanted to the soils of Korea the ideal of self-discipline and self-respect of themedieval collegium. The pressures on the autonomous universities posed by early-modern nation states to becomemore practical and functional for the benefit of the state and society took severe tolls on the universities in Continental Europe, even as the Humboldtian ideal of free research sought to safeguard some part of the academic autonomy enjoyed by medieval universities. Itwas the British andAmerican universities, whose corporate independence had been well preserved throughout the ages, who creatively adopted the Humboldtian model to enrich the scholarly vitality of self-governing colleges. This combination of collegiate autonomy and academic pragmatism was the objective pursued by the founders of Chosen Christian College.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의 독서법 -멀리서 읽기에 관한 성찰-

        이덕재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6 No.-

        Since the 18th century, European novels have changed their reading method from careful reading to extensive reading, and have taken a dominant position in world literature. Today, there has been a change in reading methods. This is because digital humanities has appeared. Every branch of liberal arts share the same reading method, "close reading." However, digital humanities use "distant reading." To read from afar is to look at the whole thing far away from the text. Moretti organized Graph, Map and Tree as visualization methods for reading from afar. Reading books digitally is not just a change in reading tools, but a change in reading way. It is a reading that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reading methods used by mankind. However, this is due to quantitative changes. One man's short life span is not enough to read a whole book.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it is possible to handle an entire book. (1) In other words, digital humanities is a shift from familiar reading to distant reading. It is not only about reading individual book(s), but a reading of the field in which the book stands. (2. Graph) This is a change from the canon to a reading method for the whole book. Furthermore, it is a shift from passive reading that accepts knowledge to essential reading. (3. Map) It's not a copy of the world, it's map-making reading. Moreover, it is a shift to a view of the world as a network of relationships rather than a collection of individual places. (4. Tree) It is a reading that breaks away from the platonic structure of the original Canon and the rest of the rival copy. In addition, trees have the potential to revive the value of dead branches in differentiated branches. 18세기부터 유럽 소설은 정독에서 다독으로 그 독서법을 바꾸면서 세계문학에서 지배적인 위상을 차지했다. 현대에도 독서법의 변화가 생겨났다.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유학자이든 헤겔주의자이든 후기구조주의자이든 신학자든 같은 독서법을 공유하고 있다. 가까이 읽기(close reading)가 그것이다.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독서법은 인문학 연구자가 당연시하는 전제다. 반면 디지털 인문학은 가까이 읽기를 뒤집는다. 멀리서 읽기(distant reading)가 그것이다. 멀리서 읽기는 텍스트에서 멀리 떨어져서 전체를 조망하는 독서이다. 이때 가까이 읽기로는 읽어낼 수 없는 지평이 드러난다. 모레티는 멀리서 읽기의 시각화 방법으로서 그래프(graph), 지도(map), 나무(tree)를 체계화했다. 이 방법들의 함의를 사유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디지털로 책을 읽는 것은 단순히 독서 도구의 변화가 아니라 독법의 변화다. 지금까지 인류가 해온 독서법과는 질적으로 다른 독서이다. 그런데 이는 양적 변화에서 기인한다. 한 사람의 짧은 수명으로는 인류가 적은 책 전체를 읽을 수 없다. 그런데 컴퓨터의 발달로 책 전체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1) 즉 디지털 인문학은 가까이 읽기에서 멀리서 읽기로의 변화다. 나아가 개별적인 책들이 아니라 책들이 서 있는 지평에 대한 독서이다. (2) 정전(canon) 중심에서 책 전체에 대한 독서법으로의 변화이다. 나아가 지식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독서에서 질문이 필수적인 독서로의 변화이다. (3) 세계에 대한 사본을 얻는 것이 아니라 지도를 만드는 독서이다. 나아가 세계를 개별적인 장소들의 집합이 아니라 관계의 그물로 바라보려는 관점의 전환이다. (4) 원본인 정전과 경쟁자인 나머지 복사물들이라는 플라톤적 구도를 벗어나는 독서이다. 나아가 나무는 분화한 가지 중에 죽은 가지들의 가치를 되살릴 가능성을 품고 있다.

