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甘山寺 阿彌陀佛像과 彌勒菩薩像 造像記의 연구

        남동신 국립중앙박물관 2020 미술자료 Vol.- No.98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josanggi) on the Amitabha Buddha and the Maitreya Bodhisattva statues of Gamsansa Temple, two masterpieces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n the first section, I summarize research results from the past century (divided into four periods), before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at questions the pre-existing notion that the Maitreya Bodhisattva has a higher rank than the Amitabha Buddha. In the second section, through my own analysis of the dedicatory inscriptions, arrangement,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two images, I assert that the Amitabha Buddha sculpture actually held a higher rank and greater significance than the Maitreya Bodhisattva sculpture. In the third section, for the first time, I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two previously undeciphered characters from the inscription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sentence structures from the respective inscriptions and revising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uthor (chanja) and calligrapher (seoja), I elucidate the possible meaning of some ambiguous phrases. Finally, in the fourth section, I reexamine the content of both inscription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parts relating to the patron (josangju), the dedication (josang), and the prayers of the patrons or donors (balwon).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phrase “for my deceased parents” is not merely a general axiom, but a specific reference. To summarize, the dedicatory inscription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when Kim Jiseong’s parents died, they were cremated and he scattered most of their remains by the East Sea. But years later, he regretted having no physical memorial of them to which to pay his respects. Thus, in his later years, he donated his estate on Gamsan as alms and led the construction of Gamsansa Temple. He then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the two stone sculptures of Amitabha Buddha and Maitreya Bodhisattva for the temple, asking that they be sculpted realistically to reflect the actual appearance of his parents. Finally, he enshrined the remains of his parents in the sculptures through the hole in the back of the head (jeonghyeol). The Maitreya Bodhisattva is a standing image with a nirmanakaya, or “transformation Buddha,” on the crown. As various art historians have pointed out, this iconography is virtually unprecedented among Maitreya images in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leading some to speculate that the standing image is actually the Avalokitesvara. However, anyone who reads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n have no doubt that this image is in fact the Maitreya. To ensure that the sculpture properly embodied his mother (who wished to be reborn in Tushita Heaven with Maitreya Bodhisattva), Kim Jiseong combined the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the reincarnation of compassion). Hence, Kim Jiseong’s deep love for his mother motivated him to modify the conventional iconography of the Maitreya and Avalokitesvara. A similar sentiment can be found in the sculpture of Amitabha Buddha. To this day, any visitor to the temple who first looks at the sculptures from the front before reading the text on the back will be deeply touched by the filial love of Kim Jiseong, who truly cherished the memory of his parents. 본 논문에서는 甘山寺의 阿彌陀佛像과 彌勒菩薩像의 光背에 각각 새겨진 造像記를 재검토함으로써, 통일신라기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자 기준작인 두 상을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는 ‘근대적 발견’ 이래 지난 100년간의 연구 성과를 네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다음, 필자의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기왕의 미륵보살상›아미타불상의 位次를 비판하고 조상기를 재검토한 후 두 상의 배치와 외관에 근거하여 아미타불상›미륵보살상의 위차가 옳음을 논증하였다. Ⅲ장에서는 마지막까지 판독 불능으로 남았던 두 글자를 처음으로 판독하고, 이를 포함하여 기존에 의미가 불분명하였던 몇몇 구절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아울러 아미타불상조상기와 미륵보살상조상기의 문장 구조를 비교하고 조상기의 찬자와 서자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書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조상기의 내용을 造像主와 造像 및 發願으로 나누어 재검토하였다. 특히 필자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라는 조상기의 구절이 상투적인 표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金志誠이 돌아가신 부모를 모두 화장해서 동해 바닷가에 산골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부모를 추모하려 해도 그 마음을 의지할 물질적 標識가 없었다. 그래서 만년의 김지성은 甘山田莊을 희사하여 절로 삼고, 여기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하여 돌로 각각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을 조성하되, 부모님의 실제 모습을 투영하여 像의 尊容을 사실적으로 조각하고 그 頂穴에 부모의 상징물을 안치하였다고 해석하였다. 두 상 가운데 특히 미륵보살상은 冠에 化佛이 있는 立像인데, 미술사학자들이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圖像의 미륵보살상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워서, 도상적 특징만 본다면 십중팔구 관음보살상이라고 간주할 것이다. 반대로 조상기만 읽는 사람들에게는 의심할 여지없이 미륵보살상이다. 김지성은 돌아가신 어머니가 來世에는 도솔천에 上生하기를 기원하였기에 도솔천을 주재하는 미륵보살상을 만들기로 하되, 그 상에 慈母의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하여 慈悲의 화신인 관음보살상의 도상을 취했던 것이다. 이것은 아미타불상도 마찬가지여서, 돌아가신 아버지의 극락왕생을 희구하여 아미타불상을 조성하되 모든 불교도의 慈父인 석가여래상의 도상을 차용하였다고 유추된다. 후대의 추모자들이 정면에서 상[Image]을 친견하고 뒤로 돌아가서 조상기[Text]를 읽었다면, 그들은 김지성의 부모님을 향한 추모의 마음에 깊이 공감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桂苑筆耕集의 문화사적 이해

