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아동학대사례 분석을 통한 인식강화 방안에 관한 고찰

        김표민,최원석 한국아동보호학회 2019 아동보호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2017 National Child Abuse Report and 2018 Child Abuse Statistics, to find the severity of child abuse that continues to occur without reduction, to improve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thereby to contribute to rooting out chid abuse fundamentally.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as the plan for improving perception of child abuse: Firstly, the government needs to induce strong actions and punishment for child abuse accidents so as to widen the perception that child abuse is a felon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aise awareness of child abuse when there is the environment where child abuse will be rooted out under the state’s responsibilit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continuous prevention of child abuse in association with press media in order to improve perception of child abuse. Thirdly, it is required to improve perception of child abuse through the campaign of eradicating child abuse in association with enterprises and the utilization of the government’s public advertising. By showing that in such associated network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together with the public, make their efforts to root out child abuse, it is possible to improve perception of child abuse. Fourth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obligatory and regular education of child abuse from the point of school entrance so as to widen the basic perception of child abuse. This education will help young children and adolescents going to school as well as abused children improve and widen their perception of child abuse. 본 논문의 목적은 2017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와 2018년 아동학대 주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여 끊임없이 발생하고 감소되지 않는 아동학대에 대한 심각성을 파악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어 근본적으로 근절시켜야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아래와 같은 제언을 통해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부는 아동학대가 발생한 사건에 대해 강력한 조치와 처벌을 유도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범죄는 중범죄라는 인식을 넓혀야 한다. 따라서 아동학대는 국가가 책임지고 근절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아동학대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언론매체 연계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지속적인 예방을 위한 홍보를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강화의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기업과 연계한 아동학대 근절 캠페인과 정부의 공익광고 활용을 위한 통해 아동학대 인식 개선을 위한 강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계를 통해 정부와 기업과 국민이 함께 아동학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이 강화될 수 있다 넷째, 학교를 들어가는 시점부터 아동학대에 인식강화를 위해 의무적이고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폭을 넓혀야 한다. 이러한 교육은 아동학대를 당하는 피해아동 뿐만 아니라 학교를 다니는 모든 아동·청소년들에게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강화의 폭을 넓혀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따돌림 피해경험과 대처행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표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 내 따돌림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의 따돌림 피해경험과 대처행동 을 살펴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경기도 어린이 정신건강검진 후 ○○시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센터에 등록되어 사회성 증진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중 학급 내 따 돌림 경험에 대하여 보고한 아동 7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 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적 접근으로 분석한 결과 3개의 영역 7개의 주제 13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3개의 영역은 ‘피해경험’, ‘대처행동’, ‘피해이후의 삶’으로 나타 났다. 7개의 주제는 ‘따돌림의 구체적인 피해경험들’. ‘따돌림으로 인한 정서적 어려움 들’, ‘견디기 위해 직접적으로 대처방법을 시도함’, ‘자신의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을 때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림’. ‘현실과 동떨어진 방법들을 시도함’, ‘낯선 환경과 이방인으로 서의 나’, ‘나를 도울 수 없는 환경’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 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bullying victimization and coping behavior of children who are experiencing bullying in classes.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e un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or 7 children who reported bullying experiences in class among the children who were registered in ○○-si children · youth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after the children's mental health examination and participated sociability promotion group program. As the result of analyzing with Colaizzi's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re were 3 sectors, 7 subjects and 13 categories. 3 sectors wer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coping behavior’, ‘life after victimization’. 7 subjects were ‘concrete methods of bullying’. ‘emotional difficulties by bullying’, ‘direct trying for endurance’, ‘turning of interests to other side in case of the ineffectiveness’. ‘trying of methods apart from the activities’, ‘strange environment and oneself as a stranger’, ‘environment which cannot help me’.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 KCI등재

        건강상의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표민,김윤화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0