      • KCI등재

        근대계몽기 한글 학습서의 표기와 음운 현상 - 『초학언문』의 세 가지 이본을 중심으로

        김은솔 ( Kim Unsol ),한영균 ( Han Young-gyu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20 No.-

        본고에서는 근대 계몽기에 한글 학습서로 사용된 『초학언문』을 대상으로 하여 판본에 따른 내용, 표기 및 음운 현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학언문』은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 마가렛 벵겔(Margaret J. Bengel)이 저술한 초학자용 한글 학습서다. 1895년 초간본 발간 이후 여러 차례 수정 간행되었으며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초간본 외에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의 연대미상 8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의 1909년판이 있다. 연대미상본과 1909년본은 초판(1895)의 내용에 한글 학습 자료 두 공과와 읽기자료네 편이 더해졌다. 추가된읽기자료는 성경이야기한 편과설명문 세 편인데 설명문은 모두 국한혼용문으로 되어 있는 『신정심상소학』(1896)에 실린 이야기를 순한글로 바꾼 것이다. 연대미상본과 1909년본 사이에는 내용이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행정 구역을 설명하는 글에서 평안북도 감영의 위치와 항구를 관장하는 관원명의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로 보아 연대미상본은 1896년과 1897년 사이 어느 시기엔가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학언문』의 표기상의 특징으로 ‘ㆍ’의 표기, 어두 ‘ㄴ’과 ‘ㄹ’ 표기, 경음의 표기, 어중 ‘-ㄹㄴ-’의 표기, 종성의 표기, 종성 체언의 표기, 치찰음 아래에서 이중 모음의표기를 살펴보았다. 같은 시기에 발행된 국한혼용문 국어 교과서에서 ㅅ계 합용 병서와 ㅂ계 합용 병서를 사용한 것과 달리 『초학언문』에서는 ㅅ계 합용 병서만 쓰였다. 또한 ‘ㄷ, ㅅ, ㅈ, ㅊ, ㅌ, ㅎ’ 종성을 중화음[ㄷ]이 아닌 ‘ㅅ’으로 표기한 것이 특징적이다. 주로 분철 표기가 이루어졌으나 일부 중철과 재음소화 표기 방식이 사용되었다. 표기의 변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ㆍ’의 변화지만 변화 양상에서 어떠한 경향성을 도출하기는 어렵다. 다만, 『초학언문』(1895)보다 『초학언문』(1909)에서 더 일관성 있는 표기를 보인다. 음운 현상으로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고모음화, 전설모음화, 탈락을 살펴보았다. 구개음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특징적이다. 원순모음화는 실현형과 미실현형이 공존하며 고모음화와 전설모음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탈락은 이 유지된 형태와 탈락된 형태가 모두 나타난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contents, transcriptions, and phonological phenomena based on Chohakeonmun, a Hangul textbook for beginners written by Margaret J. Bengel, an American Methodist missionary. This is written in Hangul and was used as a textbook at Pai Chai College. The surviving publications are the first edition (1895), eighth edition (publication dates unknown), and a version published in 1909 (edition unknown). The eighth edition and the one published in 1909 contain two more chapters for studying Hangul and four more reading materials than the first edition (1895). The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are one episode from the Bible and three pieces of expository prose, all of the latter being drawn from the Shinjungsimsangsohak (1896) and translated into Hangul.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eighth edition and the one published in 1909 except for the location of Gamyeong (the seat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in North Pyongan Province and some names of positions in a text explain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erefore, the publication date of the eighth edition is estimated between 1896 and 1897. Transcriptions of “ㆍ,” an anlaut “ㄴ” and “ㄹ” a hard consonant, a word-medial “-ㄹㄴ-” and a final consonant, and a diphthong after sibilants are transcription features of Chohakeonmun. Chohakeonmun used only “ㅅ” consonant clusters, while other Korean textbooks written in mixed scripts and published during the same period used “ㅅ” consonant clusters and “ㅂ” consonant clusters. Also, there is the feature of writing final “ㄷ, ㅅ, ㅈ, ㅊ, ㅌ, and ㅎ” as “ㅅ” instead of [t ̚]. Separate spellings were mainly used, but there were some cases of double spelling and double phoneme writing being used. The largest change in transcriptions is the change in “ㆍ” However, it is hard to determine tendencies from this change. Finally, the 1909 edition shows more consistent transcriptions than the first edition. We examined palatalization, vowel rounding, vowel raising, vowel fronting, and “ㄷ” dropping as phonological phenomena. One feature is that “ㄹ” palatalization rarely occurred. Vowel rounding consists of both applied and unapplied forms, and vowel fronting rarely occurred. “ㄹ” dropping appears with forms inwhich “ㄹ” is both maintained and eliminated.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인간이해와 인문학

