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甘山寺 阿彌陀佛像과 彌勒菩薩像 造像記의 연구

        남동신 국립중앙박물관 2020 미술자료 Vol.- No.98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josanggi) on the Amitabha Buddha and the Maitreya Bodhisattva statues of Gamsansa Temple, two masterpieces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n the first section, I summarize research results from the past century (divided into four periods), before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at questions the pre-existing notion that the Maitreya Bodhisattva has a higher rank than the Amitabha Buddha. In the second section, through my own analysis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arrangement,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two images, I assert that the Amitabha Buddha sculpture actually held a higher rank and greater significance than the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 In the third section, for the first time, I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two previously undeciphered characters from the inscription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sentence structures from the respective inscriptions and revising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uthor (chanja) and calligrapher (seoja), I elucidate the possible meaning of some ambiguous phrases. Finally, in the fourth section, I reexamine the content of both inscription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parts relating to the patron (josangju), the dedication (josang), and the prayers of the patrons or donors (balwon).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phrase “for my deceased parents” is not merely a general axiom, but a specific reference. To summarize, the dedicatory inscription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when Kim Jiseong’s parents died, they were cremated and he scattered most of their remains by the East Sea. But years later, he regretted having no physical memorial of them to which to pay his respects. Thus, in his later years, he donated his estate on Gamsan as alms and led the construction of Gamsansa Temple. He then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the two stone sculptures of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for the temple, asking that they be sculpted realistically to reflect the actual appearance of his parents. Finally, he enshrined the remains of his parents in the sculptures through the hole in the back of the head (jeonghyeol). The Maitreya Bodhisattva is a standing image with a nirmanakaya, or “transformation Buddha,” on the crown. As various art historians have pointed out, this iconography is virtually unprecedented among Maitreya images in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leading some to speculate that the standing image is actually the Avalokitesvara. However, anyone who reads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n have no doubt that this image is in fact the Maitreya. To ensure that the sculpture properly embodied his mother (who wished to be reborn in Tushita Heaven with Maitreya Bodhisattva), Kim Jiseong combined the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the reincarnation of compassion). Hence, Kim Jiseong’s deep love for his mother motivated him to modify the conventional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A similar sentiment can be found in the sculpture of Amitabha Buddha. To this day, any visitor to the temple who first looks at the sculptures from the front before reading the text on the back will be deeply touched by the filial love of Kim Jiseong, who truly cherished the memory of his parents. 본 논문에서는 甘山寺의 阿彌陀佛像과 彌勒菩薩像의 光背에 각각 새겨진 造像記를 재검토함으로써, 통일신라기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자 기준작인 두 상을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근대적 발견’ 이래 지난 100년간의 연구 성과를 네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다음, 필자의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기왕의 미륵보살상›아미타불상의 位次를 비판하고 조상기를 재검토한 후 두 상의 배치와 외관에 근거하여 아미타불상›미륵보살상의 위차가 옳음을 논증하였다. Ⅲ장에서는 마지막까지 판독 불능으로 남았던 두 글자를 처음으로 판독하고, 이를 포함하여 기존에 의미가 불분명하였던 몇몇 구절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아울러 아미타불상조상기와 미륵보살상조상기의 문장 구조를 비교하고 조상기의 찬자와 서자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書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조상기의 내용을 造像主와 造像 및 發願으로 나누어 재검토하였다. 특히 필자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라는 조상기의 구절이 상투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金志誠이 돌아가신 부모를 모두 화장해서 동해 바닷가에 산골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부모를 추모하려 해도 그 마음을 의지할 물질적 標識가 없었다. 그래서 만년의 김지성은 甘山田莊을 희사하여 절로 삼고, 여기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 돌로 각각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을 조성하되, 부모님의 실제 모습을 투영하여 像의 尊容을 사실적으로 조각하고 그 頂穴에 부모의 상징물을 안치하였다고 해석하였다. 두 상 가운데 특히 미륵보살상은 冠에 化佛이 있는 立像인데, 미술사학자들이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圖像의 미륵보살상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워서, 도상적 특징만 본다면 십중팔구 관음보살상이라고 간주할 것이다. 반대로 조상기만 읽는 사람들에게는 의심할 여지없이 미륵보살상이다. 김지성은 돌아가신 어머니가 來世에는 도솔천에 上生하기를 기원하였기에 도솔천을 주재하는 미륵보살상을 만들기로 하되, 그 상에 慈母의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하여 慈悲의 화신인 관음보살상의 도상을 취했던 것이다. 이것은 아미타불상도 마찬가지여서, 돌아가신 아버지의 극락왕생을 희구하여 아미타불상을 조성하되 모든 불교도의 慈父인 석가여래상의 도상을 차용하였다고 유추된다. 후대의 추모자들이 정면에서 상[Image]을 친견하고 뒤로 돌아가서 조상기[Text]를 읽었다면, 그들은 김지성의 부모님을 향한 추모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목은 이색과 불교 승려의 시문(詩文) 교유