        Adolescent period is an important period for forming self-esteem and self-identity. During the period, difficulties in health make negative effects to achieve the tas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which effects of subjective awareness on health difficulties on self-esteem and if ego resilience makes control effects between subjective awareness on health difficulties and self-esteem. Therefore, with the first-year data of 'Korean children&youths panel survey(2010), effects of subjective awareness on health difficulties on youths(the first grader of middle school)'s self-esteem were examined and furthermore, control effects of ego resilience on self-esteem were examined. First, as youths showed high subjective awareness on health difficulties, self-esteem was lower. Second, in relations between subjective awareness on health difficulties and self-esteem, ego resilience showed control effects. In other words, if subjective awareness on health difficulties is improved, self-esteem is lower. Bu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plays roles of controlling ego resilience, so it contributes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by controlling ego resilience. Therefo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addition, for healthier school life of adolescents with difficulties in health, it suggested necessity of checking process which can difficulties related to body in schoo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such as preparation of group program refl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difficulties in health, forming of network among the relative institutions in community, etc.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과 자아 정체감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며, 이 시기의 건강상 어려움은 이러한 과업을 달성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한다. 본 연구는 건강상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아탄력성이 건강상의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2010)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건강상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청소년(중학교 1학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자아탄력성이 자아존중감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건강상의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더 낮았다. 둘째, 건강상의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상의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높아지면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나, 자아탄력성이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덧붙여 건강상의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들의 보다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해 학교 자체내에서의 신체 관련한 어려움이 생길시 이를 스크리닝 해줄 수 있는 점검 과정의 필요성 및 건강상의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들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집단 프로그램의 마련, 지역사회 내 유관기간들의 네트워크 형성 등의 사회복지학적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아동보호 공공요원의 역할과 민관 네트워크 활성화 구축방안

        김표민,최원석 한국아동보호학회 2021 아동보호연구 Vol.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보호전담공무원 및 아동보호전담요원에 대한 역할과 아동보호와 관련한 민관에서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율성 있는 아동보호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지자체 아동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인력과 사회복지기관 및 아동시설 등의 민간영역 간 사례공유가 필요하며, 아동보호업무를 담당하는 민관의 1회/2주 비대면 회의를 통한 긴급점검 필요하다. 또한 공공에서 담당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파악하여 민간기관이 가정방문을 통한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아동학대공공요원의 예산확보를 통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role of child protection public official and child protection personnel and the way efficiently protect childre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related with child protec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case sharing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in public personal and private sector in charge of child related affairs in local government, and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information through emergency inspection through non-face-to-face meeting once every two week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s in charge of child protection. In addition, private institutions intervene through case management through home visit identifying blind spots which cannot be handled by the public,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motivate public child abuse personnel to work through labor condition improvement by securing the budget.

      • KCI등재

        아동기의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표민(Pyomin Kim),최원석(Wonsuk Choi)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아동기의 피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자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 정서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발달단계에 맞추어 초ㆍ중ㆍ고등학생 시기를 비교ㆍ분석하였다. 기존 연구가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의 발달을 개별적으로 검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의 발달단계별 비교를 통해, 청소년기 자살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0차(2015), 13차(2018), 16차(2021) 아동부가조사 자료로, 10차 때 초등학생, 13차 때 중학생, 16차 때 고등학생으로서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총 1,138명(초등학생 10차: 438명, 중학생 13차: 383명, 고등학생 16차: 317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모형 분석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학대 경험과 청소년기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부정 정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시기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학대 경험, 부정 정서, 청소년기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시기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중학생 시기에서는 자아존중감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자살행동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perio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stage in the effect of abuse experience in childhood on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ce. The data of this study are the data of the 10th (2015), 13th (2018), and 16th (2021) child supplementary surveys of the Korea Welfare Panel. A total of 1,138 subjects (10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38 people, 13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383 people, 16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317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Research model analysis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in all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negative emotions, and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no self-esteem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above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se results,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for reducing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ce was suggested.