        남동신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2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life of the renowned historic figure named Choi Chi-won(崔致遠, 857~?). He is defined here as a ‘Literary intellectual of East Asia,’ and his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is examined here as well. In Chapter 1, past studies are evaluated with a critical point of view. Previous perspectives which tended to examine his life as a life that was confined to the parameters of a single country, or as a life that was defined by a certain social boundary(and restrictions) which we used to recognize by calling him as an “intellectual trapped in the identity of a ‘Dupum-class 6’ figure,” are critically analyzed here. It is also suggested here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approach his life from a perspective that would view his life as a literary intellectual whose life and ideas encompassed the entire East Asia, instead of a single country inside it. In Chapter 2, his life and oversea studies inside Dang China/唐, his successful passing of the Dang imperial examination, and his career as an adjutant(幕僚) to a Dang local governmental official named Go Byeon/高騈, are all examined. These aspects of his life are very important, as he was a figure whose career ascended because his writings and compositions were considered exceptional by many people. In Chapter 3, contents of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and the one that was inserted in Dongmun-seon/東文選(1478) a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Dang Composition style vividly demonstrated in GyewonPilgyeongjip (桂苑筆耕集) actually spreaded throughout the Shilla society. It is suggested that the composition styles featured in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displays strong colors of Confucianism and Taoism, while his writings that were written after his return from Dang displayed Buddhist nuances and contents instead. This could indicate the way the Shilla people accepted and embraced Chinese writings and composition styles. In the future, by engaging in comparative studies using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is article and also cases from China and Japan,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were displayed by the Korean people when they were embracing and adopting Chinese writings and composition styles could be determined and defined. 본고는 ‘동아시아의 문인지식인’이라는 관점에서, 崔致遠(857~?)과 그가 남긴 桂苑筆耕集을 검토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기왕의 연구성과를 간략히 검토하면서, 일국사적 관점이나 ‘육두품지식인론’의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신 ‘동아시아의 문인지식인’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연구할 것을 제언하였다. 제2장에서는 文章 立身이라는 관점에서, 최치원의 도당 유학과 과거 급제 및 高騈의 幕僚 생활을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桂苑筆耕集과 東文選(1478년)에 수록된 桂苑筆耕集을 문체를 중심으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桂苑筆耕集으로 상징되는 당의 문장이 신라 사회로 확산되는 양상을 추적하였다. 또한桂苑筆耕集의 문장은 이념적으로 유교와 도교적 색채가 강한 데 반하여, 귀국 이후 최치원의 문장에서는 불교적 색채가 두드러졌음을 지적함으로써, 한문 문장의 신라적 수용의 특색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중국이나 일본과 비교한다면, 한국 사회가 한문 문장을 수용한 양상과 특징을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圓覺寺13層塔에 대한 근대적 인식과 오해

