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1세대 음악치료사의 삶에 관한 생애사 연구: 작은 씨앗에서 열매를 맺기까지
소라엘,김동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professional establishment of music therapy in Korea by looking into the developmental paths of the two pioneer music therapists who were educated and trained in Korean culture.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ultipl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hich was then and analyzed us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o incorporate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to the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s, four domains including, “encountering with music,” “entering the career path of a music therapist,” “strengthening their position as music therapists,” and “role as a pioneer music therapist” were derived along with 9 relevant categories through a holistic-content approach. The research outcome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not only on how music therapy was introduced and developed in Korea academically and professionally but also on future directions in music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음악치료 교육을 받은 1세대 음악치료사들의 삶을 통해 국내 음악치료 학문의 정착과 발달 배경을 이해하고, 그들의 전문적 발달 여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두 명의 한국 음악치료 선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환경의 맥락과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총체적 내용 접근으로 전문성 발달과 의미에 대한 코딩 및 범주화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범주와 함께 ‘음악과 조우하기,’ ‘음악치료사의 길로 들어서기,’ ‘음악치료사로 바로서기,’ ‘1세대 음악치료사로서 역할하기’ 등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음악치료의 학문적, 직업적 정착과 발전과정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앞으로 한국 음악치료가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음악치료사 성장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소라엘,김동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음악치료사 성장경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음악치료 전문가 훈련 혹은 심리치료경험이 있는 아홉 명의 음악치료사에게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처인식 계기’, ‘상처치유 노력’, ‘치유과정에서의 어려움’, ‘치유과정에서의 개인적 성장’, 그리고 ‘치유과정에서의 전문적 성장’의 총 다섯 개 영역 및 스물 세 개의 하위범주가 음악치료사들의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의 성장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일반적으로 치료사 훈련과정에서 자신의 상처를 인식하였고, 이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으로 전문적 훈련과정이나 심리치료를 선택하였다. 치유 과정에서 치료사들은 감정적인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으나, 이를 통해 개인적 성장뿐만 아니라 치료사로서의 전문적 성장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이 자신의 상처를 인식하고 회복하는 것이 치료사로서의 전문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통찰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함께 경험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향후 음악치료 훈련과정 안에서 음악치료사의 상처 인식과 치유, 그리고 성장을 돕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ic therapists' growth experience as a wounded healers.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oroughl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in analyzing a collection of interviews with 9 music therapists with professional training in music therapy or experience in psychotherapy. As a result, 5 domains, Wound cognitive motive, Efforts to heal wounds, Difficulties in healing, Personal growth during the healing process, and Professional growth during the healing process were derived, and 23 categories have been linked to the growth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Research has shown that music therapists generally recognize their injuries during therapist training and choose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or psychotherapy in their efforts to address them. Music therapists have experienced distress during healing, but have also experienced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these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usic therapists not only recognize and recover their own injuries from professional growth as therapists but also experience personal growth through their own insights. And This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to help a therapist’s Wound recognition, heal, and grow during music therapy training.
음악치료사들의 수퍼바이저 입문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소라엘(So, Rael),임지연(Lim, Jiyeon),최지엘(Choi, Jiel),김동민(Kim, Dong Min) 한국음악치료학회 2020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수퍼바이저 입문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로 초보 수퍼바이저들의 음악치료 수퍼비전 경험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 수퍼비전 기록, 수퍼비전 영상, 영상 분석자료,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의 피드백 자료 등을 수집하였고 연구자 세 명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기술과 사회적 맥락으로 해석하는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자들은 수퍼바이저라는 역할을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전문성에 대한 불안과 역전이를 경험하기도 하였으나, 수퍼비전 노트 작성과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비전을 통해 자신을 성찰하고 수퍼 바이저로서의 역할을 정립해갔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자들의 경험에 대해 예술자료들을 함께 제시하여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가 수퍼바이저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역할을 확립해가는 이들의 역동을 이해하고,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actually happens in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of becoming music therapy supervisors by looking into the introductory supervisory experiences of three novice music therapy supervisors, using a relatively new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Audio records of onsite supervision, supervisor’s logs, and written memos from supervision of supervision were used as main data of the study.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novice supervisor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performance anxiety, competence anxiety, and insecurities due to counter-transferences. However, through in-depth self-reflect, and consistent supervision of supervision they also owned growth experience such as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philosophy, approach and identity as a supervisor. This research was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providing researchers experiences with artistic materials. The data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with various perspectives by providing researchers self-reflective artistic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facilitate deeper understandings of development process of novice music therapy supervisors.