        신승환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6 No.-

        This paper discusses the humanities of the digital age brought about by modern cultural transformation. To this purpose, this article explains the definition and content of the digital age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This changed cultural situation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but also cultural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This change then discusses the essence of the technology, which is at the core of the change, and the subsequent transformation of the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as it inevitably changes even the human existential situation. In a modern society represented by the digital age, technology does not simply have a methodical meaning, but an essential meaning that changes the entire existential situation of humans. In this context, discussing the existential factors of the essence of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is a consequent conclus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article. These discussions, which explain the digital age, eventually lead to the theme of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 result of existential changes, posthumanism, now emerging, is a philosophy associated with this novelty of human understanding. The article, which aims to explain the humanities of the digital age, pursues to achieve its purpose through the discussion of humanities related to critical posthumanism. Nevertheless this paper will discus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based on the changed human understanding after humanism, not simply in the context of transhumanism. 이 논문은 현대의 문화적 전환이 초래한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디지털 시대의 정의 및 내용과 이에 따라 생겨난 존재적 상황의 변화를 설명한다. 이렇게 변화한 문화적 상황에는 정보통신기술 뿐 아니라 생명공학의 발달에 따른 문화적 변화까지도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존재적 상황까지도 변화시키기에 그 변화의 핵심인 기술의 본질과 그에 따른 인간 이해 체제의 전환을 해명할 것이다. 디지털 시대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에서 기술은 단순히 수단적 의미를 지니지 않고 인간의 존재론적 상황 전체를 변화시키는 본질적 의미를 지닌다. 이런 맥락에서 현대 사회에서 기술의 본질이 미치는 존재론적 요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이 글의 본래 의도에 따른 당연한 귀결이다. 디지털 시대를 설명하는 이런 논의는 결국 존재론적 변화에 따른 인간 이해의 새로움이란 주제로 연결된다. 현재 새롭게 대두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은 이러한 인간 이해의 새로움과 관련된 철학이다.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을 해명하려는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과 관련된 인문학 논의를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그럼에도 이 논문은 단순히 트랜스휴머니즘적 맥락에서가 아니라 휴머니즘 이후의 변화된 인간 이해에 바탕을 둔 인문학의 내용과 특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문학 및 작가 연구와 DB의 활용 -김수영 DB ‘별길’의 데이터 분석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아,김재원,유시어도어준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4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of using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for literature and writer research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cases of database construction in which literature information and data are structured and modeled into a single database and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specific literature research using data cases inquired in the DB. The database used in this study is "Byul-gil," a Kim Soo-young literature research DB established by a research team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Yonsei University. The DB was built to contain all the articles related to Kim Soo-young for the user’s usefulness and convenience. However, this study does not stop there; it explores how this built database can be studied and utilized as academic knowledge, not just a set of data. Therefore, we conducted a historical and contemporary analysis of Kim Soo-young's research by inquiring about the data of "Byul-gi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Kim Soo-young's literature started in 1985 and is currently ongoing, but was most actively studied in 2013 and 2018.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capture the difference between studies conducted between 2013 and 2018 by a qualitative method of examining the study of Kim Soo-young's literature on a yearly basis. To that end, we calculated the number of papers by keyword provided by the database and presented a list of top keywords by yea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ist,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top-level keyword, the number of papers studied on related topics around a specific year is smal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view existing syntactic researchers through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in the age of computational turn. In particular, in modern literature, research on not only writers and literature but also images and popular cultural content is continuously carried out, so related research using the methodology is required. 본 연구는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현대문학 분야에서 문학 및 작가 연구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고는 문헌 정보와 자료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조화 및 모델화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DB에서 조회되는 데이터 사례를 활용해 특정 문학 연구의 연구 경향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소속 연구팀에서 구축한 김수영 문학 연구 DB인 ‘별길’이다. 해당 DB의 구축은 온전히 김수영 문학 연구에 대한 자료가 필요한 사용자의 원활하고 정확한 검색, 즉 사용자의 유용성과 편의성을 목적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를 통해 조회가 가능한 김수영 관련 논문 전반이 수록되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본 연구는 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가 단순히 학술적 정보 및 자료의 집합이 아닌 학술적 지식으로서 연구되고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미화 작업을 시도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별길’의 데이터를 조회해 김수영 관련 연구의 역사적·통시적 분석을 실행한다. 그 결과, 김수영 문학 관련 연구는 198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에 있는데 2013년도와 2018년도에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김수영 문학 연구를 1년 단위로 살펴보는 정성적 방법을 통해 2013-2018년 사이에 이루어진 연구들 간의 미세한 변화를 포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별길이 제공하는 주제어 별 논문 편수를 계산한 후에 연도별로 상위주제어 목록을 제시하고, 최상위 주제어의 경우에 특정 연도 전후로는 관련 주제로 연구된 논문의 편수가 확연하게 적은 편수를 기록하는 현상을 발견한다. 이에 더해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이 된 김수영의 작품을 온톨로지로 엮어 시각화하고 논문들 간의 관계성 및 그것들이 공유하는 맥락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연구사적 의의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기존의 통시적 연구사를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새롭게 조망하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다. 특히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작가 및 문학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영상 및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바, 해당 방법론을 활용한 관련 연구의 착수가 촉구된다.