        남동신 한국역사연구회 2006 역사와 현실 Vol.- No.62

        Mogeun Lee Saek(牧隱 李穡) and his association with Buddhist priests through literary works

      • KCI등재후보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佛國寺復役功德記」(1779년) 탁본 자료

        남동신 국립중앙박물관 2015 미술자료 Vol.- No.88

        이 글은 필자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실에서 최근 발굴한 탁본 자료를 학계에 소개 하는 글이다. 이 자료는 ‘佛國寺重修記’(청구기호 枚4016 99)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었는데, 기존 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扁額 「佛國寺復役功德記」(1779년)의 유일한 탁본으로서, 조선 후기 불국사의 重創과 변모를 연구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우선 제 1장에서는 탁본의 서지사항과 도서관 입수 경위, 功德記의 찬자와 찬술 시기, 그리고 다른 扁額 자료와의 비교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어서 제 2장에서는 향후 자료 이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판독문과 역주문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제 3장에서는 사료적 가치 및 연구 방향에 대하여 私見을 제출하면서, 현재까지 알려진 불국사 관련 문자자료의 목록을 덧붙였다. 「佛國寺復役功德記」 탁본 자료는, 20세기 정부 차원에서 단행된 두 차례의 대대적인 보수공사에 선행하여, 이미 18세기 중·후반에 불국사 승려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크고 작은 重創 佛事를 일으켰음을 잘 보여준다. 특히 이 佛事에 경주 지역의 불교계는 물론 地方官 및 문인 지식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는 사실은, 조선 후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점이다. This study seeks to introduce the rubbing that the author recently discovered in the Rare Books and Archival Collections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is reference material is registered under the name of Bulguksa Jungsugi (Records of the Restoration of Bulguksa Temple, call number: Mae 4016 99), and is the only rubbing of Bulguksa bokyeok gongdeokgi (Records of meritorious deeds in the restoration of Bulguksa Temple) in plaque form which had remained unknown until now. It is expected to make large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the re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Bulguksa Temple during the late-Joseon Dynasty. Firstly, Chapter 1 examines the bibliographic data of the rubbing, details of the acquisition of the library, the complier and compilation period of the records, and comparisons with the materials of other plaques. Secondly, Chapter 2 presents decipherments and translator’s notes for the convenience of future studies and utilization of the records. Lastly, Chapter 3 contains the author’s personal views in terms of historical value and research direction and adds a list of extant written materials related to Bulguksa Temple. The rubbing of Bulguksa bokyeok gongdeokgi reveals that there had been big and small reconstructions of Bulguksa Temple that were carried out many times by the monks during the mid- to late-eighteenth century in prior to the two extensive restorations undertaken by the government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not only the Buddhists of the Gyeongju region, but also local government-officers, literary men, and intellectual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se reconstructions of the temple is most interesting in the context of the societal changes in the rural communiti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圓覺寺13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남동신(南東信)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고는 원각사탑에 대한 지난 백 년간의 근대 학설사를 층수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 였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근대 개항기에 조선을 여행한 서양인들이 종래 한성의 ‘非美’내지는 흉물로 간주되던 원각사탑을 한성의 ‘奇觀’내지 ‘偉觀’으로 재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들 은 불탑에 관한 예비지식이 거의 없는 서양 출신이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원각사탑에 대하여 객관 적인 견문기를 남길 수 있었는바, 그들이 접촉한 조선 지식인들을 통하여 대체로 13층설을 받아들 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일인 관변학자들이 원각사탑을 본격적으로 학술 조 사하고, 일제식민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원각사탑을 문화재로서 관리하는 과정 및 그 문제점을 언급 하였다. 