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공공성 측면에서의 방과후학교 공적지원에 관한 고찰

        신기왕(Shin, Gi-Wa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21 공공사회연구 Vol.11 No.4

        그동안 교육공공성에 대한 논의는 불평등한 교육기회의 분배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아래 학교교육의 기회 배분에 주목하고 의무교육의 확대와 무상교육의 실시에 주목하여왔다. 이 연구는 교육공공성 관점에서 방과후학교를 사적영역이 아닌 공적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밝히고 방과후학교에 대한 공적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과 후에도 모든 학생들은 안전하게 보호되고 성장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새로운 학습 기회가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방과후학교의 공적지원은 공적재원의 투입과 민주적 공동체로서의 지역사회참여를 의미한다. 방과후학교가 학교교육의 하나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현실에서 방과후학교에 대한 안정적인 재원과 인력의 확보는 교육공공성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민주적 공동체 측면에서 방과후학교는 참여자들이 아동, 청소년의 삶과 성장을 위한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The discussion on educational publicness h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opportunities in school educa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is aggravating educational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Afterschool is being ope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education market and students as education consumers, and viewing the after-school program as a kind of educational product. After school, students need to be safe, grown, and provided with new learning opportunities to reach their potential.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al with Afterschoool in the public domain, not in the private domain, and seeks ways to support Afterschoool in the public domain. Public support for Afterschoool means the input of public funds in terms of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democratic community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e reality that Afterschoool play a major role in school education, secur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and manpower for Afterschoool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educational publicity. In addition, Afterschoool should be a place where the school community interacts democratically, interacts horizontally, and connects organically with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참여정부 방과후 학교의 소외계층과 자기주도 학습의 재조명

        신기왕(Shin, Gi-W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0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5 No.1

        참여정부의 방과후 학교의 소외계층 지원은 부모의 낮은 경제력으로 인하여 학교 밖의 사교육의 기회가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교육기회의 제공의 측면에서 교육비 지원의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 학교에서의 소외 계층은 학교 밖의 사교육의 기회가 불평등하게 제동되는 측면과 더불어 그들이 학교교육과정에서 주체로서의 존재감이 상실되어 가는 소외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학교에서의 경험이 학습자의 믿음, 느낌, 태도, 가치관이 왜곡되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지원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이 창의성과 잠재적 능력을 발휘하고 자신을 완성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 소외 계층에 대한 지원의 본질적 의미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소외 계층 학습자의 잠재적 능력을 발휘와 자신을 완성해가는 의미의 학습은 자기주도 학습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지금까지 이러한 학교교육과정에 있는 아동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은 자기주도 학습과 관련된 교수-학습의 기법이나 학습의 효과성과 관련한 인지적 요소들에 관심을 가졌다. 방과후 학교의 소외 계층과 관련한 학습은 이러한 기법과 효율성의 측면보다는 학습자의 내면의 다양한 느낌과 감정과 같은 포괄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것은 이러한 인본주의 관점에서의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접근과 더불어 소외된 학습자에 대한 자기주도 학습의 새로운 모색을 의미한다. After-school services support for the disadvantaged in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been driven for providing educational chances with the students who can’t go study in the private education after school due to their parents’ poor financial capabilities.However, in after-school services, the disadvantaged are going through the loss of existence as their identity on curriculums at schools, as well as the opportunities of the private education after school is taken unfairly. This means that experiences at schools give false true colors to learners’ beliefs, feelings, attitudes and their values.Therefor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support for the disadvantaged should aim not only developing one’s creativity and potential ability and bringing oneself to completion but also financing. This type of learning to develop one’s creativity and potential ability is discussed in Self-Directed Learning So far, researches of the formal education at sch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by the young has focused on skills of teach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learning which related cognitive factors. In after-school services for the disadvantaged and related studies, the necessity of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various inward awareness and feelings of the learners’is more suggested than that of the side of skills and effectiveness.This means, an approach to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point of humanist orientation, and a new search of that for learner from disadvantaged.

      • KCI등재후보

        마을방과후학교 개념화를 위한 학교방과후학교와의 비교 연구

        신기왕(Shin, Gi Wa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0 방과후학교연구 Vol.7 No.1