      • KCI등재

        연세대학교 소장 가집 『옛시조책』의 특성

        김태웅 ( Kim Tai-woong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19 No.-

        가집 연구는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 많은 작품을 수록한 가집 등 일부 주요 가집에만 집중되었고 『옛시조책』처럼 소규모 가집에 대해서는 관심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소규모 가집들은 현전하는 가집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 가집들을 제외하고는 조선후기 시조사, 가집사, 가곡 연행 등의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소규모 가집들은 많은 수의 작품을 수록한 가집들보다 오히려 가곡 연행의 실상을 온전하고도 생생하게 담고 있다. 『옛시조책』도 단순하게 생각하면 52수의 매우 적은 수의 작품과 5개의 악곡 밖에 정보가 없는 가집이다. 따라서 연구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텍스트로 여길 수도 있다. 하지만 가집은 그 자체로 가곡 연행의 생생함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옛시조책』도 그 당대의 가곡 연행의 실상을 간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연대본 『옛시조책』의 서지정보 및 특성에 대해 살펴봤다. 살펴본 결과 비록 이 가집 전체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에 근거가 미약해 후속 연구로 미루고 악곡 및 사설변화 양상에 대해서만 살펴봤다. 이 가집에는 다른 가집과 달리 사설의 변이양상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특성은 실제 교본으로 활용된 가집이나 그 당대의 연행현장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증명하는 것임을 밝혔다. The study of the Song Book focused only on some major Song Book, including the containing many works such as 『Cheongguyeongun』, 『Haeedonggayo』, and 『Gagogokwonryu』, and was not very interested in small houses like 『Old Sijobook』. However, small-scale Song Book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ong Book,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ate Joseon Dynasty's survey, collection of songs. Smaller Song Book are more complete and vivid than those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works. To put it simply, the old Sijobook is a collection of 52 very few works and five pieces of music. 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inappropriate text to study. However, the Song Book itself retains the vividness of the song's execution. Therefore, the Old Sijobook also retains the fact that the songs of the time were taken. In this study, I looked at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old Sijobook. According to the survey, although the basis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Song Book was weak, I postponed it as a follow-up study and only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music and the words of the song. Unlike other Song Book, this Song Book has many variations in editorials, which it says proves to be a phenomenon that usually occurs at the actual Song used as a textbook or at the scene of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