특히 지난 100여 년 동안 원각사탑 층수 문제에 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세키노 타 다시(關野 貞)의 학설이 10층설에서 13층설로, 다시 다층설로 변하는 문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 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2년까지 원각사탑에 대한 인식이 다층설에서 10층설로 바 뀐 경과를 정리하되, 선행하는 일제식민기 조선 지식인들의 인식이 13층설 일변도였음을 특기해두 었다. 다만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원각사탑에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성과가 적지않이 발표되었지만, 층수에 관한 한 대부분 1962년에 확정된 10층설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학설사 검토의 결과, 원각사탑이 13층탑으로서 건립되었다는 근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제 시기는 물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백 년이 넘도록 13층설은 단 한 번도 공인받지 못하였으며, 학계에 서 층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각사탑과 경천사탑이 10층 탑이라는 현재의 통설은, 백 년 전에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가 최초로 주창하였다. 세키노는 원각사 에 남아있는 「원각사비」가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하였기 때문에 원각사탑의 현상만 건축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10층탑이라고 주장하였다. 공교롭게도 그 직후에 발견된 『속동 문선』에 실린 「원각사비」에서 ‘탑 13층을 세웠다.’라는 구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15세기 후반 왕명으 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한 편찬자들도 원각사탑의 모범인 경천사탑 또한 ‘13층탑’임을 분명히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원각사탑 건립 직후 왕명으로 건립된 「원각사비」는 세키노의 10층설이 전제에 오류가 있음 을 명백히 보여준다. 세키노는,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 올려져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13층탑 이라고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원각사비」는 세조가 처음부터 13층탑으로서 원각사탑을 건립하였음 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다만 이례적이게도 13층탑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을 올린 형태로 조성 하였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세조는 왜 13층탑을 세웠으며, 왜 그것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라는 이례적인 국문초록 52 美術資料 제100호 2021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세조가 원각사13층탑을 건립한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먼저 원각사탑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바, 그 첫 단추는 원래의 명칭을 회복하는 데 있다. 필자는 전제의 오류 위에 구축된 세키노의 10층설―나아가 절충적인 다층설―은 이제 폐기하고, 「원각사비」에서 말하는 13층 설을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남동신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This paper provides an outline of research papers on pre-modern Korean history published in recent years (2017-2018) [and discusses some general lessons to be learned]. In the introductory section, the general problematic is outlined. In four subsections dedicated to the historical periods Ancient times, Koryŏ, Early Chosŏn and Late Chosŏn, section II provides a reevaluation of research in retrospect and prospect, reviewing the major achievements. Section III examines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for establishing a “Korean research model” as a long-term prospect for the Korean history academia. By way of conclusion, section IV proposes a full-scale debate on the issue of “retrospect and prospects” as such by the the 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as a whole: The declaration that “to review research results and pointing out prospects for the future is an important task in the advancement of historical studies” is still valid. 이 글은 지난 2년(2017~2018) 동안 전근대 한국사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 논저에 대한 총설이다. 먼저 제Ⅰ장의 문제제기에 이어 제Ⅱ장에서는 고대,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의 시대사별로 정리한 4편의 「회고와 전망」을 소개하면서 주요 성과를 다시 한번 회고하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앞으로 한국사학계의 장기적 전망으로서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개선할 점을 점검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회고와 전망」자체에 대한 회고와 전망을 비롯한 역사학회 차원의 본격적인 논의를 거듭 제언하였다. “성과를 회고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는 것은 사학 발전에 중요한 과제”라는 선언은 여전히 유효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