        남동신(南東信)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고는 원각사탑에 대한 지난 백 년간의 근대 학설사를 층수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성찰하 였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근대 개항기에 조선을 여행한 서양인들이 종래 한성의 ‘非美’내지는 흉물로 간주되던 원각사탑을 한성의 ‘奇觀’내지 ‘偉觀’으로 재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들 은 불탑에 관한 예비지식이 거의 없는 서양 출신이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원각사탑에 대하여 객관 적인 견문기를 남길 수 있었는바, 그들이 접촉한 조선 지식인들을 통하여 대체로 13층설을 받아들 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대한제국 선포 이후 일인 관변학자들이 원각사탑을 본격적으로 학술 조 사하고, 일제식민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원각사탑을 문화재로서 관리하는 과정 및 그 문제점을 언급 하였다. 특히 지난 100여 년 동안 원각사탑 층수 문제에 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세키노 타 다시(關野 貞)의 학설이 10층설에서 13층설로, 다시 다층설로 변하는 문제를 집중 조명하였다. 마지 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62년까지 원각사탑에 대한 인식이 다층설에서 10층설로 바 뀐 경과를 정리하되, 선행하는 일제식민기 조선 지식인들의 인식이 13층설 일변도였음을 특기해두 었다. 다만 1962년 이후 지금까지 원각사탑에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성과가 적지않이 발표되었지만, 층수에 관한 한 대부분 1962년에 확정된 10층설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따로 정리하지 않았다. 학설사 검토의 결과, 원각사탑이 13층탑으로서 건립되었다는 근거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제 시기는 물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백 년이 넘도록 13층설은 단 한 번도 공인받지 못하였으며, 학계에 서 층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도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각사탑과 경천사탑이 10층 탑이라는 현재의 통설은, 백 년 전에 세키노 타다시(關野 貞)가 최초로 주창하였다. 세키노는 원각사 에 남아있는 「원각사비」가 글자를 거의 판독할 수 없을 정도로 마멸이 심하였기 때문에 원각사탑의 현상만 건축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10층탑이라고 주장하였다. 공교롭게도 그 직후에 발견된 『속동 문선』에 실린 「원각사비」에서 ‘탑 13층을 세웠다.’라는 구절이 확인되었다. 또한 15세기 후반 왕명으 로 『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한 편찬자들도 원각사탑의 모범인 경천사탑 또한 ‘13층탑’임을 분명히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원각사탑 건립 직후 왕명으로 건립된 「원각사비」는 세키노의 10층설이 전제에 오류가 있음 을 명백히 보여준다. 세키노는,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 올려져 있어서, 세상 사람들이 13층탑 이라고 불렀다.’라고 하였는데, 「원각사비」는 세조가 처음부터 13층탑으로서 원각사탑을 건립하였음 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다만 이례적이게도 13층탑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을 올린 형태로 조성 하였을 따름이다. 그렇다면 세조는 왜 13층탑을 세웠으며, 왜 그것을 3층의 기단 위에 탑신 10층이라는 이례적인 국문초록 52 美術資料 제100호 2021 형태로 구현하였는가? 세조가 원각사13층탑을 건립한 의도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먼저 원각사탑의 정체를 파악해야 하는바, 그 첫 단추는 원래의 명칭을 회복하는 데 있다. 필자는 전제의 오류 위에 구축된 세키노의 10층설―나아가 절충적인 다층설―은 이제 폐기하고, 「원각사비」에서 말하는 13층 설을 복원할 것을 촉구한다.

      • KCI우수등재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남동신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This paper provides an outline of research papers on pre-modern Korean history published in recent years (2017-2018) [and discusses some general lessons to be learned]. In the introductory section, the general problematic is outlined. In four subsections dedicated to the historical periods Ancient times, Koryŏ, Early Chosŏn and Late Chosŏn, section II provides a reevaluation of research in retrospect and prospect, reviewing the major achievements. Section III examines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for establishing a “Korean research model” as a long-term prospect for the Korean history academia. By way of conclusion, section IV proposes a full-scale debate on the issue of “retrospect and prospects” as such by the the 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as a whole: The declaration that “to review research results and pointing out prospects for the future is an important task in the advancement of historical studies” is still valid. 이 글은 지난 2년(2017~2018) 동안 전근대 한국사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 논저에 대한 총설이다. 먼저 제Ⅰ장의 문제제기에 이어 제Ⅱ장에서는 고대, 고려, 조선 전기, 조선 후기의 시대사별로 정리한 4편의 「회고와 전망」을 소개하면서 주요 성과를 다시 한번 회고하였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앞으로 한국사학계의 장기적 전망으로서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개선할 점을 점검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회고와 전망」자체에 대한 회고와 전망을 비롯한 역사학회 차원의 본격적인 논의를 거듭 제언하였다. “성과를 회고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는 것은 사학 발전에 중요한 과제”라는 선언은 여전히 유효하다.

