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공감 관련 내용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Content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Based on Empathy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ral textbook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mpathy within the 2015 revised curr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ral textbook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mpathy with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analysis focused on the components of empathy and the four stages of Hoffman's development of empath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empathy,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empathy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ccounted for 63.5% of the total class time, up 20.2% p from the 7th curriculum. Second,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lated to empathy by grade level de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except for the 4th grad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presenting empathy by grade, the cognitive factor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5th grade, 3rd grade, 6th grade, and 4th grade, and the emotional component was shown in reverse order Overall, the ratio of emotional elements of empathy was higher than that of cognitive elements.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stage of empathy, there was no global empathy and egocentric empathy.
      With the exception of 4th grade, empathy for others' feelings decreased toward higher grades, and empathy for other people's living conditions increased toward higher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empathy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moral textboo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감의 구성요소와 호프만의 공감 발달 4단계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

      이 연구는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감의 구성요소와 호프만의 공감 발달 4단계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차시별 학습 목표, 소 제재의 최종학습목표에 대하여 공감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공감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공감과 관련된 내용은 전체 차시 중에 63.5%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7차 교육과정기보다20.2%p 상승하였다. 둘째, 공감 관련 내용의 학년별 비율은 4학년을 제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감 관련 내용을덜 다루고 있었다. 셋째, 학년별 공감을 제시하는 방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지적 요소는 5학년, 3학년, 6학년, 4학년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정서적 요소는 역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공감의 인지적 요소가 정서적 요소에비해 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의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총체적 공감과 자기중심적공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4학년을 제외하면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타인의삶의 조건에 대한 공감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도덕교과서를 공감과 관련하여 분석한 것으로 도덕 교과를 통한 공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구, "흄과 칸트에 있어서의 도덕감" 44 : 85-110, 1995

      2 한재은, "흄과 셸러의 윤리학적 공감론이 초등 도덕 교육에 주는 함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3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8)" 98-119, 2018

      4 조민정, "통합적 공감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5 신승훈,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모형에 의한 2009와 2015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 김진원, "타일러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 의한 2015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기악 영역 연계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7 변고은, "타일러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를 토대로 한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학교 급간 기악 영역 연계성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8 김항인, "친 사회적 행동과 도덕성 발달 : 이타주의를 중심으로" 10 : 246-260, 1999

      9 김완수, "초등학생의 도덕적 행동 증진을 위한 공감교육 방안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오영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1 이옥희,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권헌숙, "초등학생용 감정카드와 바람카드 개발 및 공감능력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13 문유리, "초등학교 선후배 간 짝놀이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학교생활 적응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4 윤보나,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공감 중심 집단따돌림 예방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5 윤석미, "초등 도덕과에서 공감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1

      16 김혜경, "초등 도덕과 교육의 공감 중심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17 하영희, "청소년의 도덕행동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18 현금희, "청소년의 공감능력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폭력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이경주, "청소년의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0 박찬경, "청소년기 공감능력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4

      21 박선근, "지리교과서에 대한 교사인식 및 활용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2 金基順,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공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효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23 김태길, "윤리학" 박영사 2004

      24 매일경제, "우범지대까지 파악하라니...잡무 시달리는 교사들(4. 11.)"

      25 김향숙, "아담 스미스의 공감이 도덕교육에 주는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26 김성철, "실천적 도덕·인성교육을 위한 학생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7 박성희, "상담학연구방법론" 학지사 2004

      28 박병춘, "보살핌윤리(An ethic of care)의 도덕교육적 접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9 미셸 보바, "도덕지능" 한언 2004

      30 김명진, "도덕교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31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32 송근혜,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33 유현정, "내용분석법에 의한 영어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6

      34 김수진, "금융위기 관련 초등 경제 수업자료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5 김두정, "교육과정론 중 타일러의 합리적 모형"

      36 김재은, "교육․심리․사회연구방법" 익문사 1971

      37 최금영, "과학교과서의 역할에 대한 교육 관련 주체들의 인식구조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8 박혜원, "공감훈련이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39 고영희,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0 김미영, "공감함양을 위한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1 김보람, "공감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공감능력의 생득적․발달적 획득 관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2 신경일,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29 (29): 1-37, 1994

      43 김홍일, "공감의 도덕교육적 함의-M. L. Hoff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7 (7): 2006

      44 박성희,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34 : 143-166, 1996

      45 임주희, "공감의 구성요소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6 김기종, "공감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한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분석 : 도덕교과서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7 천세영, "공감기반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교육연구소 36 (36): 221-244, 2015

      48 김경미,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9 이진이, "공감교육의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적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0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 행동" 문음사 1997

      51 송호연,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공감과 도움행동 향상에 미치는 효과"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9

      52 박현정, "게임 중심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3 교육부,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교육부 2015

      54 Hart, D., "Well-being: Positive development across the lifespa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5-370, 2003

      55 Smith A.,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비봉출판사 1996

      56 Hoffman, M. L., "Is altruism part of human nature?" 40 (40): 121-127, 1981

      57 Feshbach, N. D., "Empathy in childre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5 (5): 25-30, 1975

      58 Hoffman, M. L.,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r" 103-131, 1984

      59 Hoffman, M. L.,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New research and emerging themes" Teachers College Press 157-179, 1993

      60 Davis, M. 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85-, 1980

      61 교육부, "2018년 1차 학교폭력실태조사 결과" 교육부 2018

      6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 교과용도서 연수 교재" 교육부 2017

      63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도덕 6 : 교사용 지도서 : 〔2015 개정교육과정〕" 지학사 2019

      64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도덕 5 : 교사용 지도서 : 〔2015 개정교육과정〕" 지학사 2019

      65 교육부, "(초등학교 3~4학년군)도덕 4 : 교사용 지도서 : 〔2015 개정교육과정〕" 지학사 2019

      66 교육부, "(초등학교 3~4학년군)도덕 3 : 교사용 지도서 : 〔2015 개정교육과정〕" 지학사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