        마을방과후학교는 크게 학교의 지역사회화와 교육의 공공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학교방과후학교와 다른 특징을 지닌다. 학교방과후학교는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과후 활동에 제한되기 때문에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제한적이었다. 반면에 마을방과후학교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넓고 방식 또한 다양했다. 마을방과후학교는 지역사회의 자원이 학교에 참여하는 방식이 변화되고 범위가 확대되는 과정 속에서 출발하였다. 마을방과후학교는 교육부에서 주도한 학교방과후학교와 달리 교육청의 주도아래 추진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었다. 또한 마을방과후학교는 방과후학교의 공공성이 강화되는 가운데 제기되었다. 마을방과후학교는 교원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들의 업무 부담과 민간 위탁에 따른 학교방과후학교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방과후학교의 공공적 측면을 강화하려는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마을방과후학교는 교육청이 주도하고 지자체가 협력하는 관계이다. 본 연구는 마을방과후학교의 개념화를 통해 기존의 방과후학교 개념을 확장하고 학생의 올바른 성장과 발달을 위한 방과후학교 정책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fter-School outside school’is different from‘After-School inside school’ in the following aspects: 1) collabo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and 2) the communal nature of education. The‘After-School inside school’is limited to student’s activities within the school and therefore, limits the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while the ‘After-School outside school’has a wide range of collaborations with the community. The ‘After-School outside school’began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way in which community resources participate in supporting education. Unlike the‘After-School inside school’ that is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After-School outside school’was promoted as one of the Regional Education Office’s projects. The project is being executed to strengthen the communal elements of education and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private companies’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Education Office and the local government in ‘After-School outside school’project effectively supports student s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 연구

        신기왕(Shin, Gi-wa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8 방과후학교연구 Vol.5 No.1

        오늘날 방과후학교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공교육을 보완하는 것에서부터 방과후 특별히 갈 곳 없는 학생들을 위한 돌봄에 이르기 까지 그 사회적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추진과정에서 제기된 학교의 사회적 역할들이 방과후학교로 흡수되면서 수익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장성과 교육의 공공적 목적이 혼재되어 있으며 지역사회의 방과후학교 참여 방식도 강사계약에서 민간기관 위탁이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방과후학교는 운영 모형은 방과후학교 운영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기초가 되는 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방과후학교 운영모형은 지난 2006년 정부가 제시한 방과후학교 운영 모델에 기초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방과후학교 운영 모델은 10가지였지만 실제 학교에서는 학교장 운영과 위탁운영이라는 두 형태로 단순화되었다. 방과후학교 운영에 지역사회의 민관기관이 참여하는 수준과 방식이 방과후학교 운영 모델을 결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방과후학교에서 제시된 쟁점과 속성을 분석한 것을 기초로 방과후학교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운영주체와 관련하여 지역사회 중심인가 아니면 학교중심인가 하는 속성과 공공성과 시장성과 관련된 속성을 축으로 하여 학교구성원 중심 모형, 학교중심 외부 위탁형 모형, 공익형 평생교육 모형, 민간형 평생교육 모형의 4개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형별로 외부기관, 강사, 프로그램, 재정운영과 같은 방과후학교 운영요소가 어떤 방식으로 방과후학교 운영에 적용될 수 있는 지를 제시하였다. 방과후학교 운영 모형은 방과후학교의 계획과 운영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과후학교 운영의 토대가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방과후학교 모형 연구에 작은 단초가 된다는 의미를 지닌다. After-schools have evolved to incorporate out-of-school education activities into public schools as part of the educational policy to address inequality in education and alleviat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the process, after-schools are run in various manners that take on a mixed character of publicness of education and marketability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 involvement of public schools, for-profit, and non-profit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elements after-school policy and proposes models for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proposes four models to characterize after-schools based on publicness, marketability, public school, and communities and operational methods for each model.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to operate after-school program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마을학습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평생교육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신기왕(Shin, Gi-Wa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그동안 추진된 마을교육공동체와 마을학습공동체 정책사업을 비교, 분석하여 최근 확산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범주는 마을평생교육 관련 정책의 기원과 목적, 정책의 주체와 변화 과정, 철학과 공동체 의식, 마을과 학교의 협력 거버넌스로 설정하였다. 마을학습공동체는 지역사회교육운동에서 시작되어 정부의 평생학습도시조성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성인학습활동지원, 지역주민의 학습공간 확보, 평생학습마을 조성사업으로 전개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개혁운동으로 부터 출발하여 교육청의 혁신학교정책으로 전개되었다. 교사들의 자발적인 수업혁신, 교육과정혁신, 민주적 학교운영에 대한 요구가 정책적으로 수용되면서 혁신학교, 혁신교육지구 사업으로 발전되었다. 마을학습공동체는 특정한 대상에 제한된 교육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이 자신의 삶 전체를 통해서 학습에 참여할 기회를 가지는 교육적 권리에 대한 시민적 성취가 그 배경이 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민주적 학교운영과 학교교육의 혁신을 이루고자하는 교육주체들의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최근 교육청 주도의 교육공동체 사업과 지자체 주도의 학습공동체 사업이 마을교육공동체로 결합되는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공유된 철학과 가치가 융합되고 교육주체 간의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협력거버넌스에 체제 구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기계적 협력 차원을 넘어 마을공동체와 학교공동체, 성인학습과 아동학습이 통합되어 화학적으로 융합된 교육공동체로 나아갈 때 확장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olicies and concept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village learning communit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ettlemen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hich is spreading recently. The categories of analysis were set as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the policy, the subject and the process of the policy, the philosophy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villages and schools. The village learning community started as a community education movement and became government policy,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ims to support adult learning activities, to secure a learning space for residents, and to create a lifelong learning villag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olicy originated from the teacher s education reform movement. As the teachers demands for educational reform were accepted by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developed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Recently, th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promoted by the education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project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are being combined into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For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olicy,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cooperative method between the village and the school for the fusion of shared philosophies and valu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practical and effective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educational entiti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move beyond the mechanical cooperation dimension of general autonomy and educational autonomy to an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village and school communities, adult learning and child learning are integrated and chemically fused.