      • KCI등재

        Wonhyo’s View of Human Beings and his Redemption of Mankind

        남동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5 No.1

        This article looks at how the prominent East Asian Buddhist thinker Wonhyo viewed humans and how he practiced his thoughts. While Buddhism proclaimed humanism, it is paradoxically hard to find any Buddhist texts discussing humans. Wonhyo, who left behind a vast collection of writings of more than 70 copies and 150 volumes, is no exception. In terms of methodology, the first two sections of the present article cover the background to understand Wonhyos’ view of human beings. Section 2 looks at the humanistic character of Buddhism; Section 3 looks at all of the words related to human beings in Wonhyo’s writings and summarizes their definitions as well as their use by Wonhyo; Section 4 clarifies that Wonhyo’s view that all humans were equal was formed based on the Doctrine of Ilsim, or One Mind, in the Mahāyāna-śraddhotpādaśāstra; and finally, Section 5 interprets his conduct of non-obstruction that did not hesitate to break the pre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edifying all living beings as a religious mission of a bodhisattva who has not left home, or gṛha-pati. Wonhyo found all human beings equal in the sense of endless death and reincarnation of One Mind but simultaneousl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bodhisattva and all living beings and urged the former to edify the latter. He emulated Vimalakīrti and devoted himself to the edification of all living beings, which he called non-obstruction, after returning to secular life. Wonhyo’s view that all humans were equal and his altruistic bodhisattva practices are significant in that he both sought the direction Unified Silla should pursue in a Buddhist equal society. His marriage with Princess Yoseok and the appointment of his son by the royal family, which le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mplies that Wonhyo’s view of humans and conduct to edify all living beings responded to the demand of the times. Thus, the 13th-century Buddhist historian Iryeon attributed the spread of Buddhism in Silla to Wonhyo. At the same time, Wonhyo was devoted to investigating the universal mind of humans like doctrinal-study monks from the perspective of Vijñānavāda and did not focus on the human body or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is sense, he represented the view of humans of doctrinal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세조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

