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1288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남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iv, 122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배천웅
        참고문헌: p. 76-8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가 어떠하며, 각 하위요인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교육관은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 대인관계 능력개발, 주체적 능력 개발, 전문능력 개발, 사회적 인정 등 총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학생참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는데, 요인분석 결과 능동적·협동적 학습, 문제해결학습, 다양한 교육경험, 교수와의 상호작용, 대학의 지원환경으로 총 5개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두 가지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주관적 성과로서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에 대한 응답결과이고, 또 다른 자료는 객관적인 성과인 학업성취도(GPA)이다. 설문 대상은 대전지역 2개 대학 학생 586명으로,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과 학생참여 하위 요인간의 구체적인 관계, 학생참여와 학습성과 하위요인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은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학생참여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은 학습성과 즉, 핵심역량인 인지적 역량, 비인지적 역량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GPA)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생참여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관에 따라 학생참여에 차이가 나타나고 이러한 차이가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교육관은 대학생의 학생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관의 하위 요인 중 주체적 능력, 전문능력 개발,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 대인관계 능력 등을 중시하는 대학생은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은 대학생활 중 다양한 교육경험, 대학의 지원환경,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참여는 학습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육 경험, 대학의 지원 환경에 대한 참여 등 학생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육 경험, 대학의 지원 환경에 대한 학생참여 정도와 학업성취도(GPA)도는 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에서 지원하는 교육환경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이용할수록 학업성취도(GPA)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교육 과정과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가 어떠하며, 각 하위요인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가 어떠하며, 각 하위요인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교육관은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 대인관계 능력개발, 주체적 능력 개발, 전문능력 개발, 사회적 인정 등 총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학생참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는데, 요인분석 결과 능동적·협동적 학습, 문제해결학습, 다양한 교육경험, 교수와의 상호작용, 대학의 지원환경으로 총 5개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다.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두 가지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주관적 성과로서 인지적 역량과 비인지적 역량에 대한 응답결과이고, 또 다른 자료는 객관적인 성과인 학업성취도(GPA)이다. 설문 대상은 대전지역 2개 대학 학생 586명으로,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과 학생참여 하위 요인간의 구체적인 관계, 학생참여와 학습성과 하위요인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은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학생참여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대학교육관은 학습성과 즉, 핵심역량인 인지적 역량, 비인지적 역량의 학습성과와 학업성취도(GPA)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생참여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관에 따라 학생참여에 차이가 나타나고 이러한 차이가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교육관은 대학생의 학생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관의 하위 요인 중 주체적 능력, 전문능력 개발,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 대인관계 능력 등을 중시하는 대학생은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양 및 시민의식 함양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은 대학생활 중 다양한 교육경험, 대학의 지원환경,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참여는 학습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육 경험, 대학의 지원 환경에 대한 참여 등 학생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한편 문제해결활동,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육 경험, 대학의 지원 환경에 대한 학생참여 정도와 학업성취도(GPA)도는 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에서 지원하는 교육환경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이용할수록 학업성취도(GPA)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교육 과정과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ub –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re consisted of five factors including cultural and civic consciousness development, interpersonal ability development, personal fulfillment, 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Student engagement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factors such a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roblem-solving learning, various education experience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86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Daeje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was implemented using AMOS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sub-factors of learning achievement, we conduct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had no direct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they were foun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tudent engagement. The effects of the students' engagement on the cognitive and non-intellectual competencies are detected but students' engagement was not cor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GPA).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difference influences the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student eng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college students who emphasize personal fulfill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cultivation and citizen consciousness, interpersonal ability are actively involved in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ose who emphasize cultural and civic consciousness are interested in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college support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s during college life.
      Third, student engagement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The higher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such as problem solving activiti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teraction with professors,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articipation in university support environment, the higher the cognitive and non-intellectual learning outcom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GPA).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ed by the college and the use of it were not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GPA).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college curriculum and learning outcome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ub –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ub –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re consisted of five factors including cultural and civic consciousness development, interpersonal ability development, personal fulfillment, development and social recognition. Student engagement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factors such a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roblem-solving learning, various education experience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86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Daeje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was implemented using AMOS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sub-factors of learning achievement, we conduct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had no direct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they were foun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tudent engagement. The effects of the students' engagement on the cognitive and non-intellectual competencies are detected but students' engagement was not cor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GPA).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difference influences the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undergraduate’s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and student eng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perceptions of college education, college students who emphasize personal fulfill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cultivation and citizen consciousness, interpersonal ability are actively involved in problem solving activities and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ose who emphasize cultural and civic consciousness are interested in diverse educational experiences, college support environment,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s during college life.
      Third, student engagement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The higher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such as problem solving activities,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teraction with professors,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articipation in university support environment, the higher the cognitive and non-intellectual learning outcom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GPA).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ed by the college and the use of it were not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GPA).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college curriculum and learning outcome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II. 이론적 배경 7
      • 1. 대학교육의 변화 7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II. 이론적 배경 7
      • 1. 대학교육의 변화 7
      • 가. 사회 변화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 7
      • 나. 대학생의 대학생활 변화 14
      • 2. 대학교육관 18
      • 가. 대학교육관 개념 18
      • 나. 대학교육관 하위요인 20
      • 3. 학생참여 개념 및 하위요인 27
      • 4. 학습성과 개념 및 하위요인 31
      • 5.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관계 33
      • 6. 연구모형 35
      • III. 연구방법 38
      • 1. 연구대상 및 절차 38
      • 2. 측정도구 42
      • 가. 대학교육관 42
      • 나. 학생참여 46
      • 다. 학습성과 49
      • 3. 분석방법 50
      • IV. 연구결과 52
      • 1.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관계 52
      • 가. 측정모형 분석 52
      • 나. 구조모형 분석 56
      • 다. 매개효과 검증 60
      • 2. 대학교육관, 학생참여 하위요인 간의 관계 60
      • 3. 학생참여, 학습성과 하위요인 간의 관계 65
      • V. 논의 및 결론 71
      • 참고문헌 76
      • 국문초록 89
      • Abstract 91
      • 부록 9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교육철학, 신득렬, 학지사, 학지사, , 2003