      • KCI등재

        성인학습이론에서의 성찰개념 분석

        신기왕(Gi-Wang Shin),안병환(Byung Hwan Ah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성인학습이론의 전개 속에서 성찰의 개념을 분석하고, 성찰에 대한 인지적·비판적·철학적 관점을 이해함으로써 성찰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성찰은 경험학습 담론에서의 인지적 성찰에서 출발했다. 경험학습에서의 성찰은 사전 지식과 관련시킴으로써 의미 있는 결과를 생성하고자 하는 성찰이다. 성찰이 지향하는 최종목적은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우리의 이전의 믿음과 가정,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담론을 통해 편견을 없애려고 노력하며, 증거와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자신의 생각의 정당성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이다. 성찰이 완전하고 객관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없을 지라도 그 결과는 궁극적으로는 다수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성찰개념의 교육적 의미는 첫째, 성찰개념은 학습과 관련된 접근방식을 확장시켰다. 둘째, 성찰개념은 우리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성찰개념은 학습을 인간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확장시켰다. 넷째, 성찰은 학습을 교수자의 어떤 의도나 예상을 뛰어넘는 개인적·사회적·조직적 변형과정으로 확대시켰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급속한 변화와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성찰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의 종합적 사고능력을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학습과정이다. 성찰은 단순한 지식습득을 넘어 종합적·총체적인 인간 성숙을 추구한다.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적 신념으로 성찰학습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flection by analyzing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the development of adult learning theory and understanding the cognitive, crit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reflection. Reflection started from cognitive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Reflection in experiential learning is reflection that seeks to generate meaningful results by relating it to prior knowledge. The ultimate goal of reflection is not only to acquire knowledge, but to think about our previous beliefs and assumptions and their meaning. They try to eliminate prejudice through discourse, and they make decis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ir thoughts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evidence and arguments. Although reflection may not reach a complete and objective result, it can ultimately reach a rational and ideal result that the majority can trus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First,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the approach related to learning. Second, the concept of reflection suggests a learning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cope with structural changes in our society. Third, the concept of reflection extends learning to work at all levels of human society. Fourth, reflection extends learning into a process of personal, social, and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hat goes beyond any intention or expectation of the instructor. The society we live in is facing rapid change and complex problems. Reflection is a necessary learning process for developing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in children as well as adults. The concept of reflection goes beyond simple knowledge acquisition and pursues comprehensive and holistic human maturity. It's time to begin the discussion of reflective learning with positive beliefs about human nature.

      • KCI등재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의 관점과 유형 분석

        신기왕(Gi-Wang Shin),안병환(Byung-Hwan Ah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5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은 교육의 본질과 교육의 사회적 의미에 따라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관점 그리고 시장성과 공공성의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교육 관점에서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지역 자원을 활용하려한다. 평생교육 관점에서는 주민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의 협력을 바라본다. 시장성의 관점은 개인의 선택과 기회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반면 공공성의 관점은 시민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학습기회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의 내용과 범위는 다양하지만 추진 주체에 따라 민간주도형, 교육자치 주도형, 일반자치 주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자체와 교육청, 학교와 마을이 마을교육공동체라는 공통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협력하는 단계로 발전되고 있다. 시장성의 논리보다는 공공성이 강조되고 교육청이나 자치구와 같은 공적 영역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은 마을교육공동체 실현을 위한 공공성과 시장성의 조화, 교육자치와 일반자치의 협력을 위한 거버넌스 체제구축이 더욱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viewpoint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into marketability and publicness, and the viewpoint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school education consider to utilize local resources for the growth of students. The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sees cooperation between schools communities to support the learning of residents. While the marketability perspective pursues individual choices and diversity of opportunities, the publicness perspective focuses on ensuring citizens" right to learn and evenly distributing learning opportun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school education, it seeks to utilize local resource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and in the view point of lifelong education schools are understood to support the learning activities of residents.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could be presen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private organization-led, educational authorities-led, and provincial authorities-led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promotion.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governments, schools and communities are developing to a stage where they cooperate to realize the vision of a educational community. For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he local community,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educational government and the harmony between publicness and marketability are emerging as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