        남동신 국립중앙박물관 2022 미술자료 Vol.- No.101

        Completed in 1467,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is the last Buddhist pagoda erected at the center of the capital (present-day Seoul)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commissioned by King Sejo, the final Korean king to favor Buddhism.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King Sejo’s intentions behind celebrating the tenth anniversary of his enthronement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in the central area of the capital and the enshrinement of sarira from Shakyamuni Buddha and the Newly Translated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This paper provides a summary of this examination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econd chapter of the paper discusses the scriptural background for thirteen-story stone pagoda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 was the first to specify the Latter Part of the Nirvana Sutra (大般涅槃經後分) as the most direct and fundamental scripture for the erection of a thirteen-story stone pagoda. I also found that this sutra was translated in Central Java in the latter half of the seventh century and was then circulated in East Asia. Moreover, I focused on the so-called Kanishka-style stupa as the origin of thirteen-story stone pagodas and provided an overview of thirteen-story stone pagodas built around East Asia, including in Korea. In addition, by consulting Buddhist references, I prove that the thirteen stories symbolize the stages of the practice of asceticism towards enlightenment. In this regard, the number thirteen can be viewed as a special and sacred number to Buddhist devotees. The third chapter explores the Buddhist background of King Sejo’s establishment of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of Wongaksa Temple. I studied both the Dictionary of Sanskrit-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翻譯名義集) (which King Sejo personally purchased in China and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King Sejo involved himself in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into Korean. The Dictionary of Sanskrit-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was published in the fourteenth century as a type of Buddhist glossary. King Sejo is presumed to have been introduced to the Latter Part of the Nirvana Sutra, the fundamental scripture regarding thirteen-story pagodas, through the Dictionary of Sanskrit-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Terms, when he was set to erect a pagoda at Wongaksa Temple. King Sejo also enshrined the Newly Translated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inside the Wongaksa pagoda as a scripture representing the entire Tripitaka. This enshrined sutra appears to be the vernacular version for which King Sejo participated in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Furthermore, I assert that the original text of the vernacular version is the Abridged Commentary on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略疏疏) by Zongmi (宗密, 780-841),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previously believed. The final chapter of the paper elucidates the political semantic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Wongaksa pagoda by comparing and examining stone pagodas erected at neungsa (陵寺) or jinjeonsawon (眞殿寺院), which were types of temples built to protect the tombs of royal family members near their tomb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hese stone pagodas include the Thirteen story Pagoda of Gyeongcheonsa Temple, the Stone Pagoda of Gaegyeongsa Temple, the Stone Pagoda of Yeongyeongsa Temple, and the Multi-story Stone Pagoda of Silleuksa Templ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stone pagodas reveals that King Sejo established the Thirteen-story Stone Pagoda at Wongaksa Temple as a political emblem to legitimize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In this paper, I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scriptural and political semantics of the Wongaksa pagoda as a thirteen-story pagoda. By providing a Korean case study, this attempt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pagoda culture ... 1467년에 완성된 원각사13층석탑은 한국 역사상 최후의 호불군주에 의한 최후의 도성불탑이다. 필자는 세조가 즉위 10년을 맞이하여 都城 중심부에 13층석탑을 세우고 탑에 釋迦舍利와 함께 ‘新譯圓覺經’을 봉안한 뜻을 세조의 관점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머리말에 이어 제II장에서는 13층탑의 경전적 배경을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특히 필자는 13층 건립의 직접적인 소의경전으로서『大般涅槃經後分』을 최초로 발굴하고, 이 경전이 7세기 후반 중부 자바에서 번역되고 동아시아에 유통된 사실을 추적하였다. 아울러 13층탑의 기원으로서 이른바 카니시카양식의 탑을 주목하고 동아시아와 한국에서의 13층탑 조성 사례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불교 문헌을 탐색하여 ‘13층’이 깨달음[Buddha]으로 나아가는 수행 단계를 상징함을 입증하였다. 확실히 ‘13’은 불교도에게는 매우 특별하면서도 신성한 숫자라 할 수 있다. 이어서 제Ⅲ장에서는 세조의 원각사13층탑 건립의 불교적 정치적 함의를 탐색하였다. 불교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세조가 중국에서 직접 구입하여 조선에 최초로 유통시킨 『翻譯名義集』과, 그가 최초의 한글 번역에 직접 개입한 『圓覺經』에 주목하였다.『번역명의집』은 14세기에 출현한 일종의 불교 용어집인데, 세조는 원각사탑을 창건할 무렵 이 문헌을 통하여 13층탑의 소의경전인 『대반열반경후분』을 알았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한편 세조는 대장경 전체를 상징하는 단일경전으로 ‘신역 원각경'을 원각사탑에 봉안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그가 최초의 한글 번역에 깊이 관여한 『원각경언해』였다. 아울러 『원각경언해』의 저본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宗密의 『圓覺經略疏』임을 밝혔다. 원각사탑 건립의 정치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조선 초 왕실의 陵寺(또는 眞殿寺院)에 세워진 석탑-敬天寺13層石塔, 開慶寺石塔, 衍慶寺石塔, 神勒寺多層石塔-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세조가 자신의 왕위계승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정치적 상징으로서 원각사13층석탑을 건립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고에서 필자는 13층탑으로서의 원각사탑의 의미체계를 온전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여말선초 정점에 달한 불탑 문화를 이해할 뿐 아니라, 카니시카대탑에서 기원하고 『대반열반경후분』에 근거하는 동아시아의 13층탑을 연구하는 데 한국적 연구모델로서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