      2. 자유교육의 의미, 최미리, 고등교육연구, 9(2), 157-171, , 1997

      3. 자유교육의 이념, 김인(In Kim),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도덕교육연구, 21(1), 125-142, , 2015

      4. 한국인의 교육관, 이영노, 정영애, 이인효, 이종재, 한국교육개발원, , 1981

      5. 한국고등교육연구, 김기석,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 2008

      6. 교육관의 변화와 과제, 이돈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서울대학 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7(3), 119-136, , 1985

      7. 한국 대학생의 가치관, 김태길, 서울: 일조각, , 1967

      8. 21세기와 대학교육의 이념, 정영근,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人文科學硏究, 14, 1-16, , 2004

      9. 대학의 성립과 발전, 대학의 뜻, 이형행, 서울 : 연세대학 교 출판부, 교양총서 17, 10-11, , 1979

      10.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천보선, 한울, 한울, , 1998

      1. 현대교육철학, 신득렬, 학지사, 학지사, , 2003

      2. 자유교육의 의미, 최미리, 고등교육연구, 9(2), 157-171, , 1997

      3. 자유교육의 이념, 김인(In Kim),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도덕교육연구, 21(1), 125-142, , 2015

      4. 한국인의 교육관, 이영노, 정영애, 이인효, 이종재, 한국교육개발원, , 1981

      5. 한국고등교육연구, 김기석,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 2008

      6. 교육관의 변화와 과제, 이돈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서울대학 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7(3), 119-136, , 1985

      7. 한국 대학생의 가치관, 김태길, 서울: 일조각, , 1967

      8. 21세기와 대학교육의 이념, 정영근,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人文科學硏究, 14, 1-16, , 2004

      9. 대학의 성립과 발전, 대학의 뜻, 이형행, 서울 : 연세대학 교 출판부, 교양총서 17, 10-11, , 1979

      10.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천보선, 한울, 한울, , 1998

      11. 대학생의 대학인식 및 가치의식, 박재욱, 안동대학 학생지도연구소, 안동대학교 학생지도연구소. 학생생활연구, 1, 15-55, , 1980

      12.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서울: 학지사, , 2009

      13.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김주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9

      14. 한국인의 교육관: 비교문화적 고찰, 박준희, 서울: 實學社, , 1975

      15. 한국 대학생의 학습 과정 분석 연구, 신현석, 최정윤, 임후남, 여승수, 고장완, 유현숙, 서영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 2010

      16.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I), 이정미, 최정윤, 성태제, 정진철, 한국교육 개발원, , 2007

      17. 교육발전 5개년 계획안 발표자료(1999, 교육부, 3. 11), , 1999

      18. 학문과 교육【중Ⅱ】: 교육본위의 삶, 장상호,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09