      • 아동학대행위자 특성 및 개입에 대한 고찰 - 2019년 아동학대 주요통계를 중심으로 -

        김표민 ( Kim Pyo Min ) 한국아동보호학회 2020 아동보호연구 Vol.5 No.1

        아동학대피해경험은 인생 전반에 걸쳐 신체적·정신적·정서적 영역에서 깊은 상처를 남긴다. 2019년 아동학대 통계현황에 따르면 아동학대사례건수는 30,045건으로 전년 대비 22%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부모가 학대행위자인 경우가 75.6%에 달하였다는 점에서 피해자와 일상생활을 함께 해야 하는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심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행위자의 특성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학대행위를 줄일 수 있는 개입방법을 고찰하고자 함이다. 학대행위자를 위한 접근으로 1) 개인의 생애에 대한 재정립 2) 정신적·정서적 문제 다루기 3) 가족 다시 세우기 4) 사회로 들어가기 5) 기타 내용에 대하여 제시한다. Child abuse experience leave deep physical·mental·emotional scars that last throughout the whole life. According to the 2019 statistics on child abuse, the number of child abuse cases were 30,045 which is 22% larger than the value from the previous year. Considering that 75.6% of these cases have parents as the perpetrator meaning that victimized children spend their daily lives with their perpetrator, the negative influence inflicted on children is much more seve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ttributes in perpetrators of child abuse from ecosystemic perspective and investigate possible intervention methods to decrease the events of maltreatments. The study suggests following means as possible approach for th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1) Reorganization of personal life 2)Mental·emotional problem solving 3)Rebuild family 4)Return to society 5)Others.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에 관한 종단연구

        김표민(Kim, Pyo 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4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변화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잠재계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만 0~3세)를 둔 어머니들로서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조사 참여자 2,100명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혼합모형으로 도출한 잠재계층은 총 4개 집단이었다. 각 집단의 특성에 따라 ‘증가형’(c1, 32.1%) 집단, ‘안정형’(c2, 51.2%) 집단, ‘감소형’(c3, 14.4%) 집단, ‘급감형’(c4, 2.3%)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어머니 내적 변인 중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출산 전 우울수준, 자아존중감이, 외적 요인 중에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비규범적 생활사건, 사회적 지지가 잠재계층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통제 변인은 어머니 연령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derive latent clas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change in depression of mother who has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and also to verify variables which predict each latent class significantly. The subjects were 2,100 mothers with infants (age 0~3), who joined the 1st~4th year survey by Korea Infant Panel, which result is as follo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latent classes in total derived from Latent Growth Mixed Model. They were named as ‘increased type’ (c1, 32.1%) group, ‘stable type’ (c2, 51.2%) group, ‘decrease type’ (c3, 14.4%) group, ‘rapid decrease type’ (c4, 2.3%) group,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econd, nurturing stress, marriage satisfaction, depression level before delivery, selfesteem, among mother’s internal variables,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nurturing children, non-normative life event, social support among mother’s external variables, predicted latent class significantly. Mother’s age among control variable predicted latent class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휴대전화 이용시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최원석,김표민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휴대전화 이용시간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부모와 또래 애착이 그 사이를 조절 또는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과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부모애착은 휴대전화 이용 시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이용 시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자기통제력과 휴대전화 이용정도를 조절하지 못했다. 셋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은 자기통제력과 휴대전화 이용정도를 매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결과에 대한 제언과 사회복지현장에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if self-control of youths in early stage makes an effect on the degree of cell phone using time and verified if parents and peer attachment shows moderation or mediation amo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elf-control, parents’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Parents’ attach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ell phone using tim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er attachment and cell phone using time. Second, parents’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couldn't moderate self-control and cell phone using degree. Third, parents’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mediated self-control and cell phone using degree. Based on them, suggestion for results was give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field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원석(Choi, Wonseok),김표민(Kim, Pyomi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의 구성은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의 발달을 고려하여 자기 탐색과 수용과정, 진로탐색에 미치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15회기의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양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능력자아와 사회자아를 제외한 일반자아개념과 학급자아, 성취자아, 가족자아, 정서자아, 신체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을 제외한 계획성과 일에 대한 태도, 자기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composition of variables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self-exploration, acceptance process, and career search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15th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8 for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data from pre- and post-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t-mort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general ego concept, class ego, achievement ego, family ego, emotional ego, and physical ego, excluding competent ego and social ego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appeared to b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attitude toward work, and self-understanding, excluding indepen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