      19.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Ⅱ), 이정미, 이병식, 최정윤, 나민주, 한국 교육개발원, , 2008

      20. 안계춘 역, 대학의 이념과 학문의 윤리, Shuks, E., 나남, , 1992

      21. 학습자의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 탐색, 허경섭,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50, 235-256, , 2010

      22. 한국인의 교육관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배천웅, 박인종, 최상근, RR86-15, , 1986

      23. 핵심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휴용(Park Hyu-Yong), 한국종교문화연구소, 교육사상연구, 29(4), 49-78, , 2015

      24. 코메니우스의 대학교육의 중요성과 전망, 이숙종,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기독교교육정보, 5, 338-361, , 2002

      25. 전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남향자, 금명자, 인간이해, 13(1), 105-127, , 2010

      26.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Ⅰ), 변현정, 최보금, 김민희, 유현숙, 이정미, 최정윤,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 2013

      27. 한국대학의 생활환경 변화와 대학생활 적응, 전겸구, 성균관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한국심 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 259-266, , 1991

      28. 학과(전공)분석 및 학과(전공) 분류체계 연구, 유성재, 김한준, 박현정, 김창환,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 2001

      29. 대학생 학습과정 조사도구의 비교·분석 연구, 변수연, 신현석, 박해경, 한국교육방법학회, 방법 연구, 24(1). 229-256, , 2012

      30.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건남,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08

      31.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건남, 정철영, 한국농업교육학회, 한국농업교육 학회, 41(1), , 2009

      32. 대학생의 학교참여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승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33. 대학생활에 대한 졸업생 의견조사. 인간이해, 13, 심흥섭, 서강대학교 학생생 활조사연구소, , 1992

      34. 대학의 본질과 대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 고찰, 이상오, 교육철학, 35. 7-29, , 2005

      35. 대학생의 전공선택유형과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 구윤희, 충남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2007

      36. 미국과 영국의 교육사회학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김영화,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1(3), 1-26, , 2011

      37.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 석 연구(Ⅲ). RRE 2012-17, 최정윤, 서영인, 유현숙, 고장완, 신현석, 임후남, 한국교육개발원, , 2012

      38. 2009 년도 대학생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진미석, 박은미, 채창균, 정혜령, 유한구, 김소연, 임언, 이수영, 이현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 2010

      39.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고학력 지향에 관한 연구, 김연옥,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1991

      40. 고등교정육에 대한 국가의 신자유주의적 개입 방식, 손흥숙, 교육학연구, 40(4), 173-196, , 2002

      41. 대학생활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장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42. 대학생의 학생참여 유형과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모화숙, 김희란,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 정학연구, 34(1), 335-356, , 2016

      43. 인재대국형 고등교육-노동시 장 연계의 쟁점과 과제, 오호영, 남기곤, 이영, 송창용, 채창균, 이재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09

      44.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Se Hee Hong),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지, 19(1), 161-177, , 2000

      45.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신진, 가천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12

      46.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박범혁,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6

      47. 대학생의 가치 유형에 따른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분 석, 김명숙, 고장완, 김현진,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9(2), 109-127, , 2012

      48.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정보연,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49.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 홍지인, 한국교육행정학회, 敎育行政學硏究, 33(3), 351-379, , 2015

      50. 학부제에서 전공선택 및 전공결정 과정 탐색에 관한 연구, 이명애, 교육평가 연구, 20(3), 81-101, , 2007

      51. 부모관여와 부모지원이 대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기종, 곽수란,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5(2), 1-22, , 2015

      52.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진미석, 교육사 회학연구, 23(1), 105-127, , 2013

      53.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 리연구, 19(4), 877-895, , 2005

      54. 대학생의 학습참여 (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 당성 검증, 배상훈, 김혜정,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0(1), 499-523, , 2012

      55. 고등교육에 대한 학생-학부모 포부수준과 합치도에 관한 분석, 노한주,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3

      56. 다층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적용:대학교육의 효과 측정과 분석, 서민원, 교육 평가연구, 16(2), 43-64, , 2003

      57.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소경희, 서울 대학교 교육학과 BK21 역량기반 교육혁신 연구사업단 BK21 핵심역량연구센 터(편). 역량기반교육: 새로운 교육학을 위한 서설(183-184). 교육과학사., , 2010

      58. 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 연구(I), 김창환, 이상돈, 이상준, 이남철, 홍광표, 이의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1

      59. 고전적 자유주의 관점에서 본 신자유주의 교육관의 이념적 한계, 강창동, 한국교육사회학회, 교 육사회학연구, 21(1), 1-23, , 2011

      60. 영국의 대학교육 개혁 동향: 1980년대 이후 교육정책을 중 심으로, 유재봉, 한국비교교육학회, 비 교교육연구, 16(2), 59-75, , 2006

      61. 한국교육개발원 2016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 고등교육 취업통계편,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 2016

      62.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반공동체성과 민주적 공동체 교육의 요청, 심성보, 교육비평사, 교 육비평, 107, , 2001

      63. 대학의 사회적 자본이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 향, 김정헌,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 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6

      64. 대학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목적 의식과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이정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4

      65. 초복잡성 사회에서의 대학 이념: 바넷(R. Barnett)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철민, 유재봉,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50, 145-164, , 2010

      66.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요인 분석, 김안나, 이병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0(1), 367-392, , 2003

      67.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 석: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박은경, 김양선, 신정철, 정지선, 한국교육, 35, 167-193, , 2008

      68. 경호학전공 대학생들의 가치관과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 만족도의 관계, 최상권, 한국체육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69.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대학특성 및 학습과정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유현숙, 고장완, 박수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1(1), 167-195, , 2014

      70. 모델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김현주,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71. SCM과 BSC의 도입이 성과평가 유형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윤종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72. 대학생의 가치관과 성적 및 만족도와의 관계-경찰대학교 학 생들을 중심으로, 김보규, 백순근,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6(2), 41-70, , 2005

      73.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유현숙,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9(4), 319-337, , 2011

      74. 학교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공교육 강화 정책 방안 연구, 김소영, 한국공공정책학회, 공공정책연구, 17(1), 1-25, , 2010

      75. 항공서비스관련학과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과 학과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인실(In-Shil Park), 박영식(Young-Sik Park), 한국관광연구학회, 관광연구저녈, 29(2), 107-120, , 2015

      76. 가치관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개념 정의, 가치요소와 측정방법을 중심으로, 김철민, 광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광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연구, 6, 53-78, , 1999

      77. 대학의 교수 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Ⅱ): 4년제 대학의 교수 학습 역량진단, 변현정, 김은영, 이길재, 최정윤, 최보금, 유현숙, 김민희, 이정미, 한국교육개발원, , 2014

      78. “피터스와 허스트의 교육사상 비교:'교육'과 '자유교육'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유재봉,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 22(2), 139-156, , 2000

      79.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이 인지적 정의적 성과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명숙, 고장완, 김현진, 교육행정학연구, 29(4), 169-194, , 2011

      80.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송윤정,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81. 고교시절의 사교육 경험과 대학진학 후 학습성과의 관계: 학생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은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82.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 진로의사결정, 진로자기효능감이 대학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숙자, 가톨릭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6

      83. 부산지역 조리 외식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요인이 전공선택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호, 한국지역사회학회, 19(2), 69-85, , 2011

      84.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박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 2008

      85.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 과정과 대학 특성 변인의 영향, 이병식, 최정윤,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5(2), 243-266, , 2008

      86.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개인 및 대학특성 영향요인 탐색: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간 차이 분석, 최정윤, 이병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6(1), 191-215, , 2009

      87. 대학생 다양성 경험(diversity experiences)에 대한 영향 요인과 다양성 경험의 차이에 대한 두 대학 사례 비교 분석, 고장완, 박수미,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33(2), 319-342, , 2015

      88.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 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한예정,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89. 듀이의 프래그마티즘과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 개념의 재구성: 인간 성, 도덕성, 사회성, 정치성의 유기적 결합, 서용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사회과교육연구, 18(2), 21-32, , 2011

      90. 학생참여(student engagement) 결정요인의 실증적 탐색 : 대 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과 대학특성의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이병식, 공희정,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 연구, 32(3), 177-207, , 2014

      91. 내적동기를 매개변인으로 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대 학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와 학문적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신희경, 이종승,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5(1), 71-100, , 2007

      92.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 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신혜숙, 최정윤,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7(2), 131-154, , 2010

      93. 대 학의 교수 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Ⅲ) : 대학 유형별 교수 학습 역량 평가(체제) 다양화 : 4년제, 전문대학. RR2015-10, 유현숙, 김은영, 서영인, 김민희, 최보금, 변현정, 이길재, 최정윤, 이정미, 한국교육